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세가 게임즈와 닌텐도에서 만든 공식 라이선스 비디오 게임에 대한 내용은 마리오와 소닉 소치 동계올림픽 문서
마리오와 소닉 소치 동계올림픽번 문단을
마리오와 소닉 소치 동계올림픽#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fff 제22회 동계올림픽 경기대회
XXII Олимпийские зимние игры
XXII Olympic Winter Games

2014 소치 동계올림픽대회
Зимние Олимпийские игры 2014
Olympic Winter Games Sochi 2014 }}}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로고.svg
[1][2]
파일:external/www.visualnews.com/Olympics_Winter_Posters_20.jpg
대회기간 2014년 2월 7일 ~ 2월 23일
개최국 러시아/소치
슬로건 Жаркие. Зимние. Твои
Hot. Cool. Yours

(열기, 시원함을, 당신에게)
마스코트 북극곰, 토끼, 설표[3]
주제가 올림픽 찬가
참가국 88개국, 2,925명[4]
참가선수 2,873명
경기종목 15개 종목 - 98개 세부 종목
개회선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선수 선서 루슬란 자하로프
쇼트트랙
심판 선서 바체슬라프 베데닌
크로스컨트리 스키
성화점화 이리나 로드니나
블라디슬라프 트레티아크
개·폐회식장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1. 개요
2. 대회 상징
2.1. 엠블럼
2.2. 마스코트
2.3. 메달 디자인
3. 유치
4. 개막식
5. 폐막식
6. 메달 집계 및 성적
7. 대한민국 동계올림픽 성적
8. 운석 금메달
9. 대회 진행
10. 한국측 중계진
10.1. KBS
10.2. MBC
10.3. SBS
11. 문제점
12. 사건 사고
13. 기타



1. 개요[편집]


2014년 2월 7일부터 2월 23일까지 러시아 소치에서 개최된 제22회 동계올림픽. 러시아 역사상 최초로 자국에서 열린 동계올림픽이자, 소련 시절에 열렸던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 이어 2번째 열린 올림픽이다.

경기 종목은 지난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총 15개 종목, 98개 경기가 치러진다. 세부 종목으로는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 여자 스키점프, 바이애슬론 남녀 혼합계주 등이 추가되어 전 대회에 비해 금메달 수가 12개 늘어난다. 설상종목은 크라스나야 폴랴나에서 별도 개최된다.

주요 경기장은 세 곳으로 나누어 운용된다. 실외형 경기가 치루어지는 올림픽 파크와 실내경기가 치루어지는 올림픽 스타디움으로 구분해 운용되며, 대규모 활강 리프트와 을 사용하는 설주 경기들은 소치 뒷산 캅카스 산맥 자락의 크라스나야 폴라냐에서 별도로 진행된다. 지난 밴쿠버 대회에서 지나치게 경기장이 각지에 분산되어 있던 것에 대한 불만이 상당히 많았던 이유로 2014 소치의 경우 경기장이 걸어다닐 수 있는 거리에 모두 다닥다닥 모여있으며, 소치 시내 ↔ 올림픽파크 ↔ 공항 ↔ 크라스나야 폴라냐 간에는 전철과 셔틀버스가 상시 운행하도록 만들었다.

러시아로서는 냉전 종식 이후 경제위기로 암울한 1990년대와 2000년대를 보낸 후 나라 사정이 괜찮아지고 오랜만에 다시 개최하는 세계적 행사였기에 러시아 체육 당국 주도로 소치 올림픽에 500억 달러(한화 약 54조원)의 막대한 예산을 경비[5]로 지출했다. 이는 역대 모든 체육 대회 중 최대 경비로 과거 2008 베이징 올림픽의 대회 경비인 380억 달러를 엄청난 격차로 따돌린 것이다.[6]
파일:attachment/2014 소치 동계올림픽/11.jpg
파일:attachment/2014 소치 동계올림픽/12.jpg
파일:attachment/2014 소치 동계올림픽/13.jpg
파일:attachment/2014 소치 동계올림픽/14.jpg
소치는 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러시아에서는 최남단에 속하는 지역이라, 연평균기온이 한국의 제주도와 비슷하다. 원래는 여름에 시원한 여름 휴양지로 러시아에서 쳐주는 지역으로, 비슷한 위도의 지역들보다 평균 기온이 높아 겨울에도 눈을 보기가 어려울 정도지만 실내 경기가 대부분이라서 외부 온도와 관련이 없고, 소치 시가지가 아무리 따뜻해도 야외 경기는 인근 캅카스 산맥에 올라가면 일 년 내내 춥고 눈이 쌓여있어 동계올림픽 개최에 지장은 없다. 덕분에 공식 구호 첫번째가 hot이다. [7]

2. 대회 상징[편집]



2.1. 엠블럼[편집]


파일:2014 소치 동계올림픽 로고.svg파일:2014 소치 동계패럴림픽 로고.svg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엠블럼2014 소치 동계패럴림픽 엠블럼


2.2. 마스코트[편집]


파일:소치 동계올림픽 마스코트.jpg
2014 소치 동계올림픽 • 패럴림픽 마스코트
마스코트 2011년 2월 27일, 조직위원회가 9개의 리스트 중 북극곰(Белый Мишка), 토끼(Зайка), 설표(Леопард)를[8] 마스코트로 선정했다. 지난 대회와 달리 역대 최초로 고유 이름이 붙지 않은 마스코트로 기록됐다. 토끼 마스코트에 붙은 이름이 '토끼'패럴림픽 마스코트로는 '빛줄기(Лучик Ray of Light)' 와 '눈송이(Снежинка Snowflake)'. 각각 불과 물로 대치되는 느낌을 냈다고 한다.

메인 마스코트로 러시아식 산타클로스인 데드모로즈가 지지를 받았으나 어감[9]에 문제가 있고 캐릭터 상품 전개가 어렵다는 이유로 눈표범이 메인 마스코트로 선출되었다.

