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소제(전한)

덤프버전 :


한 황제
[ 펼치기 · 접기 ]

전한 前漢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고제혜제소제소제문제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경제무제소제폐제선제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원제성제애제평제정안공
후한 後漢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광무제명제장제화제상제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안제소제순제충제질제
제26대제27대제28대말대
환제영제소제헌제
비정통
동제




한 제4대 황제
소황제 | 少皇帝
즉위기원전 184년 6월 15일
전한 장안 미앙궁
(現 산시성 시안시)
사망기원전 180년 11월 14일
전한 장안 미앙궁
(現 산시성 시안시)
능묘미상
재위기간전한의 황제
기원전 184년 6월 15일
~ 기원전 180년 11월 14일
[ 펼치기 · 접기 ]

성씨유(劉)
산(山) → 의(義) → 홍(弘)
부모부황 혜황제(?)
친모 알 수 없음
배우자폐후 여씨
작호양성후(襄城侯)→ 상산왕(常山王)
제호후소황제(後少皇帝)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한(漢)나라의 제4대 황제.


2. 생애[편집]


원래 이름은 유산(劉山)이었으나, 상산왕(常山王)이 된 이후에는 유의(劉義)로 개명하고 황제로 즉위한 후에는 유홍으로 개명하였다.

혜제(惠帝)와 후궁인 미인과의 사이에 태어났다고 하지만 혜제가 정말 친아버지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처음은 양성후(襄城侯)으로 봉해졌다. 상산왕[1] 유불의(劉不疑)가 죽자 그 대를 이어 상산왕으로 봉해졌다. 후에 형(?)인 한 전소제가 여태후에 살해되었고, 그녀에 의해서 황제로 즉위했다.

기원전 180년에 여후가 사망하자, 황족이나 원로 신하인 진평, 주발, 관영 등은 여씨 일족을 몰아내고 소제 유홍은 혜제의 아들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형제들인 상산왕 유조[2], 회양왕 유무[3], 양왕 유태와 함께 감금하였다. 대왕인 유항이 즉위한 뒤 즉위 직전에 소제 유홍은 여음후 하후영에 의해 궁내에서 추방되어 소부에 감금되었다. 소제 유홍은 한문제가 장안에 입성할 때 형제들과 함께 독살되었다.

소제 유홍과 그의 형제는 실은 여태후가 은밀하게 궁내로 데리고 들어간 사람들로 혜제의 친자식은 맞는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혜제가 23세의 나이로 요절했고, 여러 정황상 혜제의 친자식일 확률보다 여태후가 자기 친족의 아이들을 데리고 왔을 가능성도 있지만, 혁명 이후에 문제와 한문제를 따르는 신하들이 조작했다는 설, 여후의 난 이후 사실상 반역이나 다름없는 공신들의 행적을 무마하기 위해 조작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어느 설도 명확한 근거가 없어서 불확실하다.

사후에도 황제로 취급받지 못하여 피휘 대상이 아니었다. 따라서, 황족이긴 하지만 평민이나 다름 없었던 유홍 (유비의 아버지)도 이 이름을 아무렇지도 않게 썼다.

[1] 원래는 항산왕인데 항(恒)자가 한문제의 이름과 같아서 훗날 피휘를 위해 상(常)자로 개명되었다.[2] 소제 즉위 후 상산왕이 되었다.[3] 형 회양왕 유강 사후 세습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