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헌테일

덤프버전 :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파일:icon0366_f00_s0.png 0366 진주몽파일:icon0367_f00_s0.png 0367 헌테일파일:icon0368_f00_s0.png 0368 분홍장이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펼치기 · 접기 ]

1. 정보
2. 소개
3. 포획
4. 대전
6. 기타
7. 국가별 명칭



1. 정보[편집]



파일:367 헌테일.png
헌테일

기본 정보
이름도감 번호타입
파일:icon0367_f00_s0.png
헌테일
ハンテール(한테-루)
Huntail
전국: 0367
호연: 177RSE / 186ORAS
코스트칼로스: 142
알로라: 141USUM



특성(숨겨진 특성은 *)
쓱쓱비가 내리면 스피드가 2배가 된다.
*수의베일화상 상태가 되지 않는다.

세부 정보
포켓몬분류신장체중포획률
0367 헌테일심해 포켓몬[1]1.7m27.0kg60

유전 정보
성비알 그룹부화 카운트최대 경험치량
수컷: 50%
암컷: 50%
수중120600,000

진화
진화
0366 진주몽
파일:Bag_Deep_Sea_Tooth_Sprite.png
심해의이빨을
지닌 채 교환

0367 헌테일
파일:Bag_Deep_Sea_Scale_Sprite.png
심해의비늘을
지닌 채 교환

0368 분홍장이


종족치
포켓몬HP공격방어특수공격특수방어스피드합계
파일:icon0367_f00_s0.png
헌테일
55104105947552485

울음소리
파일:icon0367_f00_s0.png
헌테일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icon0367_f00_s0.png
0367 헌테일
루비/OR무척 깊은 바다 속에서 살기 때문에 긴 시간 동안 사람들에게 발견되지 않았다.
깊은 심해에서도 잘 보이는 눈을 가졌다.
포켓몬 GO
사파이어/AS물고기처럼 생긴 꼬리로 유인해서 커다란 입으로 통째로 집어삼킨다.
뱀처럼 몸을 비비 꼬며 수영한다.
에메랄드심해의 강한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무척 옹골찬 등뼈를 지녔다.
작은 물고기처럼 생긴 꼬리의 눈이 빛난다.
FRLG빛이 닿지 않는 심해에 서식. 작은 물고기처럼 생긴 꼬리를 빛내서 먹잇감을 유인한다.
X
DPPt/BDSP깊은 바다 속에서 산다. 작은 물고기처럼 생긴 꼬리로 먹이를 유인한다.
BW/BW2
Y
HGSS칠흑같이 어두운 심해에서 산다. 꼬리를 움직여 작은 동물을 흉내내서 먹이를 유인한다.
울트라썬헤엄치는 힘은 그다지 강하지 않다. 꼬리를 흔들어 먹이를 유인해 다가오면 덥석 문다.
울트라문심해에 서식한다. 헌테일이 해변에 올라오면 불길한 이 일어난다는 전설이 있다.

2. 소개[편집]


3세대에서부터 등장한 물 포켓몬으로 모티브는 큰입장어목의 하나인 펠리컨장어.

분홍장이와 세트를 이루는 진주몽의 진화체이다. '심해의이빨'을 지니게 하고 교환하면 진화한다.


3. 포획[편집]


진화조건이 통신교환인 만큼 일반 유저들에게는 입수가 어려운 포켓몬 축에 속하지만, 다행히 몇몇 세대에서는 야생으로 헌테일을 만날 수 있다.

5세대에서는 블랙/블랙2에서 전국도감 업그레이드 이후 4번도로 수면의 그림자 부근에서 대단한낚시대로 낚는 것으로도 얻을수 있다.

6세대에는 X버전 한정으로 12번 도로에서 대단한낚시대를 쓰면 5%의 확률로 낚인다.

7세대에는 울트라썬문에서만 입수 가능하다. 양 버전에서 똑같이 입수할 수 있지만, 진주몽을 밤에 연쇄해야 나온다. 낮에 연쇄하면 분홍장이가 대신 나오니 주의.


4. 대전[편집]


공격과 특공 모두 높은 편이지만 공격이 조금 더 높고, 방어는 높고 특방은 평균수준이지만 체력이 낮아서 실제 내구는 미묘한 편. 스피드 자체는 낮지만, 무보정 성격에다 노력치 252 기준으로 쓱쓱 특성 또는 껍질깨기 1회로 130족을 추월할 수 있다.

성능도 그저 그렇고 인지도가 전멸 수준의 마이너 포켓몬이라 아는 사람만 알지만 정말 꾸준히 상향을 받아온 포켓몬이다. 3세대 당시에는 공격이 높은 주제에 배울 수 있는 물리 공격이 은혜갚기 같은 노말 기술들을 제외하면 암석봉인 같은 것밖에 없는 괴이한 기술폭으로 인해 능력치를 전혀 살릴 수가 없었고, 그래도 낮지 않은 편인 특공을 살려보자니 쓱쓱팟의 특공 스위퍼의 대명사 암스타에 밀리는 등 도저히 써먹기가 힘들어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에 속했다.

4세대에서 타입 내에서도 물리/특수가 갈림에 따라 자속 물리기술을 어느 정도 배우게 되어 상황이 나아졌으나 여전히 쓱쓱팟에서 쓰기엔 약점이 적고 얼음 기술이 가능하다는 것 외에는 투구푸스에 밀려 쓰이지 않는 나날이 계속되었다.