눈표범 마스코트인 '표범' 은 블라디미르 푸틴이 선호한 마스코트라 구설수에 올랐는데, 무엇보다 실제로 28%라는 압도적인 지지율을 얻었다.[10] 그러나 세계야생동물기금협회인 WWF에선 "소치 올림픽 개최지인 카프카스 산맥에는 눈표범이 서식하지 않는다" 며 표범의 선정은 푸틴의 개인적인 취향을 반영한 것이라고 비판했다.[11] 참고로 이 설표는 고려인 바딤 박이 디자인했다고. #

북극곰의 경우 1980 모스크바 올림픽의 마스코트였던 미샤와 유사한 디자인이란 주장이 제기되어 논란을 낳고 있다. 올림픽을 비난하는 쪽에선 북극곰의 목도리 컬러링이 푸틴이 소속된 정당의 엠블렘과 비슷하다며 정치 홍보를 위해서 선정했다며 음모론을 늘어 놓는데 북극곰은 18% 지지율로 선정 투표 2위를 찍었기에 러시아 현지에선 "웬 개소리야?" 라는 반응이었다.

2.3. 메달 디자인[편집]


파일:external/www.savingadvice.com/Sochi-Winter-Olympic-Medals.jpg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메달



3. 유치[편집]


2014년 동계 올림픽 개최에 나선 도시는 무려 4수에 나선 하카(스페인), 3수에 도전하던 소피아(불가리아), 재수에 나선 잘츠부르크(오스트리아), 평창군(대한민국), 소치(러시아), 그리고 처음 나서는 알마티(카자흐스탄), 보르조미(조지아). 이 중 소치를 제외한 소피아, 알마티, 보르조미, 하카는 IOC 심사단의 심사 결과 중도 탈락되었고 2007년 7월 4일 과테말라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최종 투표에 돌입했다.
1차 투표 결과득표수
잘츠부르크25표
평창36표
소치34표
무효2표
1차 투표에서 잘츠부르크는 탈락하고 평창이나 소치나 둘 다 득표수가 유효 과반수(95명 중 48명)를 넘지 않았기에 2차 투표로 진행됐다. 그 결과...
2차 투표 결과득표수
평창47표
소치51표
무효2표
98명(탈락한 오스트리아 위원 3명 추가) 중 과반수인 50명을 넘긴 소치가 승리. 결국 4표차로 평창을 제치고 동계올림픽 개최권을 따내게 됐다. 이로서 평창은 두번째 탈락 콩라인의 굴욕을 받게 된다.

여담으로 후보 개최지 경합 당시 어린이가 나와서 남북 평화를 이야기하며 그 영상을 보던 모든 사람에게 감동을 선사하던 평창의 프레젠테이션 중계를 보며 많은 네티즌들은 하나같이 "이겼네. 이거 보고 평창 안 찍으면 위원들이 썩은 거다" 라는 반응을 보였다.[12]

하지만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시아의 평화번영' 이라는 것은 대형 스포츠 대회 프리젠테이션에서 이미 식상한 주제가 된 지 오래됐고 이게 되려 이미지 제고에 독이 됐다. 물론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 또한 동계올림픽 유치에 걸림돌이기도 했으며,[13] 실제로 소치가 평창을 이긴 것은 '푸틴의 선물' 때문이다. 러시아는 처음부터 푸틴이 직접 선물을 준비했다면서 처음부터 홍보를 했는데 물질적 선물에 익숙한 우리나라에서는 최종 결과 직전까지도 이 선물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러시아가 금전이나 물건으로 IOC 위원들을 매수할 수도 있다', '매수할 경우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겠다' 라는 헛소리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공개된 푸틴의 선물은 직접 영어연설을 한 것이었다.[14] 실제로 푸틴은 공개 석상에서 당시까지 영어를 단 한 번도 써본 바가 없다. 그런데 푸틴은 거의 완벽하게 영어 연설로 소치 유치를 호소했고, 게다가 마지막 15초 가량은 프랑스어로 연설했다. 이것이 IOC 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다. 실제로 서양에서는 외국인이 타국어로 말하거나 연설하는 것을 굉장히 높게 평가한다.

