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2018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대회에 연이어 개최된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 대한 내용은 2018 자카르타 장애인 아시안 게임 문서
2018 자카르타 장애인 아시안 게임번 문단을
2018 자카르타 장애인 아시안 게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제18회 아시안 게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Pesta Olahraga Musim Panas Asia 2018
XVIII Asian Games
Jakarta-Palembang 2018
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
대회 기간 2018년 8월 18일 ~ 2018년 9월 2일
개최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자카르타·팔렘방
슬로건 아시아의 에너지
영어: The Energy of Asia
인도네시아어: Energi Asia
마스코트 빈빈, 아퉁, 카카
(Bhin Bhin, Atung, kaka)[1][2]
주제가 Via Vallen - Meraih Bintang ,
Energy18 - Bright as the Sun[3]
참가국 45개국
경기종목 40개 종목, 467개 세부 종목
개회선언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수 선서 아르키 디카니아 위스누
심판 선서 와히아나[4]
성화점화 수지 수산티[5]
개·폐회식장겔로라 붕 카르노 경기장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유치 과정
3. 대회 상징
3.1. 엠블럼
3.2. 마스코트
3.3. 슬로건
3.4. 주제가
4. 대한민국 선수단
5. 대회 진행
5.1. 성화 봉송
5.2. 개막식/폐회식
5.3. 참가국
5.4. 메달 집계
6. 경기 종목
7. 경기장 및 시설
7.1. 경기장
7.2. 기타 시설
8. 대한민국에서의 중계
9. 마케팅
9.1. 파트너
9.1.1. 공식 프레스티지 파트너
9.1.2. 공식 파트너
9.1.3. 공식 스폰서
9.1.4. 공식 서포터
9.1.5. 공식 공급사
10. 사건사고/논란
10.1. 유도 남녀 혼성 판정 논란
11. 기타



1. 개요[편집]


2018 아시안 게임 IGBS 방송 오프닝

▲ 2018 아시안 게임 개막식의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2018년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하계 아시안 게임. 원래는 2019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하기로 했었으나 베트남이 경제 사정을 이유로 포기하면서,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와 팔렘방 공동 개최로 변경되었다.

2. 유치 과정[편집]


2018년 하계 아시안 게임 유치 투표 과정
국가도시1차 투표결과
파일:베트남 국기.svg

하노이29유치 선정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수라바야
자카르타
14탈락
유치 선정
2011년 7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총회에서 개최 도시를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다. 2012년 11월 8일 마카오에서 개최한 OCA 총회에서 기존의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는 해에 동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이 같이 개최되어 흥행성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하계 올림픽보다 1년 전에 개최하기로 합의하였고 2019년 아시안 게임 개최지로 베트남 하노이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2014년 4월 17일 베트남 정부는 경제 문제 등으로 2019년 아시안 게임 개최권을 반납했다.

OCA는 2014년 9월 20일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총회에서 개최지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로 결정하였다. 한편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9년에 대통령 선거가 실시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2019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대회 일정을 1년 더 앞당긴 2018년에 개최하기를 OCA에 정식 요청하였고 OCA는 이를 받아들여 2018년 개최에 합의하였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유치과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대회 상징[편집]



3.1. 엠블럼[편집]


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_좌우.svg

당초 이번 대회를 상징하는 엠블럼은 공모를 통해 2015년 9월 9일 '인도네시아 스포츠의 날'에 공개됐다. 그런데 이 나라 고유의 희귀종인 극락조를 주제로 디자인했다는 엠블럼은 여론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극락조가 아니라 닭 같다는 비판이 이어졌으며, 미술계에서는 산만하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에 대회 조직위원회는 2016년 1월 그 엠블럼을 폐기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개발 작업에 나섰다. 두 번째 공모를 주관한 창의경제위원회는 응모작 60점 가운데 3점을 선정했다. 그중 한 점을 위도도 대통령이 골라 2016년 7월 28일 최종 확정했다.

'아시아의 에너지'라는 부제를 가진 이 엠블럼은 주(主)경기장인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을 하늘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노랑·파랑·보라·빨강의 기다란 원호(圓弧) 네 개는 가운데가 돌출된 타원형 경기장의 전체 모습을, 8개의 가느다란 원호는 출입구를 의미한다.

또한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아시아 45개 국가의 인종·문화·종교적 다양성과 화합을 상징한다.


3.2. 마스코트[편집]


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마스코트2.png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마스코트1.png

왼쪽부터 극락조 ‘빈빈(Bhin Bhin), 자바코뿔소 ‘카카(Kaka)’, 바웨안사슴[6] ‘아퉁(Atung)’ 이다.

인도네시아의 동부, 중부, 서부 지역에 각각 서식하는 대표적인 세 가지 동물을 마스코트로 삼았으며, 각각 전략, 스피드, 힘을 상징한다.

참고로 각각의 메달리스트에게 금메달이면 카카, 은메달이면 아퉁, 동메달이면 빈빈 인형을 부상으로 함께 준다.


3.3. 슬로건[편집]


Energy of Asia (아시아의 에너지)



3.4. 주제가[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공식 주제가
Via Vallen - Meraih Bintang (별을 달다)[7]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공식 주제가 - Bright As the Sun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은 위의 노래가 더 잘 알려있지만 Energy18 - Bright As the Sun도 공식적인 주제가 중 하나다.


