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호세이대학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파일:도쿄도 문장_White.svg 도쿄도사립 대학
||
||
그 외
{{{-2 ※ 도쿄도에 사립 대학은 총 113곳이 있다. 현재 틀에 없고 나무위키에 문서로도 존재하지 않는 도쿄도의 사립 대학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고
※ 조선대학교는 문부과학성이 아닌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은 사립대학법상의 각종학교로 분류되는 사실상의 대학으로 간주된다.}}}
※ 둘러보기: 일본의 사립 대학





파일:도쿄6대학 연맹 로고.jpg
도쿄 6대학 야구 연맹
東京六大学野球連盟
TOKYO BIG6 BASEBALL LEAGUE
||



法政大学(ほうせいだいがく
호세이대학
Hosei University

파일:호세이대학 로고.png

대학 정보
정식 명칭法政大学
모토일어自由と進歩
한국어자유와 진보
영어Liberty and Progress
설립 연도1880년 (144주년)[1]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소재이치가야(市ヶ谷) 캠퍼스
도쿄도 치요다구 후지미
타마(多摩) 캠퍼스
도쿄도 마치다시 아이하라마치
코가네이(小金井) 캠퍼스
도쿄도 코가네이시 가지노초
분류사립대학
설립자삿타 마사쿠니 (薩埵正邦)
가나마루 마가네 (金丸鉄)
이토 오사무 (伊藤修)
총장히로세 카츠야 (廣瀬克哉)
이사장코아키모토 단 (小秋元段)
재학생학부28,843명 (2019년)
대학원1,891명 (2019년)
유학생1,500명 (2019년)
교직원교원769명 (2023년)
직원581명 (2023년)
상징마스코트에코뿅 (えこぴょん)[2][3]
색상
오렌지
블루
링크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이치가야 캠퍼스
타마 캠퍼스
코가네이 캠퍼스


1. 개요
2. 역사
2.1. 연혁
3. 상징
4. 교가
5. 마스코트
6. 캠퍼스
6.1. 이치가야(市ケ谷) 캠퍼스
6.2. 타마(多摩) 캠퍼스
6.3. 코가네이(小金井) 캠퍼스
7. 학부, 학과
7.1. 이치가야(市ケ谷) 캠퍼스
7.2. 타마(多摩) 캠퍼스
7.3. 코가네이(小金井) 캠퍼스
7.4. 통신교육과정
8. 대학원
9. 부속 기관
10. 국제 교류
10.1. 해외 거점교류 기관
10.1.1. 아시아
10.2. 한국 대학 · 연구 기관과의 관계
11. 부속 학교
12. 기타
13. 출신 인물
13.1. 법조인, 관료, 정치인
13.2. 기업인
13.3. 학계, 문화계
13.4. 아나운서
13.5. 연예인
13.6. 성우
13.7. 운동선수
13.8. 그 외



1. 개요[편집]


파일:호세이대학 캠퍼스.jpg
▲ 호세이대학
▲ 호세이대학 캠퍼스 소개 영상

도쿄도 치요다구 후지미에 본부를 두고 있는 일본의 사립대학이다. 일본 내에서도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대학중 하나이다.

도쿄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와세다대학, 메이지대학, 릿쿄대학과 함께 도쿄 6대학으로 불리며, 일본 도쿄의 5대 사립대학인 MARCH의 일원이기도 하다.

또한, 호세이대학은 일본 정부로부터 슈퍼글로벌대학으로 지정되어 있어 학부/연구과를 졸업하고 일본 고도인재 외국인 대상 포인트 우대제도 신청 시 가산점 10점을 받을 수 있다.

대학의 약칭은 호다이(法大(ほうだい) 또는 호세이(法政(ほうせい). 한국식 한자 직독 발음은 법정대학.