4. 개막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4 소치 동계올림픽/개막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폐막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4 소치 동계올림픽/폐막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메달 집계 및 성적[편집]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메달 집계
최종 집계
순위국가메달합계
1ta-hash-start=w-f05db304137a6645c4bb261a5c74525e[[파일: 러시아 국기.svg 러시아119929
2ta-hash-start=w-51161c2386e85cdfb5e19f0e5d7939b2[[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1151026
3ta-hash-start=w-70bbf5f950fcde758686c2635893ca0a[[파일: 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010525
4ta-hash-start=w-8e7c6dc5b087d0c73c70053ce085a152[[파일:미국 국기.svg 미국991028
5ta-hash-start=w-02fdc882e63c8fb40aa8a683c9bc06d7[[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87924
6ta-hash-start=w-8cafebc5d2818c44a18ae56bc442fc16[[파일:독일 국기.svg 도이칠란트86519
7ta-hash-start=w-92ad56ab29e347d1779a07879d38c67a[[파일:스위스 국기.svg 헬베티아 연방72211
8ta-hash-start=w-9fffb405b21314d9f110d988b2841235[[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5016
9ta-hash-start=w-c8dd34228b508312f38b333298d81c3e[[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48517
10ta-hash-start=w-822b440edda4c46a5e1dad463eaf8ebd[[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44715
11ta-hash-start=w-26b0ea72806e477f26e5e8d323332bfd[[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4116
12ta-hash-start=w-3c2e852c38542df56736b78016f7c34d[[파일:중국 국기.svg 중국3429
13ta-hash-start=w-1cdf23c2de26bbfd8be4541aefc98bad[[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328
14ta-hash-start=w-f3df38bea0571d15e376bda9c1245e59[[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27615
15ta-hash-start=w-1558417b096b5d8e7cbe0183ea9cbf26[[파일:체코 국기.svg 체코2428
16ta-hash-start=w-8ebfdfd21ca673827bd69e5403531ff4[[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2248
17ta-hash-start=w-244d3798f2c6a6c19e490491556f448b[[파일: 일본 국기.svg 일본1438
18ta-hash-start=w-adf7e293599134777339fdc40ddfa818[[파일: 핀란드 국기.svg 핀란드1315
19ta-hash-start=w-3adba8322546dda498c999b2c7474c9a[[파일:영국 국기.svg 영국1135
ta-hash-start=w-96337d2cb0f87a553196fd9ec2cc66a8[[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1135
21ta-hash-start=w-38079fb5e58a4ca17329d3eb9b309749[[파일: 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1012
22ta-hash-start=w-de6b1cf3fb0a3aa1244d30f7b8c29c41[[파일: 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1001
23ta-hash-start=w-85493640a07dd9d8ba3dd85a331ce1c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0268
24ta-hash-start=w-8217a05f48b7299703840cf2beb6b4bb[[파일:호주 국기.svg 호주0213
25ta-hash-start=w-e2b55042866db16f336e911d6e05a45b[[파일: 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0101
26ta-hash-start=w-c6b58fabc9e7fea6874139fc9a3fa313[[파일: 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0011
러시아는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의 최악의 부진을 만회하고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개최국으로서 이번 올림픽을 열심히 준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까지 적극적으로 나서서 선수들의 분전을 독려했을 정도. 일단 개최국 자격으로 15개 전종목에 출전했지만 대회 전부터 객관적인 전력상 독일, 미국, 노르웨이 등의 국가보다 종합 순위에서 앞서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고, 실제로도 대회 중반부까지 그렇게 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대회 후반에 빅토르 안 같은 귀화선수의 활약과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등의 금메달로 여러 개의 금메달을 추가하면서, 대회 마지막 날 종합 1위를 확정지어서 푸틴 대통령이 생각했던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러시아의 첫번째 메달은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3000m 종목에서 올가 그라프의 동메달이었다. 이어서 첫번째 금메달은 이번 대회에서 처음 채택된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에서 나왔다. 그리고 대회 초반부에 루지 남자 싱글에 출전한 알베르트 뎀첸코는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역대 동계올림픽 개인종목 최고령(43세) 메달리스트가 되는 쾌거를 이룩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회 중반부까지는 5~6위권에서 맴돌았는데, 대회 중반부에 밴쿠버 동계올림픽 당시의 성적은 이미 뛰어넘기는 했었지만 그래도 기대 이하의 성적이었다 할 수 있었다. 일단 기대했던 종목에서 예상 외의 부진을 보인데다가, 기초적인 동계스포츠 종목으로 소련 시절에 최강국의 하나로 군림하던 스피드 스케이팅과 크로스컨트리 스키에서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지 못하여 이들 종목에서 대회 후반부가 되도록 금메달을 하나도 따지 못하고 있어 이것도 부진의 한 원인이 되고 있었다. 결국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는 금메달을 따지 못했고, 크로스컨트리 스키에서는 대회 마지막 날 금메달을 땄다.
이에 따라 2월 19일, 러시아는 피겨 스케이팅아이스하키에서 대반전을 시도했다. 그러나 동계올림픽 최대 인기 종목이자 금메달을 기대하던 남자 아이스하키에서는 하필이면 핀란드에 져서 8강에서 광탈해버린데 이어, 김연아에 대적한다던 율리아 리프니츠카야가 쇼트 프로그램에서 실수를 연발하며 5위에 그치면서 분위기가 크게 가라앉았다.
그 다음날인 2월 20일, 아델리나 소트니코바가 밴쿠버 챔피언이던 김연아를 5점 차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대반전을 시도할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가 그동안 올림픽 금메달을 딴 적이 없는 유일한 피겨스케이팅 종목이던 여자 싱글도 드디어 석권한 것이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동계 올림픽에서 남녀 싱글과 페어, 아이스 댄스 등 피겨스케이팅 4개 종목에서 금메달을 딴 경력이 있는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거기에다가 이번 올림픽에 처음 도입된 단체전까지 석권하면서 피겨스케이팅에서만 3개의 금메달을 챙겼다. 압도적인 기량으로 깔끔하게 우승했으면 대단한 업적으로 다른 나라에서도 축하해줄만한 일이었지만,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자세한 내용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 판정 논란 항목 참고.
그 다음날인 2월 21일에는 빅토르 안의 활약으로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2개를 추가하며 분위기는 더욱 달아올랐고, 22일에도 금메달 2개를 더 따내 금메달수 11개로 종합 1위까지 올라가게 되었다. 이날까지 금메달 수는 노르웨이와 같았는데, 은메달 수에서 노르웨이에 앞서고, 전체 메달 수도 29개로 26개인 노르웨이와 27개인 미국을 제쳐, 금메달 기준과 총메달 기준으로 모두 종합 1위에 오르게 된 것이다. 그리고 대회 마지막날인 23일 크로스컨트리스키 남자 50km 프리에서 강력한 경쟁자이던 노르웨이 선수들을 제치고 금은동을 싹쓸이하면서 종합1위를 완전히 확정짓고 봅슬레이에 남은 금메달까지 추가하여 금메달 13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9개로 대회를 마치며,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이후 20년만에 종합 1위를 달성하였다.
전체적으로는 귀화 선수의 활약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전체 13개 금메달 중 무려 7개가 외국에서 러시아로 귀화한 선수들이 획득한 것.[17] 대한민국에서 귀화한 쇼트트랙의 빅토르 안, 미국에서 귀화한 스노보드의 빅 와일드가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우크라이나에서 귀화한 피겨 스케이팅 페어의 여자 선수 타티야나 볼로소자르도 페어와 단체전에서 다른 선수와의 합작으로 각각 금메달을 획득한 것. # 이에 대해 외인부대의 활약이라거나 용병의 승리라고 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