4. 대한민국 선수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대한민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대회 진행[편집]



5.1. 성화 봉송[편집]


2018년 7월 15일 제1회 아시안 게임이 치러진 인도 뉴델리의 디얀 차드 국립 경기장에서 성화를 채화하였다. 채화는 태양빛을 오목거울에 모아 성화를 붙이는 것으로 진행했다. 7월 18일에는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부근의 프람바난 힌두사원에서 성화 환영식이 열렸다. 이어 성화봉송 콘서트가 진행되어 인도네시아 전국 대장정의 서막을 알렸다.

성화봉송은 개최도시인 자카르타, 팔렘방을 비롯한 인도네시아 54개 도시를 순회하며,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기념일에는 자카르타의 모나스 독립기념관을 방문한다. 그 다음날 대회 개막일에는 개막식이 열리는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 입성한다.


5.2. 개막식/폐회식[편집]


개막식은 영어 알파벳 순서에 따라 입장하였으며(순서: A, B, C, 홍콩, I, J, K, L, M, 네팔, 오만, P, 카타르, S, T, U, 베트남, 예멘, 인도네시아[8]) KBS1와 MBC는 생방송 중계이고 SBS는 드라마와 그것이 알고싶다가 끝난 이후 녹화방송을 하였다.
인도네시아 대통령인 조코 위도도가 직접 오토바이를 타고 개막식장에 입장하는 퍼포먼스를 보이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개막식과 마찬가지로 KBS1와 MBC는 생방송 중계이고 SBS는 교양 프로 맨 인 블랙박스, 예능 프로 미운 우리 새끼, 교양 프로 SBS 스페셜 편성으로 인해 9월 3일 새벽 0시 5분에 녹화방송을 결정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조직위는 아시아 각국의 가수들을 초청해서 콘서트장 같은 장면을 연출했다. 한국 가수들 중에는 iKON[9]슈퍼주니어[10]가 참가했다.


5.3. 참가국[편집]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에 소속된 45개국이 참가하며, ()안의 숫자는 선수단 규모이다.

참가국 명단 (총 45개국)가나다 순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186)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 (58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800)[11]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64)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142)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29)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107)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427)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146)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269)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112)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109)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117)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354)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2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68)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15)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66)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46)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185)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73)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38)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65)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32)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47)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53)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321)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376)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56)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69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개최국) (93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772)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871)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435)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22)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43)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4)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211)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112)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829)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72)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245)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88)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272)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571)
남북단일팀파일:한반도기.svg 코리아 (60)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초청국으로 처음 참가했던 호주뉴질랜드는 이 대회에서는 참가하지 않는다.\

쿠웨이트는 쿠웨이트 올림픽 위원회가 정부의 간섭으로 인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는 독립 선수단으로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본 대회 개막을 하루 앞둔 8월 17일 IOC의 징계가 일시 해제되어 자국 국기를 들고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북한은 여자 농구, 카누 용선, 조정 등 일부 종목에서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여 참가한다. 개막식에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이 동시에 입장하였다.


5.4. 메달 집계[편집]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메달 결과
[ 펼치기 · 접기 ]

순위국가합계
1파일:중국 국기.svg중국1329265289
2파일:일본 국기.svg일본755674205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495870177
4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31244398
5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21242570
6파일:이란 국기.svg이란20202262
7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대만17193167
8파일:인도 국기.svg인도15243069
9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카자흐스탄15174476
10파일:북한 국기.svg북한12121337
11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127726
12파일:태국 국기.svg태국11164673
13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8182046
14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7131636
15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64313
16파일:몽골 국기.svg몽골591125
17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4161838
18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441422
19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421521
20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36514
21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3126
22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261220
23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21912
24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2013
25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1236
26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마카오1225
27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1203
28파일:한반도기.svg코리아1124
28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1124
30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0437
31파일:라오스 국기.svg라오스0235
32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투르크메니스탄0123
33파일:네팔 국기.svg네팔0101
34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키스탄0044
35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아프가니스탄0022
35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0022
37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0011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메달 결과
[ 펼치기 · 접기 ]

