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EV 챔피언스 리그

덤프버전 :

CEV Champions League
CEV 챔피언스 리그
파일:CEV 챔피언스 리그 로고.png
창설1959년 (챔피언스 컵)
2000년 (챔피언스 리그)
지역유럽 (CEV)
참가 자격소속 리그에서 출전권을 부여받은 CEV 라이선스 클럽
최근 우승 구단남자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사인 루베 치비타노바 (2018-19)
여자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2018-19)
최다 우승 구단남자부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13회)
여자부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 (11회)
링크파일:CEV 챔피언스 리그 new logo.pn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웹 사이트남자부 | 여자부

1. 개요
2. 브랜드 아이덴티티
3. 역대 명칭
4. 상금
5. 주제곡
6. 공인구: MIKASA V200W
7. 트로피
8. 스폰서십
9. 역대 시즌
11. 시즌별 우승 구단
11.1. 남자부
11.2. 여자부
12. 개인 수상
12.1. 여자부
12.1.1. MVP
12.1.2. 기록 부문
12.1.3. 베스트 7
13. 시드 순위
13.1. 남자부 나라별 시드 순위
13.2. 여자부 나라별 시드 순위
14. 기타



1. 개요[편집]


2019 CEV 챔피언스 리그 Super Finals Berlin

유럽 배구 연맹(CEV)이 주관하는 배구 대회로 유럽 각국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클럽들이 모여 유럽 최강의 배구 클럽을 결정하는 대회다. 배구 국가 대항전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과 비슷한 레벨로 취급되며, 클럽 무대 중 가장 권위 있는 대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챔피언스 리그에서 MVP를 받으면 당대 최고의 세계적인 선수 중 한명으로 인정받는다. 대한민국 선수로는 1982-83 시즌 이탈리아 파르마의 김호철, 2011-12 시즌 튀르키예 페네르바흐체 김연경 단 두 사람만 MVP 수상과 우승컵을 모두 들어올렸다.

매년 11월에 예선이 시작되어 이듬해 5월까지 이어진다.


2. 브랜드 아이덴티티[편집]


파일:CEV_Champions_League_logo.png파일:CEV 챔피언스 리그 로고.png
Old Logo2018~현재

2018-19 시즌부터 대회 형식과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새롭게 개편되었다.


3. 역대 명칭[편집]


2000~2001European Champions League
2001~2010Indesit European Champions League
2010~2013CEV Champions League
2013~2016CEV Denizbank Champions League
2016~현재CEV Champions League


4. 상금[편집]


우승 상금은 2019년 기준으로 €3,547,000(약 46억)이며, 매 라운드별로 경기 승패에 따라 상금이 다르게 지급된다. 이 상금은 대회 창설 이후 역대 최고라고 한다. 2017년에는 현재의 반 정도 되는 금액인 €1,871,000(약 24.6억)이었다.[1]

받는 상금은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동일하다. 아래는 2019년 기준이며 연도별로 다르게 지급될 수 있다.[2]

라운드경기 승경기 패
1라운드€2,000€1,500
2라운드€3,000€2,000
3라운드€5,000€2,500
4라운드€7,500€3,000
준결승€10,000€4,000

  • 결승 탈락: €125,000
    • 파이널 4 경기 승: €15,000
    • 파이널 4 경기 패: €5,000
  • 준우승: €200,000
  • 우승: €400,000

배구라는 스포츠의 규모를 생각하면 결코 작은 액수의 상금은 아니지만, 챔스 파이널에 진출할 정도가 되는 팀이라면 상금 액수보다는 우승의 명예와 구단 홍보 효과에 더 비중을 둘 것이다.[3]


5. 주제곡[편집]


2015-16시즌부터 사용되었다.


6. 공인구: MIKASA V200W[편집]


파일:V200W_2.png
파일:EHZNYGsX4AA8Z7O.jpg
기본 V200W챔피언스 리그용 V200W

2019년 현재 FIVB 공인구와 동일한 미카사MIKASA V200W를 사용한다. 다만 챔스용으로 파란색/노란색이 아닌 초록색/노란색 바탕에 로고가 들어간다.

  • CEV는 2019년 챔피언스 리그의 모든 참가 팀들에게 30개의 공인구를 무상으로 제공했다.
  • MIKASA가 유럽 각 나라의 배구 협회에 보내면, 각 협회가 참가 팀에게 다시 보내는 식이다.


