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 지진

덤프버전 :


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 지진
平成19年(2007年)新潟県中越沖地震
파일:20070716 니가타지진.png
긴급
지진속보
발령여부
미발령[1]
발생일시
(JST)
2007년 7월 16일 10시 13분
진앙일본 니가타현 주에쓰 지방 앞바다
진원의 깊이12km
규모Mj 6.8 / Mw 6.9
최대진도6강[2]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가시와자키시, 가리와촌
나가노현 이즈나정
쓰나미 경보/주의보해일주의보
니가타현 전 연안[3] 50cm[4]
피해상황15명 사망
2,346명 부상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
6+니가타, 나가노
5-이시카와
4야마가타, 후쿠시마, 이바라키, 도치기, 군마, 사이타마, 도야마
3미야기, 치바, 도쿄, 가나가와, 야마나시, 기후, 시즈오카, 아이치
2이와테, 아키타, 후쿠이, 미에, 시가, 교토, 오사카, 효고, 나라
1아오모리, 와카야마, 돗토리

지진 당시 NHK 뉴스 영상
1. 개요
2. 피해
3. 여담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07년 7월 16일 오전 10시 13분경,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에서 M 6.8, 진도 6강의 강진이 덮쳤다. 이 지진으로 인해 해일주의보가 발령되었으며, 니가타현에서 32cm의 해일을 관측했다. 일본 기상청 내각부 기준으로 11명이 사망했으며, 약 1,307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지진으로 인해 북쪽으로는 아오모리현 북부, 서쪽으로는 돗토리현 중부, 남쪽으로는 와카야마현 남부까지 크고 작은 지진동이 전해졌다. 니가타현의 가리와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계측 진도 6.5(진도 7)가 관측되었다고 한다.

2. 피해[편집]


이 지진으로 니가타현에서 진도 6강에 해당하는 지진동을 느꼈다. 이에 따라서 피해가 커졌는데, 무려 사망자 15명, 부상자 2,346명을 찍으면서 엄청난 피해액을 입었다. 니가타현에서만 재산 피해 1조 5천억엔의 피해를 입었다. 그 외에도
니가타현
사망 : 15명
중경상 : 1,957명
건물 전파 : 1,082동
건물 대규모 반파 : 348동
건물 반파 : 1,987동
건물 일부 손괴 : 25,102동
사람이 살지않는 가옥의 피해 : 18,657동
나가노현
중경상 : 29명
건물 일부 손괴 : 318동
위의 표대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또한 가리와 원자력 발전소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5]

3. 여담[편집]


  • 니가타현에서 3년 전에 진도 7의 대지진이 발생한 곳 인근에서 지진이 발생했는데, 공교롭게도 규모가 똑같다.[6]
  • 긴급지진속보가 신설되기 전에 등재된 나무위키의 마지막 일본 지진 문서이다.

4.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00년대 지진
20세기
2000년대
2010
발생일규모지진명최대진도
2001. 3. 24.
M6.72001년 히로시마 게이요 지진
6-
2003. 5. 26.
M7.12003년 미야기 해역 지진
6-
2003. 7. 26.
M6.42003년 미야기 내륙 지진
6+
2003. 9. 26.
M8.3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
6-
2003. 12. 26.
M6.62003년 밤 지진
2004. 5. 29.
M5.32004년 울진 해역 지진
V
2004. 9. 5.
M7.12004년 기이반도 동남해역 지진
5-
M7.4
2004. 10. 23.
M6.8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7
2004. 11. 29.
M7.12004년 쿠시로 근해 지진
5+
2004. 12. 14.
M6.12004년 홋카이도 루모이 남부 지진
5+
2004. 12. 26.
M9.3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2005. 3. 20.
M7.0후쿠오카 현 서부 해역 지진
6-
2005. 3. 28.
M8.62005년 수마트라 지진
2005. 7. 23.
M6.02005년 치바현 북서부 지진
5+
2005. 8. 16.
M7.22005년 미야기 해역 지진
6-
2005. 10. 8.
M7.62005년 카슈미르 지진
XI
2006. 5. 27.
M6.42006년 남아시아 대지진
2006. 10. 9.
M4.22006년 길주 인공지진
-
2006. 11. 14.
M8.32006년 쿠릴 열도 지진
IV
2007. 1. 13.
M8.22007년 쿠릴 열도 지진
IV
2007. 1. 20.
M5.02007년 평창 지진
V
2007. 3. 25.
M6.92007년 이시카와 해역 지진
6+
2007. 7. 16.
M6.9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 지진
6+
2008. 5. 8.
M7.02008년 이바라키 해역 지진
5-
2008. 5. 12.
M8.0쓰촨성 대지진
XI
2008. 5. 29.
M6.3아이슬란드 지진
2008. 6. 14.
M7.2이와테 미야기 내륙 지진
6+
2008. 7. 24.
M6.82008년 이와테 연안북부 지진
6-
2009. 5. 25.
M5.32009년 길주 인공지진
-
2009. 8. 11.
M6.52009년 시즈오카 해역 지진
6-
2009. 9. 29.
M8.12009년 사모아 지진
||




[1] 당시에는 긴급지진속보가 존재하지 않았다. 긴급지진속보가 도입된 것은 이 지진으로부터 3달이 지난 2007년 10월 1일부터이다.[2] 계측진도 6.3[3] 사도 섬 포함[4] 실 관측 32cm[5] 방사능 유출은 확인되지 않았다.[6] 규모는 같고 최대진도와 사망자 수는 2004년 지진, 부상자는 이 지진이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