합계순위
4958701773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종목선수메달획득일
태권도남자 개인 품새강민성8월 19일(1일차)
남자 단체 품새강완진, 김선호 ,한명훈
여자 단체 품새곽여원, 박재은, 최동아
여자 개인 품새윤지혜
사격혼성 10m 공기권총김민정, 이대명
펜싱남자 에페 개인박상영
정진선
여자 사브르 개인김지연
수영남자 100m 배영이주호
레슬링남자 자유형 74kg공병민
남자 자유형 97kg김재강
펜싱남자 사브르 개인구본길8월 20일(2일차)
오상욱
여자 플뢰레 개인전희숙
태권도남자 -58kg김태훈
여자 -53kg하민아
여자 -67kg김잔디
사격여자 10m 공기소총정은혜
여자 트랩강지은
남자 트랩안대명
레슬링남자 자유형 125kg남경진
여자 자유형 50kg김형주
수영남자 50m 배영강지석
승마마장마술 팀전김천필, 남동현
김균섭, 김혁
펜싱여자 에페 개인강영미8월 21일(3일차)
최인정
남자 플뢰레 개인손영기
태권도여자 -67kg이다빈
여자 -57kg이아름
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67kg류한수
수영여자 400m 개인혼영김서영
여자 100m 접영안세현
우슈남자 도술/곤술조승재
남자 남권/남곤이용문
펜싱여자 사브르 팀김지연, 윤지수
황선아, 최수연
8월 22일(4일차)
남자 에페 팀박경두, 정진선
권영준, 박상영
태권도남자 -80kg이화준
남자 -63kg조강민
사격여자 25m 권총김민정
기계체조남자 팀김한솔, 이혁정
이재성, 이준호, 박민수
레슬링남자 그레코로만형 97kg조효철
남자 그레코로만형 130kg김민석
남자 그레코로만형 77kg김현우
사이클(도로)여자 100km 개인도로나아름
패러글라이딩남자 팀 정밀착륙김진오, 이성민
이창민, 이철수, 임문섭
여자 팀 정밀착륙백진희, 이다겸, 장우영
우슈남자 산다 -70kg함관식
세팍타크로여자 레구김이슬외 11인
펜싱남자 사브르 팀김정환, 구본길
오상욱, 김준호
8월 23일(5일차)
여자 플뢰레 팀전희숙, 남현희
채송오, 홍서인
태권도남자 +68kg이대훈
사격남자 더블트랩신현우
기계체조남자 마루김한솔
조정남자 싱글스컬김동용
여자 페어전서영, 김서희
여자 더블스컬김슬기, 김예지
여자 경량급 쿼드러플스컬정혜리, 구보연
최유리, 지유진
패러글라이딩여자 개인 정밀착륙이다겸
남자 개인 정밀착륙이철수
역도남자 77kg김우재
승마마장마술 개인전김혁
펜싱남자 플뢰레 팀이광현, 손영기
하태규, 허준
8월 24일(6일차)
여자 에페 팀이혜인, 신아람
최인정, 강영미
사격남자 300m 스탠다드 소총 3자세최영전
이원규
남자 10m 러닝타겟정유진
여자 10m 공기권총김민정
기계체조여자 도마여서정
남자 도마김한솔
사이클(도로)여자 20km 도로독주나아름
조정남자 경량급 싱글스컬박현수
남자 경량급 싱글스컬김병훈, 이민혁
수영여자 200m 개인혼영김서영
혼성 4X100m 혼계영구미소, 안세현
문제권, 이주호
혼성 4X100m 혼계영강지석, 김재연
박예린, 김민주
볼링여자 6인조백승자, 한별, 김현미
이연지, 류서연, 이나영
역도남자 85kg장연학
카바디남자이장군외 11인
테니스남자 단식이덕희
주짓수여자 62kg성기라8월 25일(7일차)
남자 94kg황명세
볼링남자 6인조강희원, 김종욱, 최복음
홍해솔, 구성회, 박동우
가라테남자 가타박희준
사격남자 25m 속사권총김준홍
역도여자 69kg문유라
스포츠 클라이밍남자 콤바인천종원8월 26일(8일차)
여자 콤바인사솔
김자인
사격여자 스키트김민지
역도여자 75kg문민희
골프여자 단체전유해란, 임희정, 정윤지
남자 개인전오승택
남자 단체전오승택, 김동민
장승보, 최호영
육상여자 100m 허들정혜림
3X3 농구남자안영준, 김낙현
양홍석, 박인태
양궁여자 팀 리커브강채영, 이은경, 장혜진8월 27일(9일차)
남자 팀 리커브김우진, 오진혁, 이우석
혼성 팀 컴파운드김종호, 소채원
세팍타크로남자 레구김영만, 심재철, 이준호, 정원덕, 임태균
볼링여자 마스터즈이나영
남자 마스터즈구성회
여자 마스터즈이연지
남자 마스터즈박종우
사이클 트랙여자 팀 스프린트김원경, 이혜진
역도여자 +75kg손영희
리듬체조여자 단체김주원, 김채운, 서고은, 임세은
육상남자 높이뛰기우상혁
양궁여자 리커브 개인강채영8월 28일(10일차)
탁구여자 단체서효원, 전지희, 최효주
양궁남자 리커브 개인김우진
이우석
여자 컴파운드 단체소채원, 송윤수, 최보민
남자 컴파운드 단체홍성호, 최용희, 김종호
사이클 트랙여자 단체추발나아름, 김유리, 김현지, 이주미
여자 경륜이혜진
육상여자 장대높이뛰기임은지
탁구남자 단체정영식, 이상수, 장우진
육상여자 창던지기김경애
다이빙남자 3m 싱크로스프링보드김영남, 우하람
테니스남자 단식김동훈8월 29일(11일차)
김진웅
패러글라이딩여자 크로스컨트리백진희, 이다겸, 장우영
롤러스포츠남자 스케이트보드 스트리트은주원
유도여자 48kg 이하정보경
여자 52kg 이하박다솔
남자 60kg 이하이하림
남자 66kg 이하안바울
사이클 트랙남자 개인추발박상훈
여자 옴니엄김유리
다이빙남자 10m 싱크로플랫폼김영남, 우하람
경보남자 50km주현명8월 30일(12일차)
카누남자 K-4 500m김지원, 조광희, 조정현, 최민규
여자 K-1 500m이순자
사이클 트랙남자 스프린트임채빈
여자 개인 추발이주미
유도남자 73kg 이하안창림
여자 63kg 이하한희주
여자 70kg 이하김성연
테니스혼합 복식김범준, 김지연
김기성, 문혜경
다이빙남자 1m 스프링 보드우하람
핸드볼여자유현지 외 15인
요트남자 레이저급하지민8월 31일(13일차)
남자 49er급채봉진, 김동욱
남자RS:X이태훈
사이클 트랙여자 스프린트이혜진
조선영
여자 매디슨나아름, 김유리
남자 매디슨박상훈, 김옥철
롤러스포츠남자 20km최광호
손근성
유도남자 100kg 이하조구함
남자 90kg 이하곽동한
여자 78kg 초과김민정
여자 78kg 이하박유진
남자 100kg 초과김성민
축구여자조소현 외 19인
핸드볼남자정의경 외 15인
육상여자 근대 5종 경기김세희
김선우
다이빙여자 1m 스프링 보드김수지
카누남자 K-1 200 m조광희9월 1일(14일차)
유도혼성 단체조구함 외 11인
탁구여자 단식전지희
남자 단식이상수
육상남자 근대 5종전웅태
이지훈
테니스여자 단체백설, 문혜경, 김지연, 김영혜, 유예슬
남자 단체김동훈, 김범준, 김진웅, 김기성, 전지헌
다이빙남자 10m 플랫폼우하람
럭비남자 7인제김광민 외 11인
배구여자김연경 외 13인
남자문성민 외 13인
농구남자박찬희 외 11인
야구남자김현수 외 23인
복싱여자 라이트급 60kg오연지
축구남자손흥민 외 19인
트라이애슬론혼성 릴레이장윤정, 김지환, 박예진, 허민호9월 2일(15일차)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파일:한반도기.svg 코리아 메달 결과
[ 펼치기 · 접기 ]