특히 이들 귀화 선수의 활약으로 그동안 별다른 성적을 거두지 못했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스노보드에서 금메달을 5개나 획득하면서 막판에 메달을 많이 추가하여 종합 순위 1위 달성에 큰 기여를 했다. 특히 빅토르 안(안현수)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러시아 사상 최초의 쇼트트랙 메달리스트가 되었고, 이어 1000m에서는 금메달, 500m에서도 금메달, 그리고 활약으로 5000m 계주에서까지 금메달을 얻으면서, 그동안 쇼트트랙 변방국이던 러시아는 이번 올림픽 쇼트트랙 종목에서 가장 많은 금메달을 얻은 국가로 급부상했다. 1000m에서는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예프[18]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담으로 러시아는 귀화 선수들을 받아들여 금메달을 보탰지만 반대로 러시아 선수들이 외국으로 귀화하여 이번에 금메달을 딴 선수도 나오고 있다. 여자 바이애슬론 3관왕인 벨라루스의 다리야 돔라체바, 역시 여자 바이애슬론의 슬로바키아의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남자 스노보드스위스의 유리 포들라치코프 등이 현재까지 확인된 러시아 출신 금메달리스트였다. 오랜만에 좋은 성적을 거두어, 과거의 동계스포츠 강국으로서의 위상은 어느 정도 회복했다고 할 수 있으나, 외국에서 데려온 선수들이 메달 획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데다가, 피겨스케이팅에서 홈텃세와 편파 판정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로 인해 메달을 13개나 박탈당하면서 최종 성적은 3등이나 폭삭 깎여버린 4위가 되어버릴줄 알았으나 2018년 2월 1일 국제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의해 도핑증거 부족을 이유로 그중 9개의 메달기록이 회복되어 다시 러시아가 종합 1위로 올라섰다. 그리고 이 사건으로 인해서 다음 올림픽에서는 아예 자국의 국기도 못달고 출전하는 굴욕을 맞이했다.
일단 대회 초반에는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오던 남자 스피드 스케이팅 500m에서 가토 조지가 5위에 그치며 메달 획득에 실패하고,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는 여자 프리스타일 모굴스키의 우에무라 아이코가 지난 올림픽에 이어 다시 4위를 했고, 아사다 마오와 더불어 일본 내에서 가장 기대하던 선수였던 여자 스키점프의 다카나시 사라도 4위로 메달 획득에 실패하며 초반 분위기는 썩 좋지 못했다.
하지만 다카나시 사라가 메달 획득에 실패한 바로 그 날,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종목에서 15세히라노 아유무숀 화이트를 제치고 은메달, 히라오카 타쿠가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일본인들은 다카나시 사라의 금메달을 기대하며 아침을 맞이하였으나, 대신 남자 스노보드 선수 두 명의 메달 소식으로 아쉬움을 달랠 수 있었다.[19] 이들의 스노보드 메달은 아시아 선수 최초의 올림픽 스노보드 메달이기도 하다. 그 다음날 노르딕 복합 노멀힐에서 와타베 아키토가 은메달을 따내면서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이후 20년 만의 노르딕 복합 메달을 얻었다. 그리고 2월 14일에는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에서 하뉴 유즈루가 우승하여, 일본 남자 피겨 선수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금메달을 얻었다. 이로써 일본 열도는 그야말로 흥분의 도가니에 빠져버렸고, 하뉴는 이번 대회 일본의 최고 인기스타로 떠올랐다.
그리고 스키점프 남자 라지힐에서는 42세의 노장 가사이 노리아키가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가사이 노리아키는 무려 7회 연속으로 동계올림픽에 출전했으며,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딴 이후 무려 20년만에 올림픽 메달을 다시 얻었다. 스키점프 단체전에서도 동메달을 따면서 열도는 다시한번 흥분의 도가니에 빠져들었다. 하지만 그렇게나 기대하고 기대하던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는 아사다 마오가 쇼트 프로그램에서 16위에 그치는 부진의 충격에 빠졌다. 아사다 마오는 프리에서 대반전을 시도하였으나, 쇼트 점수가 워낙 낮은 탓에 합계 6위로 메달권에 들지 못했고, 함께 출전한 스즈키 아키코무라카미 카나코도 각각 8위와 12위로 메달과는 거리가 있었다. 대신 스노보드 여자 대회전 종목에서 다케우치 도모카가 은메달, 프리스타일 스키 여자 하프파이프 종목에서 오노즈카 아야나가 동메달을 따면서 피겨 여자 싱글의 부진을 달랬다. 최종적으로는 금메달 1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 금메달 기준 종합 17위로 대회를 마쳤다.
일단 빙상 종목에서는 하뉴 유즈루의 금메달을 빼면 전반적으로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다는 평.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은 설명하지 않아도 좋을 정도이고, 남자 싱글도 하뉴 유즈루를 제외하면 메달 획득에 실패하여, 남자 싱글에서도 메달 2개는 건진다는 목표는 이룰 수 없었다. 전통적으로 꾸준히 메달을 따오는 편이었던 스피드스케이팅에서 노메달에 그치고, 쇼트트랙에서도 결승에 진출한 선수가 하나도 없을 정도로 부진했다.
가까스로 출전권을 획득한 여자 컬링에서는 공교롭게도 첫번째 경기가 한일전이었고, 여기서 지는 바람에 처음에는 꿈도 희망도 없을 것 같았지만, 이후 덴마크, 스위스, 중국 등을 꺾으며 일본에서도 큰 기대를 하게 되며 4강 진출까지 노렸으나, 5위로 경기를 마쳤다. 자국에서 열린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후 16년만에 올림픽에 진출한 여자 아이스하키는 전경기에서 지며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강호 스웨덴, 러시아를 상대로 적은 점수차로 패하여 나름대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대신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유럽 선수들에 밀려 메달을 얻지 못했던 설상 종목에서는 7개나 되는 메달을 수확했다. 스노보드, 프리스타일 스키, 스키점프, 노르딕복합 등 모두 4개의 설상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메달 획득 종목도 다양할 뿐 아니라, 메달을 얻은 선수들도 노장부터 2018년 동계 올림픽까지 기대할 수 있는 어린 선수까지 연령대도 폭넓게 분포되어 두터운 선수층을 보여주었다. 메달을 얻지는 못했지만 10위권 이내에 들어 근소한 차로 메달을 얻지 못한 선수도 많았다. 설상 종목에서 10위권 이내에 든 선수가 하나도 없던 한국과는 대조적인 부분.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빙상종목에서만 얻은 한국에 비해 메달수로는 적지만, 한국이 특정 종목에 치우친 것과 달리 좀 더 다양한 종목에서 선전했기에 이번 소치 올림픽은 일본에서 1998년의 자국 나가노 대회(금5, 은1, 동4)를 제외하고는 메달 획득에서 가장 성공적인 대회로 남게 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스피드 스케이팅 첫번째 경기인 남자 5000m에서 금은동을 싹쓸이하면서 네덜란드 돌풍의 시작을 알렸고 남자 500m에서도 금은동을 싹쓸이해버렸다.[21] 네덜란드의 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 행진은 이 종목에서 4번째로 치러진 여자 500m에서 이상화에 의해 깨졌지만 여기서도 네덜란드 선수가 동메달을 따면서 큰 의미를 거두었다.[22] 10개 개인전 세부종목 모두에서 네덜란드 선수들은 메달을 받았으며, 그 중 무려 6개 종목에서 금메달을 땄고 4개 종목에서는 네덜란드 선수가 금은동을 모두 석권했다. 그리도 팀추월에서도 올림픽 세계신기록을 경신하며 금메달 2개를 획득했다. 이로써 네덜란드는 스피드 스케이팅 한종목에서만 금메달 8개, 은메달 7개, 동메달 8개로 23개나 되는 개수의 메달을 수확하며 동계올림픽 참가 사상 최고의 성적을 올렸다. 동계올림픽이 시작된 이래 빠지지 않고 이어온 전통에 저변도 상당히 넓은 종목에서 이렇게 특정 국가가 올림픽 메달을 독식하는 것은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일이다. 덕분에 타 국가들은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대체적으로 부진했으며, 특히 전통적인 스피드 스케이팅 강국이던 미국, 독일, 노르웨이 등은 단 한 개의 메달도 따지 못했다. 심지어 네덜란드가 스피드 스케이팅 한 종목에서만 얻은 금메달 8개, 은메달 7개, 동메달 8개의 메달 개수는 이 대회에서 전 종목에 출전한 왕년의 동계스포츠 최강국 독일이 얻은 메달 개수보다도 많을 정도였다.
또한 쇼트트랙에서 러시아만큼은 아니지만 눈부신 성장속도를 보여주어 주목받았다. 2월 15일에 열린 남자 쇼트트랙 1000m 종목에서 싱키 크네흐트 선수가 네덜란드 올림픽 쇼트트랙 사상 처음으로 동메달을 획득한 것. 스피드 스케이팅 강국인 네덜란드는 원래 올림픽에서 쇼트트랙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도록 하는 데 크게 찬성하던 나라의 하나였는데[23] 정작 메달은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처음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이 된 이래 22년만에 처음 얻은 것이다. 이 동메달은 이번 대회에서 스피드 스케이트를 제외하고 네덜란드가 유일하게 얻은 메달이다.
한편 밴쿠버 올림픽 스노보드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며 네덜란드의 동계올림픽 참가 사상 최초의 빙상종목 외 메달리스트가 된 니콜린 사우에르브레이는 이번에는 메달을 얻지 못했다. 그리고 봅슬레이에서는 여자 2인승에서 4위에 올랐다. 조금만 더 빨랐으면 메달까지도 가능했던 성적. 빙상 외 종목에는 참가 선수가 얼마 없지만, 이들도 상당수가 상위권에 올랐다.
최종적으로 금메달 8, 은메달7, 동메달 9개를 얻어 금메달 기준과 총메달수 기준 모두 종합 5위에 올라 동계 올림픽 참가 사상 최고의 성적을 올렸다.
선수단은 파견하지 않지만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개회식에 정부 대표로 참석했으며 푸틴 대통령을 만났다. # 그리고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도 주요장면을 녹화 중계했다.


