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대백화점 신촌점

덤프버전 :




신촌점 (1992)
파일:현백신촌.jpg
연계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역
개점일 1992년 11월 20일(그레이스백화점)
1998년 7월 1일(현대백화점)
휴무일 새해 첫날, 추석, 설날 당일
영업 시간 월요일 ~ 목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금요일 ~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공휴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소유 현대백화점
지점장 김정희 상무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로 83 (창천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문화][공연][U]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로 83 (창천동) 소재 현대백화점 지점.

옛 그레이스 백화점을 현대백화점 측에서 인수한 점포이다.[1]

연도순위연 매출신장율
2016년21위4,949억원4.2%
2017년21위4,898억원-1.1%
2018년20위4,790억원-2.2%
2019년24위4,292억원-10.4%
2020년25위3,734억원-16.7%
2021년27위3,708억원-0.5%
2022년34위3,778억원1.9%


2. 상세[편집]


대학가 상권이자 부도심으로 유명한 신촌 상권 일대의 유일한 백화점으로서, 코치, 프라다, 페라가모, 골든구스, 토리 버치, 태그 호이어 등의 명품 브랜드들이 입점해있다.[2] 인근의 마포구서대문구 일대에 별다른 대기업 백화점이 없기 때문에, 나름 쏠쏠하게 5000억 대까지 연매출을 올리는 점포였다.

그러나 협소한 매장 규모와 홍대거리연남동 상권의 성장, 그에 따른 신촌역 및 이대역 상권 일대의 침체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매출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다만 옛 그레이스백화점 인수 이후 리모델링 작업을 하지 않은 낡은 외관과 개점 이후 별다른 리뉴얼 작업 없이 방치된 점도 적잖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3] 현재는 강 건너 여의도더현대서울의 오픈과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신촌 상권의 지속적인 침체로 점점 매출이 3천억 후반대에서 하락 내지는 정체 상태이다 [4].
[문화] [공연] [U] [1] 한때 장사가 잘 되던 그레이스 백화점이었으나, 동아일보1990년대 대특종 기사 중 하나인 여자화장실 몰래카메라 설치 폭로 기사로 엄청난 타격을 받았다. 이후 1997년 외환 위기때 최종 파산했다.[2] 버버리티파니도 있었으나 철수했으며 이들은 더현대 서울로 사실상 매장을 이전했다.[3] 사실상 별관의 역할을 하는 유플렉스의 경우, 2020년에 LVMH의 뷰티 편집숍 세포라와 체험형 서점 아크앤북 등이 입점하면서 전층 리뉴얼 작업을 마쳤다.[4] 이는 비슷하게 부도심에 입지한 현대백화점 천호점이 꾸준한 리뉴얼로 롯데 잠실과 스타필드 하남의 틈바구니에서도 4천억대 매출을 회복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심지어 원래 매출 규모는 신촌점이 더 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3:36:41에 나무위키 현대백화점 신촌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