합계순위
112428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파일:한반도기.svg 코리아 메달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종목선수메달획득일
카누/카약 슬라럼여자 카누 용선 200m토명석외 15인8월 25일(7일차)
카누/카약 슬라럼여자 카누 용선 500m토명석외 15인8월 26일(8일차)
카누/카약 슬라럼남자 카누 용선 1000m김부성외 15인8월 27일(9일차)
농구여자 5x5김혜연외 11인9월 1일(14일차)






6. 경기 종목[편집]


올림픽 정식종목 29개 종목에 추가 종목 8개를 더해 37개 종목에서 경기가 치러진다. 이는 2014 인천 아시안 게임보다 1종목 늘어난 것이다. 그런데 사실 인천 대회까지는 독자적인 종목이던 가라데우슈 등을 무술 한 종목으로 퉁치고 세부 종목으로 엮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종목 수가 1개보다 더 늘어난 셈. 무도의 세부 종목으로 픈착 실랏이 아시안게임 종목으로 처음 진입했고, 또한 콘트랙트 브리지도 아시안게임 종목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거기에 광저우 당시 중국 당국에 의해 종목으로 등재었다가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퇴출되었던 용선(드래곤보트)이 카누의 세부종목으로 들어가면서 재진입했다.

올림픽 정식종목 29개 종목은 하계 올림픽 참고. 여기에 더해지는 추가 종목은 스포츠 클라이밍, 야구[12](야구와 소프트볼이 세부 종목), 콘트랙트 브리지, 카바디, 무술(주짓수, 가라데, 쿠라쉬[13], 픈착 실랏, 우슈), 세팍타크로, 스쿼시이다. 참고로 여기서 주짓수는 유러피언 주짓수인 주짓수(JJIF)이긴 하나, 유러피언 주짓수 네와자 종목은 사실상 브라질리언 주짓수(BJJ)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런데 2017년 4월 20일에 나온 기사에 따르면 핸드볼, 세팍타크로, 럭비, 카바디, 스쿼시가 인도네시아 현지 비인기 종목으로 경기장 등 관련 시설을 갖추기 힘들다는 이유로 제외될 것이라고 알려졌다. 특히 핸드볼의 제외가 가장 많은 논란을 빚을 듯 했으나 핸드볼이 정식종목으로 남는다는 대한핸드볼협회의 보도가 나왔다. 또, 태권도는 겨루기 부문 10개에 처음 정식종목으로 치르는 품새 부문 4개를 더한 총 14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한다.# 익스트림 스포츠 중에서는 제트 스키, 패러글라이딩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2020 도쿄 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3X3 농구 역시 농구의 세부종목으로 아시안게임에 처음 데뷔하게 되었다.

또한 e스포츠도 이번 아시안게임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세부종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스타크래프트2, 하스스톤, 프로 에볼루션 사커, 펜타스톰, 클래시로얄이다. 아시안 게임의 흥행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개최권을 반납하는 사태까지 벌어지면서 젊은층을 끌어들이려는 목적으로 시도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대한민국 선수단의 출전은 한국e스포츠협회의 '인정단체' 지위 상실로 e스포츠 선수들의 아시안게임 출전이 불투명한 상황이었으나 24일 대전광역시 체육회에서 가입 승인에 긍정적 의사를 밝히면서 가능성이 생겼다. 기사

그리고 마침내 대전시체육회에서 한국e스포츠협회의 최종 가맹을 승인하면서 아시안게임 출전에 청신호가 켜졌다. 기사

e스포츠는 시범종목이기 때문에 메달 집계에서 제외되며,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혜택인 예술체육요원 대체복무와 연금도 주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고 난 뒤 e스포츠 팬덤에서 아시안게임 참가에 대해서 긍정적인 반응이 확 줄어들었다. 애써 나가봐야 기대한 만큼의 포상금도 없으며 아시안게임을 참여하는 공백기간 동안 진행되는 e스포츠 리그에서 활약할 기회까지 줄어든다는 이유가 가장 크다.