7. 대한민국 동계올림픽 성적[편집]


■ 2014 22회 소치 동계올림픽 (XXII Winter Olympics Sochi 2014)
대한민국은 종합 13위의 성적을 거뒀다.

러시아는 이 대회에서 종합 1위에 올랐으나, 도핑사건으로 인해 메달이 박탈되어 최종 성적은 3등이나 폭삭 깎여버린 4위가 되어버릴줄 알았으나 2018년 2월 1일 국제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의해 그중 대부분의 메달기록이 회복되어 다시 종합1위로 올라갔다. 그리고 이 사건으로 인해서 다음 올림픽에서는 아예 자국의 국기도 못달고 출전하는 굴욕을 맞이했다.

8. 운석 금메달[편집]


파일:attachment/2014 소치 동계올림픽/meteo.jpg
2014년 2월 15일, 7개 종목에서 금메달을 취득하는 10인[26]의 선수에 한해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 당시 떨어진 운석 파편이 들어간 금메달을 수여한다. 운석우 사건 1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기획. 본래 시상식에서 올림픽 금메달과 함께 수여될 예정이었지만 선수들 간의 형평성 문제를 고려한 IOC 측의 요청으로 인해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대신 추후 올림픽 조직위 측에서 금메달리스트들이 소속된 각국의 올림픽위원회를 통해 선수들에게 증정하기로 하였다. 빅토르 안이 대표적인 취득자이다. 해당 항목 참고.

한국어 위키백과, 다음, 네이버 참고.

