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히버니언 FC

덤프버전 :





파일:히버니언 FC 로고.svg
히버니언 FC
Hibernian FC
정식 명칭Hibernian[1] Football Club
별칭Hibs, The Hebees, The Cabbage
창단1875년 8월 6일 (148주년)
소속 리그스코티시 프리미어십 (Scottish Premiership)
연고지에든버러 (Edinburgh)
홈구장이스터 로드 (Easter Road)
(20,421명 수용)
라이벌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 에든버러 더비
구단주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톰 파머 경 (Sir Tom Farmer)
감독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닉 몽고메리 (Nick Montgomery)
주장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폴 한론 (Paul Hanlon)
공식 웹사이트파일:히버니언 F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기록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1부)
(4회)
1902-03, 1947-48, 1950-51, 1951-52
스코티시 챔피언십 (2부)
(9회)
1972-73, 1991-92, 2006-07, 1893-94, 1894-95, 1932-33, 1980-81, 1998-99, 2016-17
스코티시컵
(3회)
1886-87, 1901-02, 2015-16
스코티시 리그컵
(3회)
1972-73, 1991-92, 2006-07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울리세스 데 라 크루즈 (Ulises de la Cruz)
(2001년, From LDU 키토, 70만 £)
최고 이적료 방출스콧 브라운 (Scott Brown)
(2007년, To 셀틱 FC, 440만 £)
최다 출장고든 스미스 (Gordon Smith) - 636경기 (1941-1959)
최다 득점고든 스미스 (Gordon Smith) - 303골 (1941-1959)

1. 개요
2. 역사
3. 최근 시즌
3.1. 2021-22 시즌
3.2. 2022-23 시즌
3.3. 2023-24 시즌
4. 스쿼드
5. 여담
6. 둘러 보기



1. 개요[편집]


에든버러를 연고로 하는 축구 구단이며, 현재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에 참가하고 있다. 같은 도시에 연고지를 두고 있는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와 지역 라이벌 관계에 있다. 보통은 그냥 힙스 (Hibs)라고 부른다.


2. 역사[편집]


1875년 아일랜드의 이민자들이 하이버니언스라는 이름으로 클럽을 만들었으며 이는 팀의 이름[2]과 상징 색깔, 그리고 로고에 나타난다. 하지만 현재에는 아일랜드의 민족성이나 종교는 그다지 중요하게 받아 들여지지 않고 있다.

스코틀랜드 축구 최상위 리그에서 4회 우승 경력이 있으며 스코틀랜드 축구의 양대 산맥인 레인저스 FC셀틱 FC 다음으로 많은 우승 횟수이다. 2013-14 시즌에는 11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가 2016-17 시즌 2부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1부 리그로 복귀했다.

2019-20 스코티시 컵 4라운드에서 던디 유나이티드 FC와 2:2로 비겼지만 홈에서 열린 재경기에서 4:2로 승리하며 5라운드에 진출하였다.5라운드에서 5부리그 팀인 BSC 글래스고를 4: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그러나 8강마저 인버네스 캘리도니언 시슬 FC을 5:3로 꺾고 4강에 안착하였다.4강 상대는 8강에서 레인저스 FC를 1:0으로 꺾은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를 만났으나 아쉽게도 패하면서 탈락했다.

2021-22 스코티시 리그컵 4강에서 레인저스 FC를 꺾고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대회 디펜딩 챔피언인 세인트 존스톤 FC를 꺾고 올라온 셀틱 FC이다. 하지만 결승에서 셀틱에게 1:2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21년 12월 21일, 셀틱의 레전드 출신인 숀 말로니가 새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2022년 4월 19일, 성적 부진의 이유로 경질되었다. 잔여 시즌을 데이비드 그레이가 감독 대행직을 수행하기로 했다.

한편, 유럽대항전은 유로파 리그 전신 UEFA컵 예선부터 진출을 했으며, 컨퍼런스 리그가 생기고나서는 컨퍼런스 리그 예선에 진출하고 있다.


3. 최근 시즌[편집]



3.1. 2021-22 시즌[편집]


전 시즌 리그 3위 자격으로 새롭게 신설된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2021-22 시즌 2차예선에 진출한다.[3]

UECL 2차예선 상대는 안도라의 FC 산타 콜로마. 1차전 3-0 승리, 2차전 2-1 승리로 도합 5-1 승리를 거두며 3차예선에 진출한다.
UECL 3차예선 상대는 크로아티아의 HNK 리예카. 1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거두지만, 2차전에서 1-4로 패배하며 도합 2-5 패배로 탈락한다.