이 때문에 e스포츠는 아직도 '아이돌 팬덤 유사 스포츠' 라는 평가를 못 벗어난다는 비평도 많은데, 평소 e스포츠도 스포츠라며 정식 스포츠화를 외치기도 했지만 정작 스포츠로서 인정받을 아시안 게임 출전 기회가 생기자 "출전하면 불필요한 전력 소모다." "나가서 얻는게 없다." 라며 스포츠 팬이라면 하지 않을 반응들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정식종목이 아니고 시범종목에 불과한 것은 아직 e스포츠를 스포츠로서 완전히 인정하지 않았다는 뜻이며, 기존의 e스포츠 대회들은 아시안게임을 염두에 두지 않고 일정을 이미 짰기 때문에 아시안게임 참가 선수들의 일정에 차질이 생기거나 빡빡해지고, 아시안게임 직후에 열리는 대회들은 아시안게임 참가 선수들이 연습시간, 컨디션 등에서 불리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그래도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으로 e스포츠가 채택된 만큼 강제로 끌려 나오는 것이 아닌 이상 명예와 상징성을 위해서 참가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반응도 다수 보였다.

무엇보다 아시안게임 쪽에서도 첫 수부터 큰 돈을 들이려고 하지는 않기 때문에, 처음부터 정식 경기가 되는 것은 무리수에 가까운 일이었다. 하지만 시범 경기라고 해서 그 의미가 결코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비록 시범 경기라고는 하나 e스포츠가 아시안게임 흥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e스포츠를 즐기는 계층에서 많은 관심을 보내주면 정식 경기가 되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따라서 이번 대회에는 참가하는 선수 개개인 보다는 e스포츠 저변 전체에 향후 행보에 큰 영향을 줄 첫 포석이라고 볼 수 있다. 당장 e스포츠가 아시안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다면 IOC에서도 이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고, 프로게이머들도 과거 공군 ACE 이상의 병역 혜택과 연금이라는 기존에 없던 혜택을 노려볼 수 있다. 단순히 젊은 아이들의 놀이 문화와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은 그 위상에서 차이 날 수 밖에 없고 기업들도 이를 잘 알고 있기에 정식 종목이 된다면 당연히 자본도 더 활발히 유입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혜택들은 e스포츠를 즐기는 팬들에게 결국 돌아오게 된다.

E스포츠에 이어 카누 폴로도 시범 종목에 채택되었다.


6.1. 경기 일정 및 경기 결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대회 진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1.1. 종목별 문서[편집]




7. 경기장 및 시설[편집]



7.1. 경기장[편집]


이번 대회는 자카르타와 팔렘방 2곳에서 분산되어 경기를 치른다.

자카르타 지역에는,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 스포츠단지, 자카르타 국제 엑스포 단지, 자카르타 근교로 나누어 3곳의 스포츠 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팔렘방 지역에는 팔렘방 자카바링 스포츠 단지로 구성되어 총 4곳의 스포츠 단지를 구성하여 경기를 진행한다.

개폐회식장
파일: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jpg[14]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GBK 클러스터
파일:자카르타 클러스터.png
GBK 양궁장양궁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육상
GBK 아쿠아틱 센터수상종목 - 다이빙, 수영, 싱크로나이즈, 수구
근대 5종 - 수영
GBK 이스토라배드민턴
GBK 이스토라농구(5x5)
GBK 농구장
GBK 테니스 센터농구(3x3)
EKS 라팡간 C&D럭비
GBK 야구장야구
GBK 소프트볼 경기장소프트볼
GBK 실내 테니스장배구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 총회 홀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펜싱, 가라데, 무도(쿠라쉬, 삼보), 근대 5종 - 펜싱
GBK 하키장하키
GBK 훈련 시설스쿼시
자카르타 국제 엑스포 클러스터
자카르타 국제 엑스포 케마요란 홀복싱, 유도, 카바디, 주짓수, 우슈
탁구, 태권도, 역도, 레슬링, 체조
풀로마스 국제 BMX 센터사이클(BMX)
자카르타 국제 벨로드롬사이클(트랙)
자카르타 국제 승마 공원승마
폰독 인다 골프 코스골프
POPKI 스포츠 홀핸드볼
안촐 비치 마리나제트스키, 요트
안촐 알리안츠 ECO 파크 브리지
픈착실랏 경기장픈착실랏
자카르타 근교 클러스터
아르타야사 경기장근대 5종 - 승마, 사격, 마라톤
잘란 라야 수반사이클(도로)
케 분 힐즈 수반사이클(MTB)
파칸사리 스타디움남자 축구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
패트리엇 찬드라바가 스타디움
잘락 하루팟 스타디움
겔로바 반둥 라우탄 아피 스타디움
구눙 마스 푼칵페러글라이딩
팔렘방 자카바링 스포츠 센터 클러스터
파일:팔렘방 스포츠 센터.png
자카바링 볼링 센터볼링
븐둥 른탕카누 (슬라럼)
자카바링 호수카누(스프린트), 조정, 철인 3종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94c23c
겔로라 스리위자야 메인 스타디움}}}]]'''
여자 축구
부미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JSC 애슬레틱 스타디움
JSC 롤러스포츠 아레나롤러스포츠
JSC 뎀포 스포츠 홀세팍타크로
JSC 라나우 스포츠 홀
JSC 호수 사격장사격
JSC 스포츠 클라이밍 단지스포츠 클라이밍
JSC 테니스 코트테니스, 정구
JSC 비치 발리볼 경기장비치발리볼


