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헥터 노에시

덤프버전 :

헥터 노에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f01e23><rowcolor=#000> '''1982''' ||<width=20%> '''1983''' ||<width=20%> '''1984''' ||<width=20%> '''1985''' ||<width=20%> '''1986''' || || [[방수원]] || [[주동식]] || [[이상윤(야구선수)|이상윤]] || [[김용남(야구)|김용남]] || [[강만식]] || ||<rowbgcolor=#f01e23><rowcolor=#000> '''1987''' || '''1988~1992''' || '''1993''' || '''1994''' || '''1995''' || || [[김정수(1962)|김정수]] || [[선동열]] || [[김정수(1962)|김정수]] || [[이강철]] || [[조계현]] || ||<rowbgcolor=#f01e23><rowcolor=#000> '''1996''' || '''1997''' || '''1998''' || '''1999''' ||<bgcolor=#f01e23><color=#fff> '''2000~2002''' || || [[김정수(1962)|김정수]] || [[이강철]] || [[이대진]] || [[곽채진]] || [[최상덕]] || ||<rowbgcolor=#f01e23><rowcolor=#fff> '''2003~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다니엘 리오스|리오스]] || [[김진우(1983)|김진우]] || [[윤석민(투수)|윤석민]] || [[호세 리마|리마]] || [[윤석민(투수)|윤석민]] || ||<rowbgcolor=#c70125><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킬리노 로페즈|로페즈]] || [[윤석민(투수)|윤석민]] || [[서재응]] || [[헨리 소사|소사]] || [[데니스 홀튼|홀튼]] || ||<rowbgcolor=#c70125><rowcolor=#fff> '''2015~2016''' || '''2017~2018''' || '''2019~2020''' ||<bgcolor=#ea0029><color=#fff> '''2021''' ||<bgcolor=#ea0029><color=#fff> '''2022''' || || [[양현종]] || [[헥터 노에시|헥터]] || [[양현종]] || [[애런 브룩스|브룩스]] || [[양현종]] || ||<rowbgcolor=#ea0029><rowcolor=#fff> '''2023''' || '''''' || '''''' || '''''' || '''''' || || [[숀 앤더슨|앤더슨]] || || || || ||




헥터 노에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KIA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1.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2017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7 KBO 리그 다승왕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7 KBO 리그 승률왕

뉴욕 양키스 등번호 45번
세르지오 미트레
(2009~2010)
헥터 노에시
(2011)
케빈 웰란
(2011)
뉴욕 양키스 등번호 64번
로물로 산체스
(2010)
헥터 노에시
(2011)
세자르 카브랄
(2013~201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45번
에릭 베다르
(2008~2011)
헥터 노에시
(2012~2014)
트렌트 제웻
(2015)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19번
세스 로진
(2014)
헥터 노에시
(2014)
대니얼 로버트슨
(2014)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48번
브라이언 오모그로소
(2012~2013)
헥터 노에시
(2014~2015)
토미 케인리
(2016~2017)
KIA 타이거즈 등번호 43번
문경찬
(2015)
헥터
(2016~2018)
홍원빈
(2019~2021.8.10.)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48번
크리스토퍼 보스틱
(2018)
헥터 노에시
(2019)
마이크 모린
(2020)

파일:헥터노에시.jpg
엑토르 노에시
Héctor Noesí
생년월일1987년 1월 26일 (37세)
국적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출신지발베르데 주 에스페란자
신체192cm, 93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 입단2004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NYY)
소속뉴욕 양키스 (2011)
시애틀 매리너스 (2012~2014)
텍사스 레인저스 (2014)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4~2015)
KIA 타이거즈 (2016~2018)
마이애미 말린스 (2019)
푸방 가디언스 (2021)

1. 개요
3. 피칭 스타일
4. 여담
5. 연도별 성적



1. 개요[편집]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전 KIA 타이거즈 소속 외국인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헥터 노에시의 선수 경력


3. 피칭 스타일[편집]



포심 구속이 빠르며 수평 무브먼트가 뛰어나다. 그 예로 2016년 3월 12일 시범경기에 등판했을 때 헥터는 포심 33개와 커브 7개를 던졌다고 하였으나 기록에는 슬라이더를 2개 던졌다고 기록될 만큼, 포심의 무브먼트가 뛰어나다. 이 경기에서 속구의 구속을 141km/h에서 149km/h까지 조절하며 완급 조절도 할 수 있는 투수임을 보여주었다.