2. 역사[편집]


1880년 4월 설립된 도쿄법학사(東京法学社)[4]와 1886년 설립된 도쿄 프랑스 학교(東京仏学校)를 전신으로 하는 대학이다. 1883년, 프랑스 출신의 법학자 귀스타브 에밀 보아소나드(Gustave Émile Boissonade)가 파리 대학교에서 교감으로 부임한 이후 프랑스 전통법학의 명맥을 이어 받았다.

전신인 도쿄법학사(東京法学社)는 일본의 5대 법률학교[5] 가운데 최초로 설립되었다.

1920년, 하라 다카시 내각에 의해 공포된 대학령[6]에 의해 대학이 된 구제대학 중 하나이며,[7] 일본 전체에서는 도쿄대학에 이어 두 번째, 사립대학에서는 최고(最古)의 법학부를 보유하고 있다.

일본 사립대학으로는 처음으로 법학부(1920년)와 사회학부(1952년)가 설치되었고, 경제학부(1920년)는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와 함께 첫번째, 경영학부(1959년)도 메이지대학 경영학부(1953년)에 이어 두번째로 설치되었다. 수많은 전통학부[8]가 존재한다. 1947년에는 일본 최초로 대학 통신 교육 과정을 설립하였다.

일본 국내에 로스쿨제도가 도입된 2004년부터, 일본 전국의 로스쿨 설치대학 35개 대학[9] 중 하나로 선정되어 법과대학원을 운용하고 있다.

일반 입시의 실지원자 수로는 2019년, 2020년, 2022년에 일본 제일이다.

2.1. 연혁[편집]




3. 상징[편집]


파일:호세이대학 엠블럼.jpg파일:Hosei_Univ_Logo.png
로고교장


4. 교가[편집]


호세이대학 교가 (法政大学校歌)
일본어한국어
作詞:佐藤春夫
作曲:近衛秀麿
一。
若きわれらが命のかぎり
ここに捧げて(ああ)愛する母校
見はるかす窓(の)富士が峰の雪
蛍集めむ門の外濠
よき師よき友つどひ結べり
法政 おお わが母校
法政 おお わが母校
二。
若きわれらが命のかぎり
ここに捧げて(ああ)愛する母校
われひと共にみとめたらずや
進取の気象質実の風
青年日本の代表者
法政 おお わが母校
法政 おお わが母校
작사:사토 하루오
작곡:고노에 히데마로
1절
젊은 우리들이 목숨 다하도록
여기 목숨바쳐 사랑할 모교
창 너머 비치는 눈 덮인 후지산 산등성이
반딧불 모여드는 여울목 소토보리
좋은 스승 좋은 벗들 모여 맺어진
호세이 오오 우리들의 모교
호세이 오오 우리들의 모교
2절
젊은 우리들이 목숨 다하도록
여기 목숨바쳐 사랑할 모교
나와 다른이 더불어 이루는
진취적 기상 실질적 학풍
청년 일본의 대표자
호세이 오오 우리들의 모교
호세이 오오 우리들의 모교

5. 마스코트[편집]


파일:hosei_ecopyon.jpg
에코뿅 (えこぴょん)
세계를 무대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토끼.

6. 캠퍼스[편집]



6.1. 이치가야(市ケ谷) 캠퍼스[편집]


파일:Hosei_Univ_Ichigaya_Boissonade_Tower.jpg
이치가야 캠퍼스 보아소나드 타워

파일:Hosei_Univ_Ichigaya_Fujimi_Gate.jpg
이치가야 캠퍼스 후지미 게이트

파일:Hosei_Univ_Ichigaya_Fujimi_Gate_Hall.jpg
이치가야 캠퍼스 학생홀(후지미 게이트 1층)

東京都千代田区富士見2-17-1
2-17-1 Fujimi, Chiyoda-ku, Tokyo 102-8160, Japan

대학 본부가 위치하는 캠퍼스.

도쿄의 도심중에서도 노른자땅에 위치한다. 근처에는 방위성을 비롯해 야스쿠니 신사, 구 에도성 성곽터, 고쿄(皇居)가 있다.