7.2. 기타 시설[편집]


자카르타와 팔렘방에 각각 지어진 선수촌은 총 15개 빌딩과 7426개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카르타에 2만 명, 팔렘방에 2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선수촌의 시설은 3성급 호텔의 기준을 충족한다고 홍보했으나, 실제로는 시설이 매우 열악해서 선수단에서 여러 불만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관계자의 말로는 구치소 독방만도 못한 환경이라고 한다. 관련 기사 아래의 사건 사고 항목에도 나와 있다.


8. 대한민국에서의 중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국내 중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마케팅[편집]



9.1. 파트너[편집]



9.1.1. 공식 프레스티지 파트너[편집]


텔콤셀페르타미나[15]BRI 은행아스트라 인터내셔널그랩
TISSOT[16]361쌍용정보통신카타르 항공

9.1.2. 공식 파트너[편집]


인도푸드포카리스웨트캐논APP 시나마스


9.1.3. 공식 스폰서[편집]


다논 아쿠아삼성전자타노토 재단마스터카드AICE[17]PLN


9.1.4. 공식 서포터[편집]


BTN[18]PGN알파마트지와스라야[19]위자야 카리야 그룹
와키스타 카리야 그룹델타트레트랜스 자카르타NEC


9.1.5. 공식 공급사[편집]


앙카사 푸라 2[20]자사 마르가[21]컴비파[22]코카콜라 프레스티케레타 Api[23]
만디리은행[24]유니레버LAX라이트링크찌트라 마르가
아수란시 크레딧사리아유[25]뉴 에너지케이스타그룹롯데케미칼


10. 사건사고/논란[편집]


국제 대회를 개최해 본 경험이 적은 국가가 대규모의 국제 대회를 충분한 준비 없이 열면 어떻게 되는지를 잘 보여준 대회라고 말할 수 있겠다. 역대급으로 준비가 안된 대회라는 혹평이 나왔으며, 거기에 더해 텃세 논란까지 겹쳐 4년 전 인천 아시안게임이 재평가 받아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인천 대회도 예산 아끼다가 선수촌이나 경기장 곳곳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자원봉사자 태도 논란, 도시락 식중독 등의 사건 사고들로 물의를 빚었지만, 이번 대회는 그런 점은 둘째 치더라도 국제 대회의 기본인 대회 운영부터 말썽이다.

당장 축구 조 재추첨 논란이나 세팍타크로의 말레이시아 부활 사건, 심지어 심판이 본래 규칙을 완전히 무시하고 독단적인 지시를 내리는데 심판이 영어를 몰라 선수의 항의를 묵살하는 등등. 적어도 지난 대회 때 한국은 이런 짓은 안 했다. 다른 것도 아닌 기초적인 운영부터가 이렇게 문제이며 시설이나 장비, 물자 등의 상황은 어떨지 말할 필요가 없을 수준이다.























중국과의 결승전에서 인도심판의 알수없는 편파적 판정으로 1점차로 석패해 금메달을 놓쳤다 오죽하면 해설에 참여한 유재학감독이 분노했을 정도


10.1. 유도 남녀 혼성 판정 논란[편집]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기준으로는 가장 큰 이슈가 된 사건. 사건 초기 해설진의 잘못된 정보 전달과 대중 사이의 루머 전파로 인해 다소 왜곡된 형태로 전파된 사건이기도 하다. 또한 규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탓에 벌어진 사건이다.

9월 1일 벌어진 유도 혼성 8강 한국 : 일본의 경기에서 벌어진 사건으로, 경기결과는 3 : 3동점이었으며, 이에 따라 규정에 의해 점수를 비교해 높은 점수를 얻은 팀이 올라가는 형식이었다. 여기서 기존의 룰 대로라면 한국이 11:10으로 이기고 있었으며, 한국 중계에서도 기존 룰대로 스코어를 출력해 한국 팀이 이기는 것처럼 보였다.[33] 한국 승리를 주장하는 쪽에 의하면 이번 8강전에서 한국은 2경기 한판승으로 10점, 4경기 절반승으로 1점, 5경기 지도승으로 0점을 더해 총 11점. 일본은 1경기 지도승으로 0점, 3경기 한판승으로 10점, 6경기 지도승으로 0점 총 10점이므로 한국이 이겼다는 말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지도승'이란 표현이 애초에 잘못된 표현이었다. 2017년의 규정에서는 양 선수의 득점(한판과 절반)이 동일할 때 지도 수와 무관하게 연장전에 들어가고 지도로 승패가 갈리는 경우는 '연장전에서 하나 이상 지도를 받고(정규시간 지도 유무는 무관)', '상대보다 누적 지도 수가 많으며', '누적 지도 수가 2개 이내'인 경우에 한했다(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순간 경기 종료). 이런 경우가 지도패(상대의 지도승)로 0점이었다. 그리고 지도 3번을 받으면 반칙패가 된다. 그리고 반칙패는 상대 선수의 한판승으로 처리한다.

