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제 탐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과목에 대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제 탐구 문서
2022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제 탐구번 문단을
2022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제 탐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도덕·역사과 고등학교 과목 ('18~'24 高1)
공통 과목
(1학년)
선택 과목
일반 선택진로 선택
■ 이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범위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내용 체계
2.1. 사회문제의 이해
2.2. 게임 과몰입
2.3. 학교 폭력
2.4.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문제
2.5.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
2.6. 사회문제 사례연구
3. 특징



1. 개요[편집]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의 진로 선택 과목으로, 보통 학교에서는 고3때 배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는 융합 선택 과목으로 자리를 옮겼다.


2. 내용 체계[편집]



2.1. 사회문제의 이해[편집]


  • 사회문제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하고,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관점을 비교한다.
  • 사회문제 탐구를 위한 과학적 방법과 절차를 파악하고, 사회문제 탐구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의 특징을 설명한다.
  • 사회문제 탐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쟁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 사회현상에 대한 통계적 조사를 수행하는 다양한 기관(통계청, 한국은행, 여론조사 기관 등)과 관련 직업에 대해 파악한다.


2.2. 게임 과몰입[편집]


  • 정보사회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하고, 정보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해 조사한다.
  • 또래집단에 대한 관찰을 통해 게임 과몰입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회문제 탐구 절차를 적용하여 게임 과몰입 문제에 대한 탐구 계획을 수립한다.
  • 청소년 게임 과몰입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토의 등을 통해 게임 과몰입 문제의 해결 방안을 도출한다.
  • 정보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적 노력 및 사회 기관(정보통신위원회, 시민단체, 사이버범죄수사대 등)을 탐구하고, 관련 직업에 대해 조사한다.


2.3. 학교 폭력[편집]


  • 문헌연구법(시사자료, 통계자료 등)을 활용하여 범죄 현황을 분석하고, 범죄의 유형을 분류한다.
  • 학교 공동체에서 발생하는 폭력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사회문제 탐구 절차를 적용하여 학교 폭력 문제에 대한 탐구 계획을 수립한다.
  • 학교 폭력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확인하고, 토의 등을 통해 학교 폭력의 해결 방안을 도출한다.
  • 범죄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적 노력 및 사회 기관(경찰, 법원, 교도소, 소년원 등)을 탐구하고, 관련 직업에 대해 조사한다.


2.4.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문제[편집]


  • 출생과 사망의 사회적 의의를 이해하고, 근대 이후 나타난 인구 구조의 변화를 파악한다.
  • 통계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의 저출산・고령화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문제 탐구 절차를 적용하여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탐구 계획을 수립한다.
  • 저출산・고령화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비용 편익 분석 등을 통해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제시된 대안들을 평가한다.
  • 저출산・고령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과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에 대해 조사한다.


2.5.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편집]


  • 사회적 소수자 및 차별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중매체(TV, 영화, 광고 등)를 통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다양한 차별 양상을 파악한다.
  • 사회적 소수자 문제가 지구촌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인식하고, 사회문제 탐구 절차를 적용하여 사회적 소수자 차별 문제에 대한 탐구 계획을 수립한다.
  •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발생 원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토의 등을 통해 사회적 소수자 차별 문제의 해결 방안을 도출한다.
  • 사회적 소수자의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 사회의 제도 및 기구(국가인권위원회, 시민단체 등)를 탐구하고, 관련 직업에 대해 조사한다.


2.6. 사회문제 사례연구[편집]


  •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사회문제 중 하나를 탐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선정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 선정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탐구 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을 활용하여 선정한 사회문제의 현황을 분석한다.
  • 선정한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토의를 통해 해결 방안을 도출한다.
  • 토의를 통해 도출된 사회문제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해보고, 사회문제 탐구 및 해결 과정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발표한다.


3. 특징[편집]


  • 1단원의 내용은 사회·문화의 1단원과 상당히 내용이 많이 겹친다. 그래서 시험을 볼 때 변별력은 여기서 갈린다고 한다. 나머지 단원은 일반 상식으로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대충 훝어보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 진로선택과목인지라 이과생들이 사회 교과 필수 이수 단위를 채우기 위해 이 과목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문과생들도 이 과목을 선택하기도 한다. 7차 교육과정 시절에 존재하였던 인간 사회와 환경과 비슷한 위치라고 볼 수 있다.[1]

[1] 보통 석차등급을 매기지 않고 5단계 절대평가가 이루어지는 진로 선택 과목으로 편제된 이 과목과 여행지리, 고전과 윤리를 자연 계열 학급에서 이수하는 경우가 많다. 마찬가지로 인문·사회 계열 학급에서는 과학 교과 필수 이수 단위를 채우기 위해 과학사나 생활과 과학 등을 이수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