보아소나드 타워(2000년, Boissonade Tower) 출처 및 사진, 후지미자카 교사(2006년, 富士見坂校舎) 출처 및 사진, 소토보리 교사(2007년, 外濠校舎) 출처 및 사진, 후지미 게이트(2016년, 富士見ゲート) 출처 및 사진, 오오우치야마 교사(2019년, 大内山校舎) 출처 및 사진 등 2000년대 들어 대규모 신개축 공사를 진행한 덕분에 학교 시설은 깔끔하며, 특히 후지미 게이트 교사와 오오우치야마 교사 같은 경우는 신설된지 얼마되지 않았다.
재학생 숫자에 비해 교지면적이 현저하게 좁은 편이나, 장기간(2014년~2021년)에 걸쳐서 기존에 대규모 강의동으로 사용되어 왔던 55년관, 58년관 철거공사를 진행했으며, 2021년 1월에 공사를 완료했다. 출처 및 사진

3~400명 이상의 대규모 학부수업은 주로 소토보리 교사와 후지미 게이트 교사에서 이루어지며, 세미나와 연구실습 위주의 소규모 수업이 각각 후지미자카 교사와 보아소나드 타워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오오우치야마 교사는 주로 중규모 수업위주로 쓰인다.

보아소나드 타워(Boissonade Tower)는 창립120주년을 기념해 건립된 호세이대학의 상징과도 같은 건물로 지하 4층, 지상27층으로 연건평 3만8592m², 높이 122.43m 로 이루어져 있다. 출처

학부생들은 지하1층 학생식당과 지상4층에서 11층까지의 세미나실 공간을 주로 이용하며, 지상12층부터 지상24층까지는 각종 연구소와 교수연구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 1층에서 3층까지는 대학홍보실과 보건소, 시청각실 등이 위치하며, 지상25층에는 교우실, 교수식당, 그리고 지상26층에는 대규모 학회 등을 개최할 수 있는 스카이홀(Sky Hall)이 있다.

대학 전망대도 이곳에 위치하는데, 도쿄의 중심지에서 바라보는 도심풍경은 일류호텔의 전망대 못지 않다.

대부분의 학부생과는 비교적 관계가 적은 법과대학원동(로스쿨), 회계대학원동, 일반대학원동(92년관), 신미츠케 교사(新見附校舎, 교수연구동 별관), 히토쿠치자카 교사(一口坂校舎, 대학출판부, 사무동), 구단 교사(九段校舎, 학교법인, 조합 사무동), 이치가야 타마치 교사(市谷田町校舎校舎, 디자인 공학계열 연구과)는 이치가야 캠퍼스 주변에 산재해 있다.

또한, 이용 빈도와 존재감은 낮은 건물로는 실내 복합체육관이 있는데, 운동계열 동아리활동을 하는 재학생이거나 교양체육으로 실내스포츠를 선택한 1학년 재학생이라면 이이다바시 방면의 후지미사카 후문 바로옆에 위치한 이 실내 복합체육관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출처 및 사진

이치가야 도서관(80년관)은 지상3층(2층:개가식 열람실과 3층:일반열람실), 지하4층(=지상 1층: 간행물 열람실과 지하1~3층:일반서고, 지하4층:자동서고)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서수 200만권 이상을 자랑하는 현대식 도서관이다. 출처 및 사진

학부생들은 그다지 이용하지 않으나, 야마노테 컨서시엄에 등록된 타대학 도서관들과 출입 및 이용을 공유 할 수 있어서, 학내외의 대학원생이나 연구원, 교직원 등에게는 장서수나 희귀도서자료가 많은 만큼 각광 받고 있다.
또한, 이용 공유를 하지 않는 그밖의 타대학 도서관이나 국립국회도서관 등은 도서관 소개장이 있으면 이용이 가능하다.
물론 타 캠퍼스와의 상호대출 및 이용도 가능하다.

