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고전 읽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15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과목이 계승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고전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고전번 문단을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고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 과목 ('18~'24 高1)
공통 과목
선택 과목
일반 선택진로 선택
■ 이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출제 범위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조 바람.
2021학년도독서 · 문학 ·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중 언어 부분
2022학년도 ~
2027학년도
공통 (독서 · 문학) / 2중 1택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2028학년도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22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조 바람.




1. 개요
2. 고전 읽기
2.1. 고전의 가치
2.2. 고전의 수용
2.3. 고전과 국어 능력
2.4. 고전과 삶
3. 특징


1. 개요[편집]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의 진로 선택 과목으로, 보통 학교에서는 고등학교 2~3학년때 배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처럼 명시하고 있다.

다양하고 심층적인 국어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통합적인 국어 역량을 갖추고, 국어 활동의 개선과 바람직한 국어문화 형성에 이바지한다.



2. 고전 읽기[편집]



2.1. 고전의 가치[편집]


  • 고전의 특성, 고전 읽기의 중요성
    • 고전의 특성을 이해하고 고전 읽기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2.2. 고전의 수용[편집]


  • 분야별 고전, 고전의 시대・지역・문화 요인, 자아와 세계의 이해, 고전의 재해석과 평가, 고전과 교양
    • 인문・예술, 사회・문화, 과학・기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고전을 균형 있게 읽는다.
    • 시대, 지역, 문화 요인을 고려하며 고전에 담긴 지혜와 통찰을 바탕으로 자아와 세계를 이해한다.
    • 현대 사회의 맥락을 고려하여 고전을 재해석하고 고전의 가치를 주체적으로 평가한다.
    • 고전을 통해 알게 된 사실과 깨닫게 된 점을 바탕으로 삶의 다양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교양을 함양한다.


2.3. 고전과 국어 능력[편집]


  • 국어 고전의 글쓰기 전략, 국어 고전의 표현 방법, 통합적 국어 활동
    • 국어 고전에 나타난 글쓰기 전략과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다.
    • 고전을 읽고 공동의 관심사나 현대 사회에 유효한 문제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국어 활동을 수행한다.


2.4. 고전과 삶[편집]


  • 고전 읽기의 생활화(바람직한 삶, 인성 함양)
    • 고전 읽기의 생활화를 통해 바람직한 삶에 대해 탐구하고 인성을 함양한다.


3. 특징[편집]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있었던 '고전' 과목을 계승하고 교과서를 발간하지 않아 선생님들이 형식을 자유롭게 편성할 수 있다.
  • 수업 예시로는 담당교사가 정한 책 한권을 모둠별로 읽는 토의 수업, 교사가 정한 한 주제를 가지고 다양한 문학작품을 배우는 경우도 있다.
  • 대부분 고등학교 2, 3학년에 개설되며 3학년의 경우 수능특강 또는 수능완성 교재의 문학 지문으로 진도를 나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3:02:15에 나무위키 2015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고전 읽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