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0-30 클럽

덤프버전 :


1. 프로야구에서의 기록
1.1. KBO 달성자
2. 프로축구에서의 기록
2.1. K리그 달성자
3. 관련 문서


1. 프로야구에서의 기록[편집]


프로야구에서 한 시즌 동안 30홈런30도루를 동시에 기록한 선수들을 가리키는 용어. 하위 버전으로 20-20 클럽, 상위 버전으로 40-40 클럽이 존재한다.

이 기록 자체 만으로도 상당히 희소성을 가진다. 보통 거포인 타자가 이 느리고, 발이 빠른 타자는 똑딱이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폭발적인 장타력과 함께 빠른 발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호타준족 형의 선수들의 상징과도 같은 기록이다.

1년에 162경기를 하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는 현재까지 총 64번이 기록되어 있고(40-40 기록 포함), 배리 본즈알렉스 로드리게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알폰소 소리아노 등 한 시대를 풍미한 호타준족들이 한 번 이상씩은 달성했다. 최다기록은 바비 본즈와 배리 본즈의 5회이다. 신인 자격으로 달성한 선수는 2012년의 마이크 트라웃이 유일하다.[1]

2023년부터 MLB에서 베이스의 크기를 늘리면서 도루의 개수가 전반적으로 크게 늘어났으며, 자연스럽게 30-30 클럽 달성자도 많아졌다. 2023년에만 훌리오 로드리게스,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2], 프란시스코 린도어, 바비 위트 주니어가 달성했다.

KBO 리그에서는 1996년 현대 유니콘스박재홍이 신인 시절 처음으로 달성하였다.[3] 즉, 1996년 박재홍의 30-30 달성이 프로야구 신인으로서는 세계 최초의 기록이다.[4] 2000년 박재홍 이래 2015년 에릭 테임즈가 가입할 때 까지 15년간 명맥이 끊겨 있었다.[5]

그 이유로는 선수 개인이 호타와 준족을 모두 갖추는 게 힘들고 타자의 역할 분업화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도루같은 기록에서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실익(보너스 등)이 적은지라 어느 순간부터 선수들이 기록보단 부상과 계약에 신경을 많이 쓰기 시작했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심지어는 과거 30-30에 성공한 이병규는 “돈 되는 것도 아닌데 앞으로 이런 거 안 하겠다”고 말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일본프로야구에서는 3할 타율까지 동시에 기록할 경우 트리플 쓰리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와모토 요시유키, 벳토 카오루(이상 1950), 나카니시 후토시(1953), 미노다 코지(1983), 아키야마 코지(1989), 노무라 켄지로(1995), 가네모토 도모아키(2000), 마쓰이 가즈오(2002), 야마다 테츠토(2015-16, 18 - NPB 유일 2년 연속 기록)[6], 야나기타 유키(2015)까지 단 10명이 달성한 성역의 기록이다. 마쓰이, 야나기타, 2015년과 18년의 야마다는 2루타도 30개를 넘겨 쿼드러플 쓰리를 달성하였다. 나가시마 시게오는 데뷔 시즌에 .305 타율에 37도루를 기록했지만, 홈런을 치고도 1루를 밟지 않는 바람에 누의 공과로 홈런 하나가 날아가버려 홈런 한 개 차이로 30-30을 놓친 적이 있다.[7]

국내에서는 타고투저 현상이 극심했던 1999년에 홍현우, 이병규, 제이 데이비스 3명이 한꺼번에 달성했고 2000년 박재홍을 마지막으로 맥이 끊겼다가 2015년에 에릭 테임즈가 6번째 주인공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30-30 클럽 중 1996년과 1998년의 박재홍의 기록을 빼고는 전부 트리플 쓰리에 해당한다 할 수 있다.

30-30 클럽에 100-100 클럽을 합친 30-30-100-100클럽도 있는데, 현재로서는 2000년의 박재홍과 2015년의 에릭 테임즈 2명이 이에 해당된다.


1.1. KBO 달성자[편집]


  • '기록' 란의 빨간 글씨는 그 선수가 당해 해당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음을 뜻한다.