9. 대회 진행[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4 소치 동계올림픽/대회 진행#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한국측 중계진[편집]



10.1. KBS[편집]







10.2. MBC[편집]






10.3. SBS[편집]





11. 문제점[편집]


개최지 투표 선거운동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는데 후보지 국가들의 원수들이 총회에 참가해 정치와 스포츠는 분리되어야 한다는 암묵적인 원칙이 깨져버렸다는 것이다.

이미 2012 런던 올림픽의 유치전 때도 비슷한 양상이었지만 그때는 프랑스의 간접적 병크가 터진데 거기에 영국 총리까지 와서 연설함으로서 표가 흔들린 것이라면 이번에는 워낙에 블라디미르 푸틴 당시 대통령의 영향력이 유럽 내에서 컸던지라 한국이나 오스트리아의 병크 그런 것도 없이[29] 푸틴의 위력 그 자체만으로 2차 투표에서 유럽 IOC 위원들의 표를 흡수할 수 있었다.

사실 과테말라 총회에는 한국에서도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해서 모습을 비쳤고 오스트리아의 하인츠 피셔 대통령도 나왔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만 직접 프레젠테이션에 참석하는 등 세 국가원수 중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고 러시아 대통령의 이러한 모습이 러시아 유치 성공의 큰 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다.[30] 두 번이나 이런 식으로 국가원수나 국가 지도자에 따른 표심 변화가 심각할 정도에 이르게 되고 설상가상으로 결국 3년이 지난 2010년 12월, 2007년 선정 때 러시아가 모나코 국왕을 비롯한 몇몇 IOC위원들에게 극지 탐험이나 별장 등을 제공하는 등의 뇌물을 뿌린 것이 드러났다. 그것도 푸틴이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IOC 내부에서는 이런 막장상황을 근거로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 때는 국가 원수들이 총회에 참가할 수 없게 만들어야 한다' 이런 이야기가 나왔지만 총회에도 안건이 올라오지 못했다. 되레 즐기고 있다는 반응이다.

이런 상황이니 이후의 올림픽 총회도 국가원수(브라질룰라 대통령, 미국버락 오바마 대통령(2016년 하계올림픽), 한국이명박 대통령, 독일의 크리스티안 불프 대통령(2018년 동계올림픽), 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 국왕 설까지)더 요란하게 출현하게 되었다. 러시아 안팎에서 우려 섞인 소리가 나왔는데 그 이유는 소치가 그 유명한 체첸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올림픽 기간을 전후로 해서 테러 위협이 어느 때보다 높다는 것이다. 소치와 그로즈니의 거리가 도로를 타면 635km. 이 외에도 조지아와 분쟁을 일으키는 압하스[31] 국경 근처였다. 어느 정도 가깝냐면 빙상 경기가 열리는 경기장이 모여있는 올림픽파크에서 걸어서 압하스 국경까지 그냥 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그러나 압하스는 애초에 친러 성향이라서 조지아에서 나가려고 분쟁을 일으킨 것이었으므로, 러시아에서 열리는 소치 올림픽에 폐를 끼칠 가능성은 당연히 없었으므로 큰 논란은 되지 않았다.

더불어 주민들의 개최 열기는 높지만 토지보상을 제대로 못 받아 불만이 있다고 한다.[32] 실제로 2013년 11월, 이츠케리아 체첸 반군 지도자 도쿠 우마로프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올림픽을 파토내겠다" 라고 선언하고 12월 29일과 30일에는 볼고그라드에서 연쇄 자살폭탄 테러가 일어나 많은 사상자가 나왔다. 현재 소치에는 FSB 알파 그룹내무군 소속 스페츠나츠들이 쫙 깔렸다. 다행히 올림픽은 안전하게 열렸다.

사실 소치라는 도시는 온화한 이유로 겨울에도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때가 거의 없다. 야쿠츠크, 베르호얀스크, 오이먀콘은 영하 50-60도인데! 사실 러시아에서 가장 겨울에 따뜻한 지역이 소치 일대이다. 1월 평균기온을 비교해 보면 소치가 5.9℃, 대관령이 -7.7℃로 13~14도 가까이 차이난다. 사실 소치의 1월 평균기온은 제주시(5.7℃)보다도 높은 수준. 이렇게 따뜻하기 때문에 소치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겨울 휴양지지만 사실 그보다는 아름다운 해변이 있고 여름에 꽤 덥기 때문에 해수욕을 즐길 수 있어 여름 휴양지로 더 이름이 높다. 어느 정도냐 하면 거리에 널린 게 야자수일 정도라고. 그래서 밴쿠버 꼴 나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올림픽 기간에도 그것이 현실로 나타났는데 최고 온도가 17도를 찍는 바람에 소치 시민이나 소치를 다녀가는 사람들이 외투를 벗고 지나가는 모습이 찍혔다.

이렇게 따뜻한 곳인데도 동계 올림픽 개최가 가능한 것은 사실 부근에 매우 높은 캅카스 산맥이 있기 때문에 산 아래가 아무리 따뜻해도 실외경기를 하는 데는 전혀 무리가 없는 덕분이다. 인근에는 캅카스 산맥의 높은 산이 이어져 있고 이곳에 스키 리조트를 개발하여 투자를 유치하여 개최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동계 스포츠에 관한 시설은 열악하다고 한다. 밴쿠버도 비슷하게 부근에 높은 산이 있어 온화한 기후에도 동계 올림픽을 유치할 수 있었지만 이미 부근의 스키장이 세계적인 시설을 갖춘 스키 리조트로 이름나 있던 밴쿠버와는 상황이 아주 다르다. 급기야 눈이 내리지 않아 설상 종목 개최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 예상되자 눈 저장소를 신축하여 겨울 동안 내린 눈 45만 톤을 보관해 놓았다가 대회 때 깔 예정이라고도 한다.

