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억 부 클럽

덤프버전 :

1. 개요
2. 회원
2.1. 소설
2.2. 만화
2.2.1. 한국
2.2.2. 국외
3. 외부 자료



1. 개요[편집]


정본, 단행본 판매 집계가 누적 1억 부를 넘는 작가들을 모아 정리한 글.


2. 회원[편집]


  • 가나다순.
  • 굵은 표시는 작품 하나만으로 1억 부 돌파.
  •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발행 부수 최소 기준으로 집계.
  • 발행 부수가 모든 자료에서 1억 부 이상일 때만 작성.

2.1. 소설[편집]


성명(필명)대표작
길버트 패튼
김용(1924)신조협려, 사조영웅전
딘 쿤츠
레프 톨스토이안나 카레니나, 전쟁과 평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로저 하그리브스, 애덤 하그리브스미스터 맨
루시 모드 몽고메리빨강머리 앤 시리즈
루이스 캐럴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마이클 크라이튼쥬라기 공원
무라카미 하루키노르웨이의 숲, 해변의 카프카, 1Q84
미겔 데 세르반테스돈키호테[D]
댄 브라운다빈치 코드
시드니 셸던
시바 료타로료마가 간다, 언덕 위의 구름, 나는 듯이
스티븐 킹샤이닝, 미저리, 언더 더 돔
스테프니 메이어트와일라잇 시리즈
알렉상드르 뒤마몽테크리스토 백작, 삼총사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어린 왕자
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 시리즈
애거서 크리스티애크로이드 살인사건,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1]
얼 스탠리 가드너변호사 페리 메이슨 시리즈
요시카와 에이지미야모토 무사시, 나루토 비첩, 전국지
윌리엄 셰익스피어로미오와 줄리엣, 베니스의 상인, 한여름 밤의 꿈, 햄릿
제인 오스틴오만과 편견
이언 플레밍007 시리즈
잭 캔필드, 빅터 한센
제프 키니
조설근홍루몽
존 그리샴레인메이커, 최후의 배심원, 거리의 변호사 등
질베르 들라예, 마르셀 마를리에
찰스 디킨스두 도시 이야기, 올리버 트위스트
클리브 커슬러
파울로 코엘료연금술사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죄와 벌,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하퍼 리앵무새 죽이기
해롤드 로빈스[F]
C. S. 루이스나니아 연대기 시리즈
E.L. 제임스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J. K. 롤링해리 포터 시리즈[D](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J. R. R. 톨킨반지의 제왕, 호빗[C]
R.L 스타인구스범스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

2.2. 만화[편집]



2.2.1. 한국[편집]


한국의 오백만부 돌파 만화
[ 펼치기 · 접기 ]

순위만화작가연재 기간권수수치
1위Why?예림당2001년~연재 중314권8600만부
2위보물찾기 시리즈강경효2003년~연재 중89권4500만부
3위먼나라 이웃나라이원복1981년~연재 중24권3700만부
4위살아남기 시리즈한현동2001년~연재 중50권3200만부
5위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홍은영서영수2000년~2006년25권3000만부
6위마법천자문스튜디오 시리얼 → 김현수 →
올댓스토리 → 김현수 →
유대영
2003년~연재 중59권2500만부
7위코믹 메이플스토리 오프라인 RPG서정은, 송도수2004년~2019년100권2000만부
8위내일은 시리즈미래엔2006년~연재 중111권1200만부
9위도시정벌신형빈1998년~연재 중271권1000만부
10위열혈강호전극진, 양재현1994년~연재 중86권800만부
11위노빈손 시리즈이우일1999년~연재 중60권700만부
12위박소희2002년~2011년28권570만부
13위신암행어사윤인완, 양경일2001년~2007년17권500만부
14위설민석의 한국사 대모험설민석2017년~연재 중23권500만부
15위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60선서울대2019년60권500만부
출처 1 / 출처 2



1억부는 아니지만 5백만부까진 있다. 거의 다 학습만화다.