이 건물의 서고 쪽 입구 지상3층부터 지상9층까지는 교수연구동이며, 각종 연구실에서 전용엘리베이터로 바로 도서관까지 연결되어 있어 연구환경이 대단히 쾌적하다. 비바람 등 기상변화가 심한 환경을 어느정도 고려해 설계했다.

후지미 게이트 1층에는 대학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문구점과 편의점, 서점, 여행사 등이 완비되어 있다.
대학로고가 찍힌 볼펜이나 공책 등 간단한 기념품도 이곳 대학협동조합의 문방구에서 구할 수 있다.
대학협동조합이 활성화 되어 있는 대학이니만큼, 문구점, 편의점, 서점은 시설이나 규모면에서 대단히 훌륭한 편이다. 출처 및 사진

등록금에 책정된 협동조합비로 운용되고 있는데, 문방구, 일상물품, 국내외 여행상품 할 것 없이 할인가격으로 책정되어 있어 학내에서 이 매점을 이용하는 편이 모든면에서 이득이고 편리하다.

각 건물간의 거리를 고려해 대학협동조합 매점 이외에도 소토보리 교사 1층에는 외부업체 프렌차이즈 편의점 세븐일레븐도 있는데 도쿄도내 세븐일레븐 매상 Top 3 점포에 든다고 한다.

이치가야 캠퍼스는 도쿄에서도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다. 치요다구는 오피스 건물 위주의 지역이다.
이용할 수 있는 역으로는 JR 이치가야역JR 이이다바시역이 있는데 JR 이치가야역이 50m정도 더 가까우며, 지하철(Tokyo Metro)의 경우는 대학원동 쪽에 위치한 Tokyo Metro 이치가야역 출구가 80m 정도 가깝다.

야스쿠니 신사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본부, 체신병원(逓信病院, 옛 체신성 전용병원) 등이 이치가야 캠퍼스 바로 옆에 인접해 있어, 특히 이이다바시 방면의 후지미사카 후문 주변은 일상적으로 경찰이 삼엄한 경계근무를 선다.
문화연맹이라는 이름으로 중핵파계 활동가들이 대학 당국의 학생운동 탄압을 규탄하는 집회를 하곤 한다.[16]

6.2. 타마(多摩) 캠퍼스[편집]


파일:Hosei_Univ_Tama_1.jpg
타마 캠퍼스 1호관(종합동)

파일:Hosei_Univ_Tama_V_Bridge.jpg
타마 캠퍼스 V브리지

東京都町田市相原町4342
4342 Aihara-cho, Machida-shi, Tokyo 194-0298, Japan

경제학부, 사회학부, 현대복지학부, 스포츠건강학부로 구성된 이원화 캠퍼스.

1984년에 조성되어 한국의 이원화캠퍼스 개념으로 기존의 이치가야 캠퍼스에 있었던 경제학부와 사회학부의 이전을 필두로 시작된 교지이다. 이치가야 캠퍼스의 공간문제와 더불어 버블경제 전후의 도심지가 상승과 건설비 급등의 시기에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게다가, 대학당국이 학생운동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던 시기였던만큼, 대학이사회에서 사회비판적 성향이 강했던 사회학부와 경제학부를 택했다는 설이 설득력이 있다. 실제로 사회학부는 교원집행부부터 시민운동에 중점을 둔 지식인들이 모여드는 곳이었고, 경제학부는 전통적으로 마르크스 경제학을 지향하는 학문적 성향이 강했으므로, 비교적 태세에 순응적인 법학부와 문학부, 경영학부 등은 도심에 남겨둔채 이들 학부가 우선적으로 택해졌다.[17]

별명 ‘호세이산(法政山)’. 캠퍼스 안에 V브리지와 호세이대교라는 큰 다리가 두개나 있다. 산[18] 한 가운데에 있다. 지형상의 이유로 인해 버스를 탈 수 밖에 없는 환경이라서[19] 학생들의 불만이 지대한 편이다.