2018년 바뀐 국제유도연맹 규정에 의하면[34] 양 선수의 득점이 동일하다면 반칙패를 당할 만한 지도 횟수가 아니라면, 연장전에서도 지도가 승패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개정되었다. 상대의 반칙패(3번째 지도)로 얻은 승리는 10점으로 계산되도록 명확히 나타냈고(그전에는 반칙패는 당연히 한판승이므로 굳이 나타내지 않았던 것이고 확실히 하고자 내용을 추가한 것이다.). 즉 이긴 쪽이 0점을 받을 경기는 아예 없어진 것이다. 절반으로 이기든지, 한판(상대의 반칙패 포함)으로 이기든지 하는 것이지 지도를 적게 받아서 승리하는 일이 없어졌다. 이 때문에 최종 스코어 계산에서 한국은 21:30으로 패배하게 되는 결과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한국 대표팀의 주장에 따르면 주최측에 문의했을 때에도 이런 룰 개정에 대한 정보 전달은 전무했다는 것이며, 이에 대한 혼선이 실제 경기에서 문제를 일으키면서 최대 승부조작이 아니냐는 의혹 제기까지 일어난 사건이다.

사건 초기에는 '주최측조차도 룰에 대한 숙지가 없었고 경기가 끝난 후에야 일본측의 주장으로 그제서야 변경 룰을 적용했다', '전광판에도 기존 룰대로 스코어가 올라갔다' 등의 이야기가 퍼졌으나, 당시 전광판 화면을 보면 일단 변경 룰대로 시합이 치러진 것은 거의 확실한 듯 하다. 또한 인터넷에 제대로 공지되어 있지 않다는 주장과는 달리 인터넷에도 제대로 공지가 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상대의 반칙패로 얻은 한판승을 예전에 지도를 적게 받았을 때 승리한 것으로 착각하고 '지도승'이라고 한 것이다.

다만 심판들이 경기 종료 후에 우왕좌왕한 것이나 의견이 갈린 것, 추첨공을 꺼내든 것이나 협의를 했던 것이 무엇을 위한 것이었냐는 아직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4경기 한판승을 절반으로 한 것에 대해 한국 대표팀이 항의를 했고 이에 대해 협의를 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 역시 확실하지는 않다.

이와는 별개로 문제가 되는 것으로 두번째, 어처구니없게도 심판진 중에 일본인 심판이 있었다. 심지어 무려 주심으로! 자국의 경기에 자국의 심판이 심판을 맡을 수는 없다. 당연하게도 이는 편파판정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고 어떤 스포츠에서도 납득할 수 없는 처사이다. 거기에 문제가 된 지도승은 심판재량으로 점수를 줄 수 있다는 것. 단 일본 심판이 배정된 것에 대해 아무런 항의가 없다.

이미 아시안게임 이전에도 이전 유럽 대회에서도 상대의 반칙패에 10점을 주는 경우가 있었으며(한판승이므로 당연)[35], 아시안게임은 국제유도연맹 룰을 따르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대의 반칙패로 인한 승리에 10점을 주는 것은 규정상으로 당연하고 봐야 할 것이다. 문제는 한국 대표팀 측의 주장에 의하면, 대표팀이 경기 주최측에 문의했을 때에는 이것을 전달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간 다른 종목에서도 대회 운영이 중구난방으로 처리되고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 주최측의 미스가 아닌가 하는 의심이 강하게 드는 대목.

그러나 한국측도 문제가 없다고는 할 수 없는데, 작년 룰북을 기준으로 룰을 숙지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할 말이 없는 것도 있다. 물론 이 역시 대회 주최측이 제대로 정보 전달을 해 준 경우에는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이긴 하지만 애초에 한국 대표팀의 준비 부족이 원인이라고 하더라도 할 말이 없는 것이다. 올해 IJF 규정집만 한번 봤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

일본측에서는 대회 룰이 수정되었으며, 그것을 한국 코치진에게 통지했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한유도회는, 감독자 회의에서는 계체에 대해서만 얘기했고 심판들은 참여하지 않았으며, 국제유도연맹의 규정에 지도승은 0점이라며 일본측 주장을 반박했다. 그러나 이는 2017년의 규정에 따른 것이며 2018년 국제유도연맹 규정에서 반칙패에 의한 승은 10점으로 명확히 나타내 있으므로 이 점은 대한유도회의 미스로 보인다.

현재 대한유도회는 국제유도연맹과 IOC 등에 제소를 한 상태. 통지 등에 대해 서로 말이 엇갈리는 것 때문에 진실공방의 여지도 있을 듯 하다.