2.2.2. 국외[편집]


일본의 1억 부 클럽 만화
[ 펼치기 · 접기 ]

순위만화작가연재 기간권수수치
1위원피스오다 에이치로1997년 ~ 연재 중106권5억 1,660만부
2위드래곤볼토리야마 아키라1984년 ~ 1995년42권3억부
3위고르고13사이토 타카오1968년 ~ 연재 중206권3억부
4위명탐정 코난아오야마 고쇼1994년 ~ 연재 중103권2억 7,000만부
5위나루토키시모토 마사시1999년 ~ 2014년72권2억 5,000만부
6위도라에몽후지코 F. 후지오1969년 ~ 1996년45권2억 5,000만부
7위슬램덩크이노우에 다케히코1990년 ~ 1996년31권1억 7,000만부
8위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아키모토 오사무1976년 ~ 2016년201권1억 5,700만부
9위귀멸의 칼날고토게 코요하루2016년 ~ 2020년23권1억 5,000만부
10위크레용 신짱우스이 요시토1990년 ~ 연재중45권1억 4,800만부
11위진격의 거인이사야마 하지메2009년 ~ 2021년34권1억 4,000만부
12위맛의 달인카리야 테츠(원작)
하나사키 아키라(그림)
1983년 ~ 2014년(휴재)111권1억 3,500만부
13위블리치쿠보 타이토2001년 ~ 2016년74권1억 3,000만부
14위죠죠의 기묘한 모험아라키 히로히코1987년 ~ 연재 중131권1억 2,180만부
15위소년탐정 김전일아마기 세이마루 (원작)
카나리 요자부로 (원작)
사토 후미야 (작화)
1992년 ~ 연재 중83권1억 1,500만부
16위철완 아톰데즈카 오사무1952년 ~ 1968년23권1억부
17위터치아다치 미츠루1981년 ~ 1986년26권1억부
18위북두의 권부론손(스토리)
하라 테츠오(작화)
1983년 ~ 1988년27권1억부
19위더 화이팅모리카와 죠지1989년 ~ 연재 중136권1억부
20위킹덤하라 야스히사2006년 ~ 연재 중69권1억부
출처 1 / 출처 2



일본의 1억부 돌파 만화가(단일 작품만 1억부는 굵은 글씨)
성명(필명)대표작
데즈카 오사무철완 아톰, 블랙 잭, 도로로[C]
아다치 미츠루터치, H2[B]
우라사와 나오키YAWARA!, 마스터 키튼, 몬스터, 20세기 소년[A]
이노우에 타케히코슬램덩크, 배가본드[B]
타카하시 루미코시끌별 녀석들, 메종일각, 란마 1/2, 이누야샤[B]
토가시 요시히로유유백서, 헌터×헌터[A]
아오야마 고쇼명탐정 코난[B]
오다 에이이치로원피스 [E]

서양의 1억부 돌파 만화가
성명(필명)대표작
르네 고시니(스토리), 알베르 우데르조(그림)아스테릭스[B]
모리스럭키 루크[2][C]
에르제땡땡의 모험[B]
윌리 밴더스틴스파이크와 수지[B]
제임스 데이비스가필드
찰스 M. 슐츠피너츠[B]
토드 맥팔레인스폰
슈퍼맨 시리즈배트맨 시리즈, 스파이더맨 시리즈미국 만화의 경우, (정확히는 주로 마블이나 DC의 경우) 몇 가지 문제 때문에 일본이나 일부 유럽 만화들과의 판매량 비교에 큰 장애가 있다.

우선 일본이나 유럽 만화들은 판매량 집계에 주로 단행본 판매량만을 세나 미국 만화 시장은 20세기 초중반부터 연재된 장기연재물은 단행본으로 전부 나오지 않은 케이스가 매우 많으며[3] TPB 같은 일반적인 단행본과 얼티밋 콜렉션, 옴니버스 등 대량 합본은 수록된 각각의 이슈들의 판매량 총합보다는 대체로 판매량이 큰 폭으로 낮게 나오는 시장이라[4] 이슈와 달리 제대로 판매량 집계가 되지도 않아 주로 이슈 판매량으로 타국 만화와 판매량이 비교된다. 단행본 기준의 자료가 부족하고 각각의 이슈 판매량이 더 큰 시장이라 똑같이 잡지분만을 기준으로 비교하자니 미국 만화는 타이틀별로 매달 각각 이슈를 파는 반면[5] 일본 등의 만화잡지는 회사 차원에서 모든 만화를 같이 내서 파는 것이기 때문에 만화잡지 판매량 중 어느 시기의 어느 정도 비율만큼 특정 작품의 비중이 있다고 판단하기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일단은 미국 만화는 이슈 판매량으로, 그와 국가의 만화는 단행본 판매량으로만 비교를 할 수밖에 없는 추세라 일본 만화인 원피스슈퍼맨 시리즈 만화들의 판매량을 이미 넘었냐 아니냐는 여전히 논쟁거리다.