타마 캠퍼스에 재학하는 1학년은 체육 수업이 있는데[20] 이 체육관이라는 곳이 캠퍼스 한구석에 있다.학내에서 운영하는 버스가 있긴하지만, 경제학부라면 모를까 사회학부, 현대복지학부는 체육수업 전에 다른 수업이 있다면 꽤나 바쁘다. 가끔 너구리가 출몰하는 경우도 있다.

소재지를 하치오지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은 마치다시이다.

캠퍼스 내의 상징물로는 경제학부내에 세워져있는 평화기념비[21]가 있다. 출처 및 사진[22]

6.3. 코가네이(小金井) 캠퍼스[편집]


파일:Hosei_Univ_Koganei_North.jpg
코가네이 캠퍼스 북관

파일:Hosei_Univ_Koganei_Courtyard.jpg
코가네이 캠퍼스 정원

東京都小金井市梶野町3-7-2
3-7-2 Kajino-cho, Koganei-shi, Tokyo 184-8584, Japan

정보과학부, 이공학부, 생명과학부로 구성된 이공학계열 이원화 캠퍼스.

디자인 공학부와 대학원 디자인 공학연구과만 이치가야 캠퍼스에 위치하며, 그밖의 모든 이공계열 학과는 여기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학부들에 비해서 존재감이 적으며 조용한 편이다. 인문사회계열 학부들과 교류가 거의 없어서 종합대학의 학부가 아니라 독자적인 이공대학에 가까운 느낌이 든다.

가장 가까운 역은 JR 주오센(中央線)히가시코가네이역이다.

최근 인기를 모으고 있는 국제기독교대학(ICU)와도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도쿄의 무사시노(武蔵野) 지역사회에 위치하는 대학으로서의 존재감도 함께 공유하는 면이 있다. 두 대학 모두 주택가와 인접해 위치하고 있다.

실험실과 실습실 환경은 도심에 위치한 대학과 비교해 매우 충실한 편이며, 교원에 의한 실험실습 지도도 인적거리가 가까운 편이다.

전공의 특성상 이공학계열, 정보계열, 생명공학계열 모두 학부과정 졸업자들의 전공관련 실무취업율 및 사회진출도는 높다.

버스가 적기 때문에 역에서 학교까지 걸어다니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7. 학부, 학과[편집]



7.1. 이치가야(市ケ谷) 캠퍼스[편집]



7.2. 타마(多摩) 캠퍼스[편집]



7.3. 코가네이(小金井) 캠퍼스[편집]



7.4. 통신교육과정[편집]



8. 대학원[편집]



9. 부속 기관[편집]



10. 국제 교류[편집]


국제적인 순위로는 2020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아시아권 대학 가운데 401~450위권에 들었다. 2023년 THE 일본 대학 랭킹에서는 59위, 2020년 아시아대학순위에서는 351~400위권으로 평가됐다.[23]

10.1. 해외 거점교류 기관[편집]



10.1.1. 아시아[편집]



10.2. 한국 대학 · 연구 기관과의 관계[편집]



11. 부속 학교[편집]



12. 기타[편집]


대학명의 정확한 한국어 명기는 法(호우) 政(세이) 호우세이, 이걸 大学(다이가꾸)와 함께 읽으면 일본어의 순모음과 탁음과의 상관관계에 의해 '호우세에 다이가꾸'에 가깝다.

즉, 法政(ほうせい, 호우세이)의 政(せい, 세이) 라는 발음이 大学(だいがく, 다이가쿠)의 大(だい, 다이) 의 발음 부분에 붙은 탁음(゛)과 결탁해 '호우세에 다이가꾸'에 가깝게 들린다.

현대의 한국어에 의한 외래어 표기에서는 이중모음을 중복해 사용하거나 일본어의 장음을 표기하지 않으므로 보다 정확한 한글 표기는 '호우세이 대학'이 맞다.