7. 트로피[편집]


파일:29052019cev.jpg
CEV 챔피언스 리그 트로피

묘하게 UEFA 챔피언스 리그빅 이어와 닮은꼴이다.


8. 스폰서십[편집]


파일:mikasa-logo.jpg
파일:sberbank.png
MIKASASBERBANK



9. 역대 시즌[편집]


||




10. 관련 기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CEV 챔피언스 리그/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시즌별 우승 구단[편집]



11.1. 남자부[편집]


시즌우승준우승MVP
2004-05파일:프랑스 국기.svg 투르 VB파일:그리스 국기.svg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니콜로프
2005-06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시슬리 트레비소파일:그리스 국기.svg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산드로 페이
2006-07파일:독일 국기.svg 프리드리히스하펜파일:프랑스 국기.svg 투르 VB파일:독일 국기.svg 요헨 쇱스
2007-08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카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프라 피아첸차파일:미국 국기.svg 클레이튼 스탠리
2008-0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렌티노파일:그리스 국기.svg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마테이 카지스키
2009-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렌티노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파일:쿠바 국기.svg 오스마니 후안토레나
2010-1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렌티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제니트 카잔파일:쿠바 국기.svg 오스마니 후안토레나
2011-12파일:러시아 국기.svg 제니트 카잔파일:폴란드 국기.svg PGE 스크라 벨샤토프파일:폴란드 국기.svg 마리우시 블라즈위
2012-13파일:러시아 국기.svg 로코모티브 노보시비르스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브레 반차 라누티 쿠네오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커스 닐손
2013-14파일:러시아 국기.svg 벨로고리 벨고로드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할크방크 앙카라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테튜힌
2014-15파일:러시아 국기.svg 제니트 카잔파일:폴란드 국기.svg 아세코 레소비아 체쇼프파일:쿠바 국기.svg 윌프레도 레온
2015-16파일:러시아 국기.svg 제니트 카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렌티노파일:쿠바 국기.svg 윌프레도 레온
2016-17파일:러시아 국기.svg 제니트 카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서 세이프티 페루지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미하일로프
2017-18파일:러시아 국기.svg 제니트 카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큐사인 루베 치비타노바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미하일로프
2018-1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큐사인 루베 치비타노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제니트 카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오스마니 후안토레나
2020-21파일:폴란드 국기.svg ZAKSA 켕지에진코질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렌티노파일:폴란드 국기.svg 알렉산더 실리우카


11.2. 여자부[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4%><rowbgcolor=#00002C> 순서 ||<-2><width=40%> 우승 구단 ||<width=14%> 국가 ||<width=16%> 첫 우승 연도 ||<width=16%> 우승 횟수 ||
|| 1 || 파일:WVC 디나모 모스크바.png ||<color=#373a3c><colbgcolor=#ffd700> 디나모 모스크바 ||<colbgcolor=#eeeeef,#18181a> 파일:러시아 국기.svg || 1961년 || ★★★★★★
★★★★★

11회 ||
|| 2 || 파일:Jinestra Odessa.png ||<color=#373a3c> 부레베스트니크 오데사 || 파일:소련 국기.svg || 1962년 ||
1회 ||
|| 3 || 파일:레프스키 소피아.png ||<color=#373a3c> 레프스키 소피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1965년 ||
1회 ||
|| 4 || ||<color=#373a3c> NIM-SE 부다페스트 || 파일:헝가리 국기.svg || 1973년 ||
1회 ||
|| 5 || 파일:PVK 올림프 프라하.png ||<color=#373a3c> PVK 올림프 프라하 || 파일:체코 국기.svg || 1976년 || ★★
2회 ||
|| 6 || 파일:SSC 슈베린.jpg ||<color=#373a3c> 슈베린 SC || 파일:독일 국기.svg || 1978년 ||
1회 ||
|| 7 || 파일:CSKA 소피아.png ||<color=#373a3c> CSKA 소피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1979년 || ★★
2회 ||
|| 8 || 파일:우랄로츠카-NTMK.png ||<color=#373a3c> 우랄로츠카-NTMK || 파일:러시아 국기.svg || 1981년 || ★★★★
★★★★