또한 미국 만화 쪽은 어디까지 해당 시리즈의 만화로 집계하는지도 명확한 기준이 없다. 예를 들면 슈퍼맨이나 배트맨, 스파이더맨 모두 본인이 단독 주인공인 타이틀이 여럿 동시 연재된 적이 있거나 여전히 동시 연재 중인데[6] 이런 작품들만 판매량에 집계해줄 것인지, 각각 시리즈 메인 타이틀들의 주요 등장인물이 단독 혹은 시리즈 내 주요 등장인물들만이 주연인 타이틀들은 시리즈 판매량에 집계해줘야 하는지, 더 나아가 각각 메인이 되는 우주를 넘어 평행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도 집계해줘야 하는지[7], 단독 주인공이 아니라 더블 주인공인 경우도 집계해줘야 하는지 명확한 기준이 없다.[8] 이런 기준에 따라 판매량이 순식간에 널뛰기될 수 있는 만큼 전문 웹진에서도 미국 만화와 타국 만화와의 엄밀한 판매량 비교는 꺼리는 편이다.원피스가 어느 척도로 보나 배트맨 시리즈의 판매량을 넘어섰다는 기사에서도 슈퍼맨 시리즈와의 비교는 피하고 있다. 해당 기사에 인용된 원피스 전문 트위터 계정의 스레드에서도 정확한 비교는 불가능하다는 답글이 많다.

더 유념해볼 점은 마블과 DC의 미국 만화는 장기연재되면 작가들을 바꾸는 방식으로 작품을 무한 연재해오고 있기에 1억부 이상의 판매를 하였더라도 1억부 돌파 만화가를 꼽기 힙들 것이다. 더 큰 문제는 나무위키 전 세계 만화 판매량 순위표에 서술된 미국 만화들의 판매량은 2010년대 중반 기준 위키피디아 서술이 출처로, 이미 거의 10년이 다 되어가는 자료에, 2020년대 미국 만화사들의 판매량 집계 불가 사태 때문에 의미가 더 없어졌다.

3. 외부 자료[편집]



[D] A B 5억부 돌파[1] 20억부 돌파. 기네스북 등재.[F] 7억부 돌파[C] A B C 3억부 돌파[B] A B C D E F G H 3억 부 돌파[A] A B 1억부 돌파[E] 5억부 돌파[2] 벨기에의 고전 서부극 만화. 여러차례 영화화, 애니화된 바 있다.[3] 단적으로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최초이자 핵심 타이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은 2020년대 기준으로도 전부 단행본화된 적이 없고 수백 개의 이슈가 종이책으로는 펑크가 난 채로 전자책 서비스만을 하고 있다.[4] 이런 판본들의 판매량을 무시할 수준이라는 뜻은 아니다.[5] 예를 들면 배트맨이 주인공인 만화와 슈퍼맨이 주인공인 만화를 따로 떼서 최대한 싸게 파는 것이다. 풀컬러에 한 타이틀마다 십수명의 작가진이 관여하는 미국 만화의 경제성을 고려한 전통이다.[6] 슈퍼맨은 슈퍼맨액션 코믹스, 배트맨은 배트맨, 디텍티브 코믹스를 단독 주연 타이틀로 연재 극초창기부터 가지고 있으며 스파이더맨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을 기본으로 스펙태큘러 스파이더맨, 프렌들리 네이버후드 스파이더맨, 웹 오브 스파이더맨, 센세이셔널 스파이더맨 등의 타이틀도 돌아가며 서브 타이틀로 가지고 있었다.[7] 대체로 평행우주 작품인데 주인공이 배트맨이면 배트맨 시리즈로, 스파이더맨이면 스파이더맨 시리즈로 인정해주기는 한다.[8] 멤버가 여럿인 팀업 타이틀인 경우는 일반적으로 그쪽 팀 시리즈로 따로 센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