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

덤프버전 :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
FIFA U-17 Women's World Cup Trinidad & Tobago 2010™
파일:2010 FIFA U-17 Women's World Cup Official Logo.png
대회기간9월 5일 ~ 9월 25일
개최국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참가팀16개팀
대회 결과
우승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번째 우승)
준우승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위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4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수상
골든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여민지
골든부츠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여민지 (8득점)
골든글러브파일:스페인 국기.svg 돌로레스 가야르도
페어플레이상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연표
이전 대회2008 FIFA U-17 여자 월드컵
(뉴질랜드)
다음 대회2012 FIFA U-17 여자 월드컵
(아제르바이잔)

1. 개요
2. 예선
2.1. 본선 진출팀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4. 대회 진행
4.1. 조별 리그
4.1.1. A조
4.1.2. B조
4.1.3. C조
4.1.4. D조
4.2. 결선 토너먼트
4.3. 우승
5.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2010년 9월 5일부터 25일(현지시간)까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개최된 FIFA U-17 여자 월드컵의 두 번째 대회.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이 대한민국 남녀 축구 역사상 최초로 FIFA 주관대회 우승을 기록했다. 2023년 현재까지 유일한 우승 기록.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에서 남자 대표팀이 결승에 올라 FIFA 주관대회 결승 진출은 2개다.


2. 예선[편집]




2.1. 본선 진출팀[편집]


대륙팀명진출 자격
UEFA(유럽)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첫 출전)2010 UEFA U-17 여자 챔피언십 우승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첫 출전)2010 UEFA U-17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010 UEFA U-17 여자 챔피언십 3위
CONMEBOL(남미)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2010 U-17 수다메리카노 페메니노 우승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첫 출전)2010 U-17 수다메리카노 페메니노 준우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첫 출전)2010 U-17 수다메리카노 페메니노 3위
CONCACAF(북중미&카리브)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첫 출전)개최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010 CONCACAF U-17 여자 챔피언십 우승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첫 출전)2010 CONCACAF U-17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CAF(아프리카)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아프리카 지역예선 승리[1]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아프리카 지역예선 승리[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첫 출전)아프리카 지역예선 플레이오프 승리[3]
AFC(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09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2009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009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
OFC(오세아니아)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오세아니아 지역예선 승리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4. 대회 진행[편집]



4.1. 조별 리그[편집]


1위 (결선 진출)2위 (결선 진출)3위 (탈락)4위 (탈락)
A조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B조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C조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D조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4.1.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330010 - 3+79
2파일:북한 국기.svg북한32016 - 3+36
3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트리니다드 토바고31023 - 4-13
4파일:칠레 국기.svg칠레30031 - 10-90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0.09.05.(일) 15:00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3 : 2북한파일:북한 국기.svg포트오브스페인
2010.09.05.(일) 18:00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트리니다드 토바고2 : 1칠레파일:칠레 국기.svg
2010.09.08.(수) 16:00파일:북한 국기.svg북한3 : 0칠레파일:칠레 국기.svg샌퍼넌도
2010.09.08.(수) 19:00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트리니다드 토바고1 : 2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10.09.12.(일) 18:00파일:북한 국기.svg북한1 : 0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쿠바타바키테탈파로
파일:칠레 국기.svg칠레0 : 5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아리마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4) 기준임.


4.1.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독일 국기.svg독일330022 - 1+219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2017 - 5+26
3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31025 - 13-83
4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공30032 - 17-150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0.09.05.(일) 16:00파일:독일 국기.svg독일9 : 0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스카버러
2010.09.05.(일) 19:00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공1 : 3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09.08.(수) 16:00파일:독일 국기.svg독일10 : 1남아공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09.08.(수) 19:00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4 : 1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
2010.09.12.(일) 15:00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0 : 3독일파일:독일 국기.svg아리마
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4 : 0남아공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쿠바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4) 기준임.

독일 혼자서 야구를 했다.


4.1.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33009 - 3+69
2파일:일본 국기.svg일본320113 - 4+96
3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베네수엘라31023 - 9-63
4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30032 - 11-90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0.09.06.(월) 16:00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4 : 1일본파일:일본 국기.svg쿠바
2010.09.06.(월) 19:00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1 : 2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10.09.09.(목) 16:00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1 : 3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09.09.(목) 19:00파일:일본 국기.svg일본6 : 0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10.09.13.(월) 16:00파일:일본 국기.svg일본6 : 0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스카버러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베네수엘라1 : 2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마라벨라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4) 기준임.