KBO 기준 헥터는 피홈런 억제에 엄청난 장점이 있는 투수이다. 빠른 구속에 비해 기교파에 가깝다. 2016년 6월 26일까지 6.13/2.93/0.28의 9이닝당 삼/볼/홈의 기록을 보여줬다. 미국 시절 피홈런이 많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1] 하지만, 2년차인 2017년에 피홈런 갯수가 3배로 대폭 증가해버렸다. 포심,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를 섞어서 카운트를 잡거나 타자의 시선을 교란시키며, 결정구는 바깥쪽 포심과 떨어지는 체인지업이다. 정작 포심도 결정구로 많이 던지다보니 투구수가 늘어나기도 한다.

수비 시 움직임이 둔해 기습 번트 등에 취약하다. 다만 슬라이드 스텝 자체는 제법 괜찮은 편이다.



4. 여담[편집]


  • 외모로 봐선 불같은 성격일 것 같지만 KIA 구단 측에 의하면 성격이 괄괄하지 않고 아버지가 목사라서 그런지 차분하다고 한다. 본인 스스로도 진중한 성격이라고.


  • 소속팀인 KIA 타이거즈 측에서 영입하기 몇 년 전부터 꾸준히 영입을 시도했다고 한다. 영입까지 아킬리노 로페즈의 공도 컸다고 한다. KIA 외국인 트리오 계약 뒷이야기[2]

  • 인스타그램을 열심히 하고 있다. 계약 소식이 들어간 이후 타이거즈 선수들과 관련된 사진들에 전부 '좋아요' 폭탄을 날리고 있다. 게시글도 자주 올리고 스토리를 하루에 한 번 꼴로 올린다. 라이브로 노래를 열창하기도 했다.

  • 성 때문인지, 혹사당할 때나 못할 때의 별명은 당연히 헥터 노예시. 그리고 타 팀 팬들은 과거 전력 때문에 흔히 '약터'라고 깐다. 외국인 선수의 등록명은 보통 성(姓)으로 등록하지만, 노 에 시로 등록할 경우 위에 언급한 대로 '노예'란 이미지가 떠오른다는 우려 때문에 보기 드물게 이름인 헥 터를 등록명으로 사용한다. 다만 브렛 필은 기존에 이미 사용 하고 있던 대로 성(姓)인 '필'을 그대로 사용. 17-18시즌은 팻 딘은 성과 이름을 모두 등록명으로, 로저 버나디나는 성을 등록명으로 써서 외국인 선수의 등록명 등록방법이 모두 다른 특이한 상황이 되었다.

  • 이세온이라는 별명으로 팀 내에서 불린다고 한다. 성 노에시(NOESI)를 거꾸로 읽은 것(ISEON).

  • 팀의 정규시즌 우승 세레머니에 대해 미국과 달리 정규시즌 우승을 크게 생각하지 않아 의아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광주로 내려가면서 팻 딘, 로저 버나디나와 함께 준비한 위스키 한 병을 비우는 것으로 자축했다고 한다.


5.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성적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
2011NYY3056⅓22044.47636226451.51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
2012SEA22106⅔212005.8210721393681.37
20131227⅓01006.59423125211.98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
2014SEA/TEX/CWS33172⅓812004.75180285631231.37
2015CWS1032⅔04006.89417172221.78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
2019MIA1227⅔03008.463026141241.59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탈삼진WHIP
2016KIA31206⅔
(1위)
15
(3위)
5003.40
(3위)
21175161391.27
(4위)
201730201⅔
(1위)
20
(1위)
5003.48221214551491.32
2018291741110004.60209
(2위)
253641371.41
MLB 통산
(6시즌)
1194231234015.51463259160203031.47
KBO 통산
(3시즌)
90582⅓4620003.7964153132154251.33

완투, 완봉기록
연도완투완봉
2016년3완투
(1위)
1완봉
(1위)
2017년1완투0완봉
KBO 리그 통산
(2시즌)
4완투1완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2:36:30에 나무위키 헥터 노에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마이너에서도 피홈런이 많았음을 감안하면 의외의 모습이다. 다만 비슷한 유형의 투수인 데이비드 허프 역시 피홈런이 미국 시절보다 대폭 준 것을 보면 그 이유가 투구이닝이 적어 생긴 행운 덕이라고만 보긴 어렵다. 오히려 코너를 찌르는 커맨드와 완성도 있는 체인지업을 끼고 들어오는 140중반-150초반 빠른 공을 홈런으로 만들기엔 KBO 타자들의 수준이 부족하다는 설명이 더 그럴싸하다.[2] 아킬리노 로페즈 본인 또한 래리 서튼의 추천으로 온 선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