한국 혼성 유도팀은 패자부활전 끝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11. 기타[편집]














[1] 인도네시아의 국가 표어인 산스크리트어 "Bhinneka Tunggal Ika"(다양성 속의 통일)에서 따온 이름들이다.[2] 표준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3] 알려져 있는 노래로는 Bright as the sun이 더 잘 알려져 있다. 이것 또한 공식 주제가로 인정되지만, 개회식에서 사용된 노래가 Meraih Bintang인 것을 보면 할 말없다...[4] 인도네시아에서는 출신지역에 따라 성씨가 없는 사람도 있다.[5] 전 배드민턴 선수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여자 단식 경기 결승에서 방수현을 누르고 금메달을 땄다. 이는 인도네시아 건국 이래 첫 금메달이라고. 그리고 방수현에게 우세를 보여 왔지만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4강에서 방수현에게 패하여 동메달을 땄다.[6] 인도네시아 바웨안 섬에서 서식하는 사슴과에 속하는 희귀한 우제류 동물이다.[7] 2018년 10월 기준 유튜브 조회 수 1억을 돌파하면서 아시안게임 주제가 중 가장 흥한 주제가가 되었다.[8] 개최국이라서 맨 마지막에 입장.[9] 사랑을 했다, 리듬타.[10] Sorry, Sorry, Mr. Simple, 미인아 (BONAMANA).[11] 남북단일팀 종목 선수 제외[12] 스포츠 클라이밍과 야구는 2020 도쿄 올림픽에서 한시적으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13] 중앙아시아씨름.[14] 1962 자카르타 아시안게임이 열린곳이기도 하다.[15] 인도네시아 국영석유공사.[16] 타임키퍼 분야 파트너. 경기의 모든 시간 측정은 티쏘의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17] 인도네시아 아이스크림 브랜드.[18] 인도네시아 국립주택저축은행.[19] 인도네시아 보험회사.[20] 인도네시아 제 2 공항공사.[21] 인도네시아 고속도로 관리공단.[22] 인도네시아 제약회사.[23] 인도네시아 국영 철도공사.[24] 건강사업부[25] 인도네시아 화장품 회사.[26] 보통 한 대회에서는 한 음원이 쓰이는게 일반적이나 9월 1일 열린 야구결승전 경기 시작 전 의례에서는 다른 음원을 사용한 올바른 애국가가 연주되었다.[27] 이렇게 된 이유에는 자카르타의 전력사정이 아슬아슬하기 때문이라는 후문이 있다.[28] 1995년 12월 29일생.[29] 원래는 홍콩과의 경기가 예정됐다.[30] 김자인이 대표적 피해자로, 주종목 리드종목이 추가되지않아 금메달 획득에 실패했다.[31] 지상파 방송은 공영/민영 상관없이 모두 공공성이 있고, 학부모들과 교육계의 반발로 인해 게임 방송을 거의 할 수 없었다. 지상파 게임 프로그램은 심야시간에만 편성해야 한다는 규정도 공공성과 반발 여론 때문이다.[32] KBS는 myK에서 중계를 이어갔고, SBS에서는 마지막 장면을 짜집어서 송출하기는 했다.[33] 여기서도 석연치 않은 판정(하지만 심판의 판단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일단은 수긍이 가능한 수준)으로 한판승 한번이 절반승이 되었다. 즉 11:10이 아니라 20:10이어야 했다는 것.[34] 아시안게임도 당연히 이 규정을 따른다.[35] 참고로 카뎃(cadet)은 주니어와는 별개로 만 15~17세 선수가 출전 대상이다. 실제 해당 대회 규정집을 보면 남녀를 Men/Women이 아니라 Boys/Girls로 구분하고 있다.[36]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경우엔 대회 종료 시점에서는 한국이 중국에 이어 종합 2위였는데, 중국 금메달리스트 중에서 약물 복용자가 대거 적발되는 과정에서 금메달의 상당수를 일본 선수들이 승계하면서 금메달 1개 차이로 종합 3위로 밀린 것이다.[37] 육상 금1, 은1, 동3 ,수영 금1, 은3, 동7.[38] 그 광저우 때의 성적조차도 육상 금4, 은3, 동3, 수영 금4, 은3, 동8로 중국과 일본에 비하면 한참 모자란 성적이었다.[39] 중국과 일본의 성적은 다음과 같다. 중국, 일본. 성적을 보면 알겠지만 경영에서는 일본이 중국을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계속된 선수 발굴과 투자, 수영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합쳐져서 이런 결과를 만들어낸 것.[40] 대한체육회 인정단체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 전병헌 회장 시절 상당한 시간이 있었고 대한체육회에서도 기준을 낮춰줬지만 제대로 나서서 한 게 없다. 게다가 전병헌이 케스파를 비리 수단으로 이용했다는 의혹(정무수석 시절 포함)이 제기되며 케스파 또한 수사 대상이 되고 공황 상태에 빠지게 된 관계로, 대책 마련이고 뭐고 하는 게 없는 실정이다.[41] 이전부터 가입을 하려고 했으나 각 지역 체육회들의 높으신 분들이 e스포츠를 자기들 지역에 편입되는 것을 꺼리면서 가입이 지지 부진한 상황이었다. 물론 상황을 해결하거나 설득을 하려는 시도 자체가 없었기에 그냥 둘 다 문제. 케스파한테 변명 거리가 될 여지는 없다.[42] LoL 종목을 제외하면 한국 중계진이 붙지는 않으며 영문 중계 영상을 송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