1931년 5월 29일, '호세이 항공 연구회' 소속 학생인 당시 경제학부 2학년 구리무라 다카히로(栗村盛孝)가 비행교관 구마가와 료타로(熊川良太郎)와 함께 이시카와지마(石川島) 항공기 제작소에서 만든 기체에 영국제 Cirrus Hermes 105마력 엔진을 얹은 프로펠러 복엽기를 몰고 도쿄비행장[24]에서 이탈리아 로마를 향해 출발했다. 교가 2절에도 나오는 '청년 일본'이라는 구절에서 딴 '청년 일본호'라 명명한 이 비행기로 13,671km에 걸친 길고 긴 여정 동안 엔진고장으로 3번이나 불시착을 해가며 100여일간 독일, 영국, 프랑스를 거쳐 같은해 8월 31일에 로마에 도착했다.

이후, 와세다대학, 센슈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메이지대학 등의 대학에 항공부가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25]

1960년대 안보투쟁에서 비롯된 학생운동을 주도한 대학중 하나였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대학의 사회적 인지도에도 타격이 컸다고 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 호세이대학의 중핵파(中核派)와 와세다대학의 마르크스 혁명파(革マル派)간의 치열한 게릴라식 다툼이 있어왔으나, 각각의 학생운동가들이 아지트로 삼고있던 학생회관을 양쪽의 대학당국이 강제철거하면서 잠잠해졌다.

일본의 학생운동은 1968년에서 1969년 사이에 도쿄대학 혼고캠퍼스 야스다강당에서 의학부학생들의 점거농성[26]에 대한 강경진압을 계기로 원동력을 상실했으나, 호세이대학과 와세다대학 등 일부 대학의 학생운동가들은 그후에도 명맥을 이어가며 2000년대 초반까지도 소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미 사회적 이슈를 상실한 현황에서 이어진 학생운동은 사회적인 지지를 얻지는 못했으며, 오히려 정권과 공안에 의해 집요하게 역이용 당하며 와해되어 갔다. 출처 및 관련 사진

한국에서도 1996년 8월, 김영삼 정부 재임 기간중에 있었던 '한총련 연세대 사태'로 인해 학생운동의 사회적 파급력은 급격히 줄어들게 되었는데, 당시 정권초기부터 끝없이 이어진 사회적 사건들 (=서해페리침몰사고, 대구지하철폭발사고,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등, 그리고 이후에도 이어진 대한항공기 괌추락사고, 외환위기로 인한 국가도산.... ) 로 인해 레임덕에 허덕이던 정권측 인사들과 공안당국이 일본의 학생운동 와해과정을 분석해가며 쥐몰이식 소탕작전을 함으로써 점거농성을 일삼는 학생운동세력을 사회적 적대세력화함으로 인해 돌파구를 물색했다는 분석이 나올만도 하다.

라이벌인 메이지대학에 대항해서 보아소나드 타워를 지었는데, 높이는 이겼지만 내용물은 패배다. 면적에서도 졌다. 메이지대학의 리버티 타워는 애초부터 학생교육용으로 만들어진 것에 반해, 보아소나드 타워는 교수연구용으로 만들어진 모양이며 평일에도 세미나실 가동률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자유'와 '진보'라는 대학의 설립이념에 입각해 건설 당시 리버티 타워라는 명칭도 고려했으나, 수개월 먼저 준공한 메이지대학이 리버티타워라는 이름을 붙인데다가 이전부터 메이지대학과 있어왔던 도쿄법학사(東京法学社)의 전통과 명맥을 둘러싼 정통성 논쟁에 종지부를 찍는다는 의미에서 보아소나드 타워가 되었다.

약칭을 '법대(法大)'로 할지 '법정(法政)'으로 할지 의견이 갈린다. '법정생(法政生,호세이세이)'은 어감이 별로라 '법대생(法大生)'쪽이 널리 쓰여지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대학의 고유명사로서 전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통상 일본에서 '법대(法大)'라는 약칭을 쓰는 대학은 호세이대학이 유일하다.[27]

이공학부에 생명과학부라는, 오랜만에 이름이 멀쩡한 학부가 생겼다. 하지만, 학과에 따라서는 후쿠시마로 던져진다. MARCH에서 유일하게 파일럿 육성 코스가 있다.