그러다가 플라티나 버전에서 기습을, 하트골드/소울실버에서 분노의앞니를 NPC기로 습득했는데 저 두 기술을 배우면서 특성이 쓱쓱인 포켓몬은 오직 이 녀석 뿐이다. 선공기의 유용성은 말할것도 없고 비팟으로 돌파가 힘든 고내구 물타입에게 앞니로 저항해볼 수는 있게 되었다. 차별점이 약간은 생긴 셈.

5세대에서는 진주몽이 레벨 51에 최상급 랭업기인 껍질깨기를 배울 수 있게 되면서 어디에 깰 껍질이 없는데도 껍질을 깰 수 있게 되었다. 숨겨진 특성인 수의베일도 풀렸는데, 물리형으로 굴려지는 헌테일에게 치명적인 화상을 막아주는 꽤나 유용한 특성이다. 만약 상대가 수의베일의 존재를 모르고 도깨비불을 건다면 한 턴을 날로 먹는 셈. 비록 스피드를 올릴 수는 없지만, 어차피 껍질깨기 한 번으로도 쓱쓱이 발동한 상태와 똑같은 스피드가 된다. 그러나 아쉽게도 4세대 NPC기로 배워야 하는 기습은 진주몽 상태로 습득할 수 없기에 양립은 불가능했다.

6세대 X/Y에서는 별다른 상향점이 없었으나 OR/AS에서 4세대 NPC기였던 기습이 자력기가 되어 껍질깨기와 드디어 양립이 가능해졌고, 신규 랭업기로 똬리틀기를 얻었다.

다만 물리 쪽 기술폭이 넓지 않은 건 여전하다. 견제기로 적합한 물리기라고는 깨물어부수기, 기습, 얼음엄니뛰어오르다가 전부인데 뛰어오르다는 실용성이 떨어지며, 더 찾아보면 진주몽 때 배우는 철벽, 암석봉인 정도가 있긴 한데 역시 별 효율은 없다. 형제인 분홍장이는 섀도볼이며 시그널빔, 사이코키네시스 등 적당한 기술폭을 갖추고 있는데...

그래서 굳이 어태커로 키우자면 냉동빔을 채용한 쌍두형이 선호되는 실정. 낮은 체력 때문에 물리막이로도 쓰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운용이 어렵고 배리에이션이 적은 것이 치명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겠다. 그래도 쓱쓱 특성 포켓몬 중 유일한 기습 사용자라는 점과, 비가 뿌려지면 분노의앞니 최속 사용자라는 점 등이 위안거리라면 위안거리.


5. 포켓몬스터 TCG에서[편집]


한글판 명칭헌테일파일:external/pokemonkorea.co.kr/XY5_TS_028.jpg
영어판 명칭Huntail
일어판 명칭ハンテール
수록 블록, 팩XY5 타이달스톰
카드의 종류1진화 포켓몬
HP타입레어도
100R
약점저항력후퇴비용
1
분류이름코스트데미지효과
기술파워풀스톰20×자신의 필드의 포켓몬에게 붙어 있는 에너지를 합한 수 × 20데미지를 준다.
기술깨물어부수기물무무70동전을 한 번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상대의 배틀 포켓몬에게 붙어 있는 에너지를 1개 선택해서 트래쉬한다.
동 팩에서 나온 고대능력인 α그로우와 연계로 디자인된 1기술을 가지고 있다. 다만 α그로우로 필드에 에너지를 쌓아 이 기술의 데미지를 높이는 것은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비효율적.

BW에서는 칠색조 EX와 함께 쓰였다. 칠색조가 한 마리만 부활해도 필드에 에너지가 3개 늘어나며, 힘의머리띠를 달았다면 에너지 합계 8장으로 포켓몬 EX조차 1방에 잡아낼 수 있다. 칠색조 EX의 부활은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와야 하지만, 트래쉬에 여러 장의 칠색조 EX가 있다면 그만큼 동전을 던질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쓸만했다. 다만 XY후기로 넘어가면서 BW가 잘리면 디자인 의도대로 α그로우 포켓몬과 연계하여 쓰거나, 아니면 칠색조 EX처럼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낼 수밖에 없다.


6. 기타[편집]


꼬리 모양이 분홍장이의 머리 모양이다. 두 포켓몬이 서로의 머리와 꼬리를 뒤집은 형태인 셈.

파일:golddemo-182f.png
3세대 포켓몬이지만 포켓몬스터 금·은/특별체험판 롬파일 유출로 인해 당시에도 비슷한 디자인의 포켓몬이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름은 그로테스(グロテス)로 상어를 모티브로 한 이카리(イカリ)의 진화형이었다. 이후 심해어라는 컨셉이 랜턴과 헌테일, 상어라는 컨셉은 샤크니아로 양분된 것으로 보인다.


7. 국가별 명칭[편집]


언어이름유래
한국어헌테일Hunt(사냥) 또는 斑点(ハンテン; 반점) + Tail(꼬리)
일본어ハンテール
영어Huntail


[1] 포켓몬 GO에서는 심해를 풀어서 설명한 깊은바다포켓몬으로 표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