순서연도선수소속팀기록비고
11996박재홍현대 유니콘스30홈런 - 36도루KBO 최초
신인 최초
외야수 최초
2관왕(홈런&타점)&신인왕&골든글러브
21997이종범해태 타이거즈30홈런[8] - 64도루내야수 최초
트리플 쓰리
골든글러브
31998박재홍현대 유니콘스30홈런 - 43도루[9]최초 개인 2번째 달성
골든글러브
41999홍현우해태 타이거즈34홈런 - 31도루트리플 쓰리
5이병규LG 트윈스30홈런 - 31도루좌타자 최초
트리플 쓰리
골든글러브
6제이 데이비스한화 이글스30홈런 - 35도루외국인 최초
트리플 쓰리
72000박재홍현대 유니콘스32홈런 - 30도루유일무이 개인 3번째 달성[10]
트리플 쓰리
82015에릭 테임즈NC 다이노스47홈런 - 40도루최소 경기(112경기)
유일무이 40-40 달성
트리플 쓰리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 프로축구에서의 기록[편집]


현역 기간 동안 하나의 리그[11]에서 30골-30어시스트를 달성했을 때를 말한다.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모따도 현역 8년만에 K리그 30-30 클럽에 가입할 정도로 엄청나게 어려운 기록. 상위 기록으로는 10골 10어시스트가 추가될 때마다 40-40부터 70-70 클럽까지 존재한다.[12]

보통 이 기록의 하위버전인 20-20 기록과 비교하자면 그 가치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커서 이 기록을 달성하면 축구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다.

이유인즉 이는 리그에서의 지속적인 공격력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데, 한 시즌에서 반짝거리고 끝나는 게 아니라 꾸준히 활약하였음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2.1. K리그 달성자[편집]


파일:K리그 로고(흰색/가로형).svg
K리그 30-30 달성자
가입순서이름당시 소속팀가입일자달성 경기수
1이흥실파일:attachment/포항 스틸러스/pohang2.jpg 포항제철 아톰즈1991년 5월 15일153경기
2고정운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 일화 천마1994년 10월 26일143경기
3라데파일:포항아톰즈후기.png 포항 아톰즈1996년 8월 22일133경기
4이상윤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 천안 일화 천마1996년 8월 31일186경기
5김현석파일:울산 현대 엠블럼 (1999~2010).svg 울산 현대 호랑이1996년 10월 19일180경기
6윤상철파일:jPpQb2j.png안양 LG 치타스1997년 4월 9일286경기
7신태용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 천안 일화 천마1998년 6월 6일183경기
8신홍기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1999년 8월 11일251경기
9노상래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 (1995~2001).png 전남 드래곤즈1999년 10월 2일145경기
10박태하파일:pohang_steelers_emblem2.png 포항 스틸러스2000년 7월 1일214경기
11마니치파일:부산 아이콘스 엠블럼 (2000~2002).svg 부산 아이콘스2001년 6월 17일137경기
12정정수파일:울산 현대 엠블럼 (1999~2010).svg 울산 현대 호랑이2001년 10월 13일210경기
13데니스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2001년 10월 21일139경기
14고종수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2002년 9월 4일114경기
15샤샤파일:성남 일화 천마 엠블럼 (2000-2005).svg 성남 일화 천마2003년 8월 3일252경기
16김도훈파일:성남 일화 천마 엠블럼 (2000-2005).svg 성남 일화 천마2003년 11월 5일190경기
17우성용파일:성남 일화 천마 엠블럼 (2000-2005).svg 성남 일화 천마2006년 5월 5일326경기
18황연석파일:대구 FC 엠블럼 (2003~2011).svg 대구 FC2006년 7월 19일317경기
19남기일파일:성남 일화 천마 엠블럼 (2000-2005).svg 성남 일화 천마2007년 4월 7일251경기
20김대의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2007년 6월 16일228경기
21이관우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2007년 8월 25일207경기
22김은중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2008년 5월 3일287경기
23김기동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2008년 9월 13일442경기
24에닝요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6~2012).svg 전북 현대 모터스2009년 10월 11일102경기
25이동국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6~2012).svg 전북 현대 모터스2010년 7월 17일231경기
26최태욱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2010년 8월 21일247경기
27모따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2011년 6월 27일163경기
28염기훈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1년 9월 24일134경기
29황진성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2012년 4월 22일224경기
30몰리나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2012년 5년 19일92경기
31데얀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2012년 8월 27일187경기
32이천수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인천 유나이티드2013년 8월 10일124경기
33한상운파일:상주 상무 엠블럼.svg 상주 상무2014년 8월 30일160경기
34김재성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2015년 4월 15일281경기
35김두현파일:성남 FC 엠블럼(2014~2016).svg 성남 FC2015년 5월 31일270경기
36산토스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6년 4월 24일182경기
37양동현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2016년 6월 25일237경기
38황일수파일:상주 상무 엠블럼.svg 상주 상무2016년 6월 26일199경기
39레오나르도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13~2017).svg 전북 현대 모터스2016년 7월 30일147경기
40루이스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2016년 8월 17일156경기
41김동찬파일:대전 시티즌 로고(방패형).svg 대전 시티즌2016년 8월 28일226경기
42이근호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제주 유나이티드2016년 10월 23일192경기
43배기종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FC2017년 4월 16일198경기
44이승기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13~2017).svg 전북 현대 모터스2017년 7월 19일172경기
45윤일록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2017년 8월 19일195경기
46윤빛가람파일:상주 상무 엠블럼.svg 상주 상무2018년 8월 18일221경기
47김신욱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19년 4월 28일342경기
48세징야파일:대구 FC 엠블럼.svg 대구 FC2019년 5월 19일98경기
49김승대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2019년 6월 30일152경기
50로페즈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19넌 7월 7일138경기
51박기동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FC2020년 8월 22일222경기
52고요한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FC 서울2022년 2월 26일355경기
53주민규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제주 유나이티드2022년 5월 5일263경기
54이명주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인천 유나이티드2022년 6월 25일170경기
55김대원파일:강원 FC 엠블럼.svg 강원 FC2022년 9월 18일169경기
56한교원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2023년 8월 6일310경기