4.1.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32015 - 2+36
2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32014 - 2+26
3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31021 - 3-23
4파일:가나 국기.svg가나31021 - 4-33
결선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0.09.06.(월) 16:00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1 : 2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아리마
2010.09.06.(월) 19:00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1 : 0가나파일:가나 국기.svg
2010.09.09.(목) 16:00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1 : 0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
2010.09.09.(목) 19:00파일:가나 국기.svg가나1 : 0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
2010.09.13.(월) 19:00파일:가나 국기.svg가나0 : 3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스카버러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2 : 0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샌퍼낸도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4) 기준임.


4.2.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 3위 결정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5 (연)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09.16.(목) 16:00 - 샌퍼낸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 : 1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09.21.(화) 16:00 - 쿠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 (연) 3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5 pen. 4)
2010.09.25.(토) 18:00 - 포트오브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 : 1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0.09.17.(금) 16:00 - 쿠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0 : 1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2010.09.16.(목) 19:00 - 샌퍼낸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 : 2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2010.09.21.(화) 19:00 - 쿠바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 : 0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2010.09.25.(토) 15:00 - 포트오브스페인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 : 2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2010.09.17.(금) 19:00 - 아리마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4) 기준임.


4.3. 우승[편집]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image/001/2011/10/14/PYH2010121907560001300_P2.jpg
대한민국
(첫 번째 우승)

대한민국FIFA 주관 대회 사상 첫 우승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여민지는 8골로 이 대회 득점왕을 기록하고 최우수 선수까지 수상되었다.


5. 이야깃거리[편집]


특별 게스트로 무려 데이비드 베컴이 참가했는데, 보통 이런류의 게스트가 보이는 거만한 태도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경기 전부터 한국과 일본 벤치를 분주히 움직이며 양국 선수들과 악수나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고 결승전이 연장전 및 승부차기까지 가는 긴 시간의 혈투를 벌였으나 지치거나 짜증난 기색 없이 영국 신사의 젠틀한 면모를 보였다.

경기 시작 전에 선수들이 정렬해 있는데 베컴이 갑작스레 등장하자 한국 선수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당시 소녀들의 흔한 제스쳐인 입을 가리는 제스쳐로 수줍음을 감추지 못하는 장면이 전파를 탔으며, 국내 중계에서 일본 팀을 비추지는 않았으나 박문성 해설 위원이 일본 벤치에 베컴이 등장하여 모든 벤치 선수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고 중계를 해주며 당시 중계를 지켜보던 축구팬들에게 서양 미남의 인기를 실감케 하였다.

다음 대회는 중앙아시아의 아제르바이잔에서 개최되었다.[4]

참고로 1회 대회는 북한이 우승하고, 한국은 1회 대회에서 8강(참가국 16강)에 올랐다. 그러나, 이 2회 대회 우승 이후로 한국여자 국대는 3회~5회 대회 아시아 예선에서 연이어 탈락한다. 4, 5회 대회 예선인 2013 AFC U-16 여자 챔피언십2015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선 아시아 최강급인 북한, 일본, 중국도 아닌 태국에게 연이어 밀려 탈락하는 굴욕을 당해야 했다. 그러다가 2017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태국과 다시 만나 3-0으로 설욕하고 준우승(북한이 2-0으로 한국 이기고 우승)하고 6회 대회인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루과이에 8년만에 진출하게 된다. 그러나, 1무 2패로 조 꼴지로 일찌감치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9년 태국에서 개최된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조별리그에서 1승 2패를 기록하며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하지도 못하면서 코로나 19로 인하여 2022년으로 미뤄진 7회 인도 대회 본선 진출이 또 좌절당한다. 2024년 8회 대회인 칠레 대회 본선 진출권이 달린 아시아 대회는 2023년부터 AFC U-17 아시안컵으로 남녀 모두 이름이 달라졌다. 남자대회는 태국에서 2023년 6월에 치러지고 여자 AFC U-17 아시안컵은 2024년 4월에 인도네시아에서 열린다.

이 대회 대한민국 U-17 대표팀의 우승 멤버는 이후 대한민국 여자축구의 중추 세대로 거듭나는데, 장슬기, 이금민은 현 대표팀 부동의 주전 선수로 뛰고 있으며 여민지 또한 2019년 여자 월드컵 대한민국의 유일한 골을 기록하는 등 국가대표에서 제몫을 하는 선수가 되었다.이외에도 신담영, 이소담, 이정은 등의 선수들이 국가대표급 선수로 성장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5:06:10에 나무위키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對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최종예선에서 승리.[2] 對 튀니지와의 최종예선에서 승리.[3] 對 튀니지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4] 참고로 아제르바이잔은 UEFA 소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