애니메이션 골든 타임의 주인공들이 다니는 후쿠라이대학(福来大学)의 모델이 된 대학이다.

매년 봄과 가을에는 도쿄 6대학의 교류가 있으며, 특히 스포츠 교류가 있는 시기의 점심시간에는 라이벌대학과의 응원전을 볼 수 있다. 대단히 큰 음량으로 취주악단의 연주가 들리는데 한국의 대학문화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장면이다. 관련 영상

최근 수험생과 수험 업계 사이에서 대학에 대한 평판이 좋으며. 재학생들 사이에서도 애교심이 높아졌다.

13. 출신 인물[편집]



13.1. 법조인, 관료, 정치인[편집]




13.2. 기업인[편집]



13.3. 학계, 문화계[편집]



13.4. 아나운서[편집]




13.5. 연예인[편집]




13.6. 성우[편집]




13.7. 운동선수[편집]




13.8. 그 외[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8:04:35에 나무위키 호세이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20년에 대학으로 승격되었다.[2] 2008년 대학교 마스코트 공모전에서 탄생된 마스코트로, 호세이대학 학생이 디자인했다고 하며, 세계 무대에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에 종사하는 토끼라고 한다.[3] 파일:호세이대학 마스코트.jpg[4] 1881년 도쿄법학교(東京法学校)로 개칭[5] 도쿄법학교 (현 호세이대학), 메이지법률학교 (현 메이지대학), 센슈학교 (현 센슈대학), 도쿄전문학교 (현 와세다대학), 이기리스법률학교 (현 주오대학)[6] 제국대학 이외의 대학 설치를 명한 최초의 행정명령[7] 대학령에 의해 기존의 법학교에 대학이 설치되어 승격된 곳이 와세다대학, 메이지대학, 주오대학 등이며, 학원에서 대학으로 승격된 곳은 게이오기주쿠대학이다.[8] 문학부는 법학부에서 1922년에 독립, 상기의 사회학부는 법학부 정치학 전공에서 1952년에 분리, 그리고 경영학부는 경제학부 경영학 전공에서 1959년에 분리됨[9] 국립15개교, 공립2개교, 사립18개교[10] 당시 남작[11] 제11, 13, 15대 내각총리대신[12] 제26대 내각총리대신[13] 제36대 문부대신[14] 제31대 사법대신[15] 당시 제7대 도쿄시장[16] 학생들에게 방해만 될 뿐, 아무도 듣지 않는다.[17] 현재의 대학로가 위치한 동숭동에서 1975년에 이전한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의 이전 과정과도 흡사하다. 실제로 관악캠퍼스의 초기 이전 과정을 그대로 답습한 흔적이 역력하며, 관악캠퍼스의 초기 건물들과도 분위기가 비슷하다.[18] 지도[19] 몇년전에 학생할인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그 전에는 일반요금 적용. JR니시하치오지-학교 요금이 월 만엔을 넘어갔던듯. 학생요금 적용 이후에는 월 7-8천 수준[20] 필수, 못따면 유급[21] http://www.hoseikeiyukai.jp/event/kinenhi.html[22] 많은 학생이 학업의 도중에 군이나 공장에 동원되어 학원과 학문을 포기할 수 밖에 없는 불행한 시대가 있었다. 50년전의 일이다. 너희들은 절대 그러한 청춘을 보내서는 안된다. 1995년 8월 호세이대학 경제학부 동창회[23] 알려진 명성에 비해 세계 랭킹이 저조한 이유는 문과가 강세인 인문사회과학 중심의 대학이기 때문이다. 다른 MARCH권의 대학이나 그 유명한 히토쓰바시대학도 마찬가지이다.[24] 현재의 하네다 공항[25] 호세이대학 홈페이지 - 소장자료 Vol.23[26] 도쿄대학 분쟁(東大紛争)[27] 일본 위키백과 참조[28] 릿쿄대학 전후(戦後) 첫 외국인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