3. 관련 문서[편집]



[1] 정확히는 데뷔2년차 신인자격으로 달성하였으며,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또한 2년차에 달성하였으나 아쿠냐는 신인자격이 아니었다.[2] 40-40[3] 마이크 트라웃이 2012년 MLB 최초의 신인 시즌 30-30 달성 이전까지 세계 최초 신인 시즌 30-30 달성 기록 보유자였다.[4] 이 해 박재홍은 30-30 클럽 창설 및 1호 가입 외에도 홈런왕을 차지하는 등 센세이셔널한 활약을 선보이며 사상 첫 신인왕-정규시즌 MVP 동시 석권 가능성까지도 언급됐으나, 다승 1위, 승률 1위, 평균자책점 1위를 동시에 달성한 구대성에 밀려 신인왕 수상에만 만족해야 했다. 신인왕과 정규시즌 MVP의 사상 첫 동시 석권 사례는 박재홍의 등장 후 10년이 지난 2006년 어느 괴물투수에 의해 달성된다.[5] 2017년에도 기아타이거즈의 로저 버나디나가 20-20달성후 30-30클럽에 도전했지만 중간에 부상이 겹치며 홈런 3개를 남두고 30-30 달성을 실패했다.[6] 야마다는 30-30까지 합치면 4번이나 기록했으며, 30도루를 한 4시즌 중 3시즌에서 도루왕을 차지했다.(홈런왕은 1시즌) 거기다가 이 선수는 아직 20대로 나이도 어려서 이 기록을 몇 번 더 할 수도 있다.[7] 참고로 범위를 30-30만으로 넓히면 1963 시즌의 장훈(타율 .280, 33홈런 41도루)이나 2001 시즌의 이구치 타다히토 (타율 .261, 30홈런 40도루)도 포함되고 트리플 스리 시즌을 달성한 선수들 중 미노다가 1회(1980), 야마다가 1회(2019), 아키야마가 2회(1987, 90) 더 30-30을 기록했다. 하지만 '트리플 쓰리'를 강조하는 일본에서는 잘 언급되지 않는 듯. 1980년 미노다는 주로 2번 타자로 출장하면서 번트도 많이 대 30홈런-30도루-30희생타라는 또다른 의미의(?) '트리플 쓰리'를 달성하기도 했다.[8] 2위[9] 2위[10] 정확히는 개인 2번째 달성자도 본인 이외엔 없다.[11] K리그는 컵대회 포함.[12] 원래는 60-60까지 있었고 70-70 클럽은 전인미답의 경지로 남아 있었으며 아래 단계인 60-60 클럽 가입자도 네 명밖에 없다. 실력이 실력이지만 나이와 부상, 군문제와 해외 진출 등 변수가 워낙 많은 탓이다. 그러나 2017년 전북의 이동국이 70-70 클럽 가입을 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