리그에서는 정규 리그에서 33전 9승 11무 13패 승점 38점으로 7위를 기록해 눈앞에서 상위 스플릿 진출을 놓친다.
그 이후 진행된 하위스플릿에서 5전 2승 1무 1패로 승점 7점만을 확보하며 최종 리그 8위를 기록한다.



3.2. 2022-23 시즌[편집]


전 시즌에 리그 최종 8위를 기록해 유럽대항전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이번 시즌에는 정규 리그에서 33전 13승 5무 15패 승점 44점으로 상위스플릿에 진출했다.
이후 5전 2승 2무 1패로 승점 8점을 추가하며 최종 5위를 기록, 다음시즌에는 다시 유럽대항전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3.3. 2023-24 시즌[편집]


전 시즌 리그 5위 자격으로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2023-24 시즌 2차예선에 진출했다.[4][5]
UECL 2차예선 상대는 안도라의 인테르 클루브 디에스칼데스. 1차전에서는 1-2로 패배했다. 그러나 2차전에서 6-1로 대승하며 도합 7-3 승리로 3차 예선에 진출했다.
UECL 3차예선 상대는 스위스의 FC 루체른. 1차전에서는 3-1로 승리했다. 2차전에서 2-2로 비기며 도합 5-3 승리,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한다.
그런데 UECL 플레이오프 상대가 하필이면 프리미어 리그에서 7위를 기록한 아스톤 빌라 FC다. 총합 0-8로 대패하면서 실력차를 실감나게 했다.

4. 스쿼드[편집]


파일:히버니언 FC 로고.svg
히버니언 FC 2023-24 시즌 스쿼드 [주의]
[ 펼치기 · 접기 ]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GK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데이비드 마셜David Marshall
2DF파일:호주 국기.svg루이스 밀러Lewis Miller
4DF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폴 한론Paul Hanlon주장
5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윌 피쉬Will Fish[1]
6MF파일:웨일스 국기.svg딜런 레빗Dylan Levitt
7FW파일:프랑스 국기.svg엘리 유안Élie Youan
8MF파일:아일랜드 국기.svg제이크 도일헤이스Jake Doyle-Hayes
9FW파일:네덜란드 국기.svg딜런 벤테Dylan Vente
10MF파일:호주 국기.svg마틴 보일Martin Boyle
11M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조 뉴웰Joe Newell
12DF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크리스 캐든Chris Cadden
13GK파일:가나 국기.svg조 월러콧Joe Wollacott
14MF파일:호주 국기.svg제임스 제고James Jeggo
16DF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루이스 스티븐슨Lewis Stevenson
18MF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이완 헨더슨Ewan Henderson
19FW파일:잉글랜드 국기.svg아담 르 폰드레Adam Le Fondre
21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조던 오비타Jordan Obita
22FW파일:잉글랜드 국기.svg해리 매커디Harry McKirdy
23FW파일:웨일스 국기.svg크리스티안 도이지Christian Doidge
25GK파일:폴란드 국기.svg막스 보루츠Max Boruc
26DF파일:잉글랜드 국기.svg라일리 하보틀Riley Harbottle
28DF파일:벨기에 국기.svg알란 델페리에Allan Delferrière
29MF파일:포르투갈 국기.svg자이르 타바레스Jair Tavares
31GK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머리 존슨Murray Johnson
32MF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조시 캠벨Josh Campbell
33DF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로키 부시리Rocky Bushiri
37DF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오스카 매킨타이어Oscar McIntyre
40MF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르벤 매칼리스터Reuben McAlister
구단 정보
구단주: 톰 파머 경 / 감독: 리 존슨 / 홈 구장: 이스터 로드





5. 여담[편집]


  • 응원가는 Glory, Glory to the Hibees로 잘 알려져 있으며, 토트넘이나 맨유 등 다른 구단에서도 가사만 바꿔서 사용하고 있다. 2022년 9월 엘리자베스 2세가 서거하자 이 팀의 팬들이 'Lizzy's in a box'라는 구호를 응원가처럼 사용하기도 했다.