12. 사건 사고[편집]


여담으로 이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막심 트란코프가 관중들에게 드럼을 가져와도 된다고 허락했다는 기사가 뜨면서 국내 피겨팬들은 충격에 빠졌다.[35] 그 덕분에 트란코프는 드럼코프라는 별명을 얻었다.
미국 언론 유에스에이 투데이(USA Today)에서 러시아 관중의 이러한 모습을 까는 기사를 내기도했다.
파일:attachment/twintwintotototosasdf.jpg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칸막이 없는 쌍둥이 변기. 기자에 의해 트위터에 공개된 이 아스트랄한 변기는 소치 올림픽의 상징 아닌 상징이 되어버렸다. 1, 2 하지만 2년후의 리우에서 벌어질 하계 올림픽에 비하면 이건 아무것도 아니게 되었다.


12.1. 러시아 국가대표팀의 조직적 도핑[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러시아 정부는 자국에서 개최된 올림픽에서 선전하여 국가 체제를 홍보하고 영향력을 확대시키려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결국 이를 위해 조직적으로 관여했음이 드러났으며,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스포츠 윤리에서 엄격히 제재하고 있는 약물 도핑이었다. 본 올림픽에서 금지된 약물을 복용하고 메달을 딴 러시아 선수가 최소 15명에 달한다는 핵심 관계자의 폭로가 나왔다. #

이 때문에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러시아 올림픽 대표팀이 전부 도핑 관련으로 제재를 받아 국기를 달고 출전하지 못했으며, 사실상 러시아 전체가 당분간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퇴출되었다. 이미 구 소련 시절부터 러시아의 비윤리적 스포츠 경쟁, 특히 올림픽 도핑이 문제시되어 왔지만 이번엔 러시아 연방 보안국(FSB)까지 동원된 대사건이라서 문제가 꽤나 심각하다. # 일명 '귀부인 칵테일' 작전으로 FSB 요원이 배관공으로 위장해 깨끗한 샘플로 바꿔치기 하는 방식으로 감시를 피했다고 한다.#

이후 러시아는 훗날에 터진 그 반인륜적인 사건으로 인해 더더욱 나락에 빠지게 되었다.


