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범일

덤프버전 :

파일:Semi_protect3.svg   이 문서를 편집한 기록이 있어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허억
제2대
이호석
제3대
김종환
제4대
허흡
제5대
조준영
제6대
이종왕
제7대
박기서
제8대
김종환
제9대
강원채
제10대
강계원
제11대
태종학
제12대
김수학
제13대
이규이
제14대
김무연
제15대
정채진
제16대
박창규
제17대
장병구
제18대
정채진
제19대
이상희
제20대
이상연
제21대
박배근
제22대
박성달
제23대
이해봉
제24대
한명환
제25대
이의익
제26대
조해녕
제27대
이종주
제28·29대
문희갑
제30대
조해녕
제31·32대
김범일
제33·34대
권영진
제35대
홍준표
←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대구부윤
파일:대구광역시 시정슬로건.svg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영진
제2대
강봉수
제3대
손수익
제4대
장일훈
제5대
김준배
제6대
이상희
제7대
손종호
제8대
임성재
제9대
김찬회
제10대
정채진
제11대
정채진
제12대
노건일
제13대
이동우
제14대
최평욱
제15대
류종탁
제16대
조남조
제17대
곽만섭
제18대
이영래
제19대
이보식
제20대
이보식
제21대
김동근
제22대
신순우
제23대
김범일
제24대
최종수
제25대
조연환
제26대
서승진
제27대
하영제
제28대
정광수
제29대
이돈구
제30대
신원섭
제31대
김재현
제32대
박종호
제33대
최병암
제34대
남성현





대한민국 제23대 산림청장
제31·32대 대구광역시장
김범일
金範鎰 | Kim Beom-il
파일:2A6EE0C6-6D85-4C4B-80C5-94EAFCD5600D.jpg
출생1950년 11월 30일[1] (73세)
경상북도 예천군 하리면 은산리
거주지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본관신 안동 김씨[2]
재임기간제24대 산림청장
2002년 2월 5일 ~ 2003년 3월 2일
제3대 대구광역시 정무부시장 (조해녕 시정)
2003년 5월 10일 ~ 2006년 1월 22일
제31·32대 대구광역시장
2006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가족부인 김원숙, 슬하 1남 1녀
학력대구초등학교 (졸업)
경북중학교 (졸업)
경북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 학사)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행정학 / 석사)
종교불교
병역대한민국 육군 상병 만기 제대
소속 정당
무소속

경력제12회 행정고시 합격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 휘장사업과장 (전두환 정부)
대통령비서실 일반행정비서관 (문민정부)
총무처 조직국장 (문민정부)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상임위원 (국민의 정부)
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장 (국민의 정부)
제23대 산림청장 (국민의 정부)
제3대 대구광역시 정무부시장 (조해녕 시정)
제31·32대 대구광역시장 (민선 4·5기 / 한나라당)
대구 FC 구단주


1. 개요
2. 생애
3. 수상 내역
4. 여담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 제31·32대 대구광역시장.


2. 생애[편집]


1950년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신 안동 김씨. 대구초등학교, 경북중학교, 경북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학위를 졸업하였다. 이후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과정을 취득하였다.

이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김대중 정부행정자치부 기획관리실장, 산림청장을 역임하였다. 노무현 정부 초기에 조해녕대구시장 휘하에서 정무부시장[3]을 역임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각각 70.15%, 72.9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4]

시장 재임 당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착공 및 대구국가산업단지 유치에 성공했으며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5], 지지부진하던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신축을 진행시켜서 좋은 평가를 받는 등 업적을 남겼다. 또한 취임 직후 곧바로 대구광역시장 관사를 폐지시킨 뒤 자택에서 출퇴근하기도 했다. 당시 지자체장들이 관사에서 거주하는 게 당연시됐던 시기라는 걸 생각하면 상당히 진일보한 정책이었다.[6] 한편 김범일 시장 재임 당시인 254만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여 250만대가 무너졌던 대구의 인구가 반등하여 다시 251만까지 증가하기도 했다.

대구 지하철 참사와 관련된 유가족 단체에게 고소를 당할 정도로 갈등을 겪었다. 경찰 병력 3,000여 명 투입으로 시위대가 해산하는 등 사건의 논란이 사라졌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하여 정계를 은퇴하였다.[7]

3. 수상 내역[편집]




4. 여담[편집]


  •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안산시 단원고 학생을 비롯한 희생자분들께 진심어린 애도의 뜻을 표하고, 지난 대구 지하철 참사 시 전 국민의 아낌없는 성원으로 희망의 도시 대구로 발전하였다”, “지하철 화재 사고 시 전 국민이 보여준 성원에 보은하는 마음으로 고통 받는 희생자 가족과 구조 활동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애도했다. 또한 자비로 1억 원을 기부했고, 도시에서 모금을 하여 피해자와 국민들을 위로했다. # 당시 지하철 참사로 부모가 사망해서 고아가 된 17살 소년에게도 1억 원을 준 미담이 뒤늦게 밝혀졌다.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 - 2012정계 입문

ta-hash-start=w-67846e3182eb84dbc6f986d7266034f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4당명 변경

무소속

2014 - 현재탈당
정계 은퇴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대구광역시장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36,057 (70.15%)당선 (1위)초선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633,118 (72.92%)재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7.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1한나라당김범일당선
2민주당이승천
7진보신당조명래
1 2 3 4 5 6 7 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8:22:07에 나무위키 김범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력 10월 21일.[2] 증참의공파 31세손 O鎰 항렬.[3]경제부시장.[4] 5회 지선에서 얻은 득표율은 역대 대구시장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이고, 한동안 깨지지 않다가 2022년 8회 지선에서 국민의힘 홍준표 후보가 78.75%를 받으면서 12년 만에 깨지게 된다.[5] 푸틴을 물먹이고 유치에 성공할 때도 시장으로 있었다. 반면 비슷한 시기 평창은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준비하다가 남북평화 타령 때문에 영어실력이 끝내주게 좋던 푸틴의 연설로 소치한테 시원하게 물먹었다. 결국 이명박 대통령이 현대 경영인 시절 어필 능력을 유치전 때도 보여주면서 3수 끝에 동계올림픽 유치를 기어이 성공시켰다. 이때는 남북평화 타령을 하지 않았는데 대구시장으로 육상선수권대회 개최 준비로 정신없던 김범일의 충고가 컸다.[6]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대구광역시장 관사는 김범일 시장의 후임인 권영진 시장 취임 직후 다시 부활한다.[7] 후임 시장은 본인과 같은 친이계 출신 권영진. 권영진은 오세훈 시정 1기에서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오세훈계이기도 하다. 권영진의 후임 홍준표도 과거 친이계 출신이었으나 지금은 2번의 당대표와 5선 국회의원, 재선 경상남도지사, 대선 후보를 지내면서 친이라기보다는 친홍이라는 별도 계파의 수장으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