6. 둘러 보기[편집]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tablewidth=100%><width=25%><height=80> [[SK 라피트 빈|[[파일:SK 라피트 빈(1935-1968) 로고.gif|height=50]]]][br]
[[SK 라피트 빈|{{{#FFF 라피트 빈}}}]]
[br][[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0]]]] ||<width=25%> [[RSC 안데를레흐트|[[파일:RSC 안데를레흐트 로고(1933~1981).svg|height=50]]]][br]
[[RSC 안데를레흐트|{{{#FFF 안데를레흐트}}}]]
[br][[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width=25%> [[오르후스 GF|[[파일:오르후스 GF(구) 로고.svg|height=50]]]][br]
[[오르후스 GF|{{{#e41c12 AGF 오르후스}}}]]
[br][[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width=25%> [[스타드 드 랭스|[[파일:스타드 드 랭스 올드 로고 (1931-1991).svg|height=50]]]][br]
[[스타드 드 랭스|{{{#FFF 랭스}}}]]
[br][[프랑스 제4공화국|[[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0]]]] || ||<height=80> [[MTK 부다페스트 FC|[[파일:뵈뢰시 로보고 로고.svg|height=50]]]][br]
[[MTK 부다페스트 FC|{{{#fff 뵈뢰시 로보고}}}]]
[br][[헝가리 인민 공화국|[[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49-1956).svg|width=20]]]] || [[AC 밀란|[[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height=50]]]][br]
[[AC 밀란|{{{#000 밀란}}}]]
[br][[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 [[PSV 에인트호번|[[파일:PSV 에인트호번(1953-1960) 로고.png|height=50]]]][br]
[[PSV 에인트호번|{{{#FFF PSV 에인트호번}}}]]
[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 [[그바르디아 바르샤바|[[파일:그바르디아 바르샤바(구) 로고.svg|height=50]]]][br]
[[그바르디아 바르샤바|{{{#033f85 그바르디아 바르샤바}}}]]
[br][[폴란드 인민 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 ||<height=80> [[스포르팅 CP|[[파일:스포르팅 CP(1945-2001) 로고.svg|height=50]]]][br]
[[스포르팅 CP|{{{#FFF 스포르팅 CP}}}]]
[br][[포르투갈 제2공화국|[[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 [[1. FC 자르브뤼켄|[[파일:1. FC 자르브뤼켄(구) 로고.svg|height=50]]]][br]
[[1. FC 자르브뤼켄|{{{#FFE200 자르브뤼켄}}}]]
[br][[자르 보호령|[[파일:자르 보호령 국기.svg|width=20]]]] || [[히버니언 FC|[[파일:히버니언 FC(구) 로고.svg|height=50]]]][br]
[[히버니언 FC|{{{#FFF 히버니언}}}]]
[br][[스코틀랜드|[[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0]]]] || [[레알 마드리드 CF|[[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height=50]]]][br]
[[레알 마드리드 CF|{{{#a84199 R.마드리드}}}]]
[br][[프랑코 정권|[[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20]]]] || ||<height=80> [[유르고덴스 IF|[[파일:유르고덴스 IF(구) 로고.svg|height=50]]]][br]
[[유르고덴스 IF|{{{#0568af 유르고덴스}}}]]
[br][[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 || [[세르베트 FC|[[파일:세르베트 FC(구) 로고.svg|height=50]]]][br]
[[세르베트 FC|{{{#FFF 세르베트}}}]]
[br][[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 [[로트바이스 에센|[[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height=50]]]][br]
[[로트바이스 에센|{{{#FFF 로트바이스 에센}}}]]
[br][[서독|[[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 [[FK 파르티잔|[[파일:FK_Partizan_SD.jpg|height=50]]]][br]
[[FK 파르티잔|{{{#FFF 파르티잔}}}]]
[br][[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0]]]] || ||<-4> [include(틀:UEFA 챔피언스 리그/관련 문서)]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6:20:28에 나무위키 히버니언 F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ɪˈbɜːrniən[2] 라틴어로 아일랜드를 히베르니아(hibernia)라고 부른다. 즉 히버니언은 아일랜드인을 뜻한다[3] 21-22시즌 시작 기준, UEFA 14위인 스코틀랜드는 리그 1위에게 UCL 1차예선 진출권을, 리그 2위에게 UCL 2차예선 진출권을, 스코티시컵 우승팀에게 UEL 3차예선 진출권을, 리그 3,4위에게는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4] 23-24시즌 시작 기준, UEFA 9위인 스코틀랜드는 리그 1위에게 UCL 본선 32강 진출권을, 리그 2위에게 UCL 3차예선 진출권을, 스코티시컵 우승팀에게 UEL PO 진출권이, 리그 3위에게 UECL 3차예선 진출권이, 리그 4위에게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5] 전 시즌 스코티시컵 우승팀인 셀틱이 리그도 같이 우승하면서 리그 3위에게 UEL PO 진출권이, 리그 4위에게 UECL 3차예선 진출권이, 리그 5위에게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승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