12.2. 피겨 스케이팅 판정 문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 판정 논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2:10:55에 나무위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것이 공식 엠블럼 맞다.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웹사이트 주소를 활용한 엠블럼.[2] 그냥 가로로 연달아 http://sochi.ru로 읽을 수 있으나 이는 소치 시청 홈페이지이며, http://sochi2014.ru가 올림픽 공식 사이트였다. 현재 해당 관련 홈페이지(입장권, 스토어, 안내, 뉴스 등)는 폐쇄되었으며, 올림픽 위원회의 공식 홈페이지만 남아있다.[3] 아래를 보면 알겠지만 마스코트에 고유한 이름이 부여되지 않았다.[4] 역대 최다 선수단[5] 같은 시기 한국의 연간 국가 예산이 300~350조원인 것을 감안하면 믿기 어려울 정도의 막대한 금액이다. 한 마디로 수익성을 생각하지 않고 단지 국가의 위신만을 위해 진행한 경기라는 의미다.[6] 대한민국과 비교할 경우 1988 서울 올림픽의 대회 경비는 1조 8,700억원이었으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대회 경비는 13조 8,000억원이었다. 소치 올림픽이 더 늦은 시기에 개최된 평창 올림픽보다 경비를 3배를 훨씬 초과하는 수준으로 지출했다.[7] 남반구에서 동계올림픽을 제대로 치르려면 북반구의 여름에 해당하는 시기에 올림픽을 치를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FIFA 월드컵과 겹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문제는 남반구 국가들 중에서 동계올림픽을 치를 역량과 기후 조건을 갖춘 국가가 극히 드물다는 것이다.[8] 이름은 그냥 표범.[9] 데드모로즈가 '모로즈가 죽었다' 란 것과 발음이 겹친다.[10] 토끼는 16%, 북극곰은 18%의 지지를 받았다.[11] 참고로 카프카스에는 눈표범이 서식하지 않는 대신에 표범의 아종인 페르시아 표범이 서식한다.[12] 다만, 소치의 프레젠테이션 영상에는 다른거 다 집어치우고 러시아산 금발미녀가 나왔었다. # 문제의 영상, 감상해보자.[13] 반대로 대구세계육상선수권 유치 성공 비결이 김범일 당시 대구광역시장이 KTX를 유난히 강조해서 된 거라고 한다. 이후 2018 동계올림픽 유치 최종 프리젠테이션에는 친이계인 김범일 시장의 조언으로 '한반도 통일과 평화'는 배제하고 강릉선을 바탕으로 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했다.[14] 이명박이 괜히 영어로 사기쳐가면서 평창유치를 성공시킨게 아니다.[15] 아시아 국가에서는 1위[16] 소련이 붕괴되고 독립국가연합 출전마저 끝난 시대에 러시아 단독으로 노르웨이를 금메달 수로 제쳤다.[17] 정확히는 4개가 귀화 선수 혼자 획득한 금메달이고, 3개(쇼트트랙 남자 계주, 피겨스케이팅 단체전, 페어)는 귀화 선수와 러시아 토종 선수의 합작으로 획득한 것. 물론 합작한 금메달도 귀화 선수가 없었으면 얻기 힘들었을 것이다.[18] 이 선수 역시 빅토르 안과 마찬가지로 귀화선수이다.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이미 2002년, 2006년 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바 있다.[19] 이들 경기는 소치 현지시간으로 밤에 치러져, 일본에는 그 다음날 새벽에 결과를 알게 된 것[20] 사실 만화 먼나라 이웃나라를 통해 알려진 운하 스케이트 마라톤(Elfstedentocht)의 경우 가장 최근에 열린 것은 1997년으로, 2014년 기준으로 17년 간이나 열린 적이 없다. 그도 그럴 것이 네덜란드는 따뜻한 해양성 기후라 겨울에도 평균 기온이 웬만하면 영상이라 어지간한 강추위가 오지 않는 이상 수많은 사람들이 올라가도 깨지지 않을 수준의 얼음이 얼지 않는다.[21] 단거리인 남자 500m는 네덜란드의 취약 종목으로 역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적이 없는데 이번에 금메달 뿐 아니라 은메달과 동메달까지 휩쓸었다.[22] 여자 500m 역시 네덜란드의 취약 종목으로 이전까지 올림픽에서 메달을 딴 적이 없었다. 이상화가 힐링캠프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이 동메달을 딴 네덜란드 선수는 그렇게나 좋아했다고 한다.[23] 네덜란드는 1980년대 쇼트트랙 강국이었다. 쇼트트랙이 처음 시범종목으로 치러졌던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때도 가장 많은 메달을 얻었다.[24] 이때 주자 중 한 명인 에디 알바레즈가 후에 2020 도쿄 올림픽 야구 대표팀에 뽑혀 하계 올림픽에서도 은메달을 얻는다.[25] 전체 참가자는 90명. DNF가 23명이나 나온 것이다.[26] 크로스컨트리 계주가 4인 단체전이라 메달리스트는 10인이 된다.[27] 남자부.[28] 여자부.[29] 당시 기사에서 외국인 기자는 '평창은 프레젠테이션이 여러 모로 훌륭했지만 이것은 로비로 충분히 뒤집을 수 있는 일' 이라고 말했는데 그 결과는 예상했던 대로 나왔었다.[30] 물론 세 나라 국가원수들 중 푸틴의 지명도가 가장 높은 것도 영향을 주었다. 노무현 대통령도 세계최초의 인터넷 대통령이라는 이미지로 비교적 세계적인 지명도가 있었으나, 러시아 절대 군주 푸틴이 워낙 후덜덜한 네임드였다.[31] 국제적으로 조지아 영토로 취급되는 미승인국이다. 조지아, 압하스 항목 참조.[32] 평창의 경우는 반대인원이 있긴 하지만 범국민적으로 개최에 열기를 올리는것과는 다른 이미지. 이러한 열기 덕분에 평창이 개최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지만 결국 되지 못했다. 그래도 평창은 다음 올림픽을 가져갔으니 보상은 받았다.[33] 아예 세계선수권 출전 경력 자체가 없다.[34] 볼로소자/트란코프 팀은 2013년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했으며(당시 2위가 사브첸코/졸코비 팀이었다.) 2013-2014 시즌 들어서는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세계 신기록을 연이어서 달성했고 유럽선수권에서도 우승했다.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사브첸코/졸코비 팀에게 밀리긴 했다.[35] 볼로소자/트란코프 조는 2013년 김연아 아이스쇼에 초청되어 연기를 선보인 바 있으며 트란코프는 김연아의 2014 종합선수권 경기 영상을 트위터에 링크하고 '걸작'이라는 코멘트를 단 적이 있다. 그런 이유로 해서 이 조는 한국 피겨팬들에게 비교적 호감을 받던 조였다.[36] 인프라 관련 비용이 상당수로 추정된다. 가령 평창도 11조원이 들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도로, 철도 인프라 비용이 90%정도 된다.# 휴양지라곤 하나 모스크바 까지의 거리를 고려하면 납득이 안가는건 아니다. 또 러시아 정부 차원에서도 소치를 동계올림픽 만이 아닌 F1 그랑프리 경기장을 건설하고 2018년 러시아 월드컵 경기를 여는 등 스포츠 중심지로 키울 계획이라하니 동계올림픽에만 54조원을 쏟는다는 주장은 틀린 말이다.[37] 다만 미국과 서유럽 동성애자들이 사용하는 무지개 깃발은 남색이 빠진 6색 무지개이다. 무지개 항목 참조.[38] 원래는 무명그룹이었으나 대선을 앞둔 2012년 2월, 모스크바 구세주성당 제단에 올라가 '성모여, 푸틴을 쫓아내소서'라는 노래를 부르며 공연을 펼치며 유명세를 탔다. 이로 인해 멤버 5명 중 3명이 종교 증오 조장 및 난동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는데, 이에 마돈나, 폴 매카트니 등이 이들을 지지하며 석방을 요구하기도 했다. 결국 이들은 2013년 12월 푸틴 대통령의 사면으로 출소하였다. 2월 17일에도 소치에서 절도 혐의로 연행되었는데, 실제로는 푸틴의 독재를 비꼬는 '푸틴이 조국을 사랑하는 법을 가르쳐 줄거야'란 제목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하던 중 연행되었다고 한다.[39] 35초 경[40] 올림픽 후원업체는 올림픽에 후원을 할만큼 큰 힘을 가진 회사라는 것을 자랑하기 위한 목적도 강해, 괜히 단속을 강요했다간 기업 이미지가 깎이는 것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41] 그런데 사실 이런 문제는 스폰서 업체가 이야기하기 전에 관련단체(여기서는 IOC)가 알아서 먼저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맞으며 실제로 그런다. 앞 주석처럼 스폰서 업체는 이미지 문제도 있으므로 경기단체가 악역을 해 줘야 하는 것. 참고로 이 문제에 대해 FIFA는 얄미울 정도로 철저하다. 이를테면 경기장 및 주변은 물론 월드컵 경기와 조금이라도 관련이 있는 상황에서는 스폰서 보호를 한다. 예를 들어 선수단이 숙소로 사용하는 호텔 등은 해당 제품 카테고리에 스폰서 업체가 있는 경우, 타 사의 제품이 호텔 비품으로 있는 경우 아예 치워버리던가 그게 불가능하면 상표라도 가려야 한다. 본 경기기간도 아닌 조추첨 행사(2001년 부산 BEXCO에서 치뤄짐) 당시에도 펩시콜라의 자판기는 치워져야 했다. 이게 경우가 심해서 해당 국가의 주권침해 소지도 있을 정도인데 해당국 법률과 상치되는 상황에서도 FIFA는 스폰서 업체 제품만을 강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