8회 ||
|| 9 || ||<color=#373a3c> ADK 알마-알타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1985년 ||
1회 ||
|| 10 || 파일:15454840354Rdpt.png ||<color=#373a3c> 올림피아 테오도라 라벤나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88년 || ★★
2회 ||
|| 11 || 파일:믈라도스트 자그레브.gif ||<color=#373a3c> 믈라도스트 자그레브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1991년 ||
1회 ||
|| 12 || 파일:마테라 여자 배구팀.jpg ||<color=#373a3c> 마테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3년 || ★★
2회 ||
|| 13 || 파일:Bergamo.png ||<color=#373a3c> 베르가모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7년 || ★★★★
★★★

7회 ||
|| 14 || ||<color=#373a3c> OK 두브로브니크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1998년 ||
1회 ||
|| 15 || 파일:볼리 모데나.png ||<color=#373a3c> 모데나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8년 ||
1회 ||
|| 16 || 파일:RC 칸느.jpg ||<color=#373a3c> RC 칸 || 파일:프랑스 국기.svg || 1998년 || ★★
2회 ||
|| 17 || 파일:CV 테네리페.png ||<color=#373a3c> 테네리페 || 파일:스페인 국기.svg || 2004년 ||
1회 ||
|| 18 || 파일:시리오 페루자.png ||<color=#373a3c> 시리오 페루자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06년 || ★★
2회 ||
|| 19 || 파일:VAKIFBANK.png ||<color=#373a3c> 바키프방크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1년 || ★★★★
4회 ||
|| 20 ||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color=#373a3c> 페네르바흐체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2년 ||
1회 ||
|| 21 || 파일:디나모 카잔.png ||<color=#373a3c> 디나모 카잔 || 파일:러시아 국기.svg || 2014년 ||
1회 ||
|| 22 || 파일:Eczacıbaşı Spor Kulübü.png ||<color=#373a3c> 엑자시바시 비트라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2015년 ||
1회 ||
|| 23 || 파일:Casalmaggiore.jpg ||<color=#373a3c> 포미 카살마지오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16년 ||
1회 ||
|| 24 || 파일:Igor-Gorgonzola-NOVARA.png ||<color=#373a3c>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19년 ||
1회 ||
|| 25 || 파일:Imoco.png ||<color=#373a3c> 이모코 발리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21년 ||
1회 ||




시즌우승준우승MVP
2001-02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르가모파일:프랑스 국기.svg 빅토리아 라바
2002-03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칸파일:러시아 국기.svg 우랄로츠카 예카테린부르크파일:프랑스 국기.svg 빅토리아 라바
2003-04파일:스페인 국기.svg 테네리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루지아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고디나
2004-0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르가모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시스텔 노바라파일:러시아 국기.svg 류보프 소콜로바
2005-06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루지아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칸파일:프랑스 국기.svg 빅토리아 라바
2006-0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르가모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파일:독일 국기.svg 안젤리나 그륀
2007-08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루지아파일:러시아 국기.svg 자레치에 오딘초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시모나 지올리
2008-0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르가모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모스크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레나 오르톨라니
2009-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르가모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2010-11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라비타 바쿠파일:폴란드 국기.svg 마우고자타 글린카
2011-12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경
2012-1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라비타 바쿠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2013-14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모 카잔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가모바
2014-15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엑자시바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부스토 아르시치오파일:미국 국기.svg 조던 라슨
2015-16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포미 카살마조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2016-17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발리파일:중국 국기.svg 주팅
2017-18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알바 블라지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괴즈데 손스르마
2018-1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고르 노바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발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올라 에고누
2020-2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모코 발리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키프방크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올라 에고누


12. 개인 수상[편집]




12.1. 여자부[편집]



12.1.1. MVP[편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12D><width=25%> 2001-2002 ||<width=25%> 2002-2003 ||<width=25%> 2003-2004 ||<width=25%> 2004-2005 ||
||<rowbgcolor=#ffffff,#191919>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옐레나 고디나
테네리페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류보프 소콜로바
베르가모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 2005-2006 || 2006-2007 || 2007-2008 || 2008-2009 ||
||<rowbgcolor=#ffffff,#191919> 빅토리아 라바
RC 칸 / MB
파일:프랑스 국기.svg || 안젤리나 그륀
베르가모 / OS
파일:독일 국기.svg || 시모나 지올리
페루자 / MB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세레나 오르톨라니
베르가모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2009-2010 || 2010-2011 || 2011-2012 || 2012-2013 ||
||<rowbgcolor=#ffffff,#191919>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베르가모 / O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마우고자타 글린카
바키프방크 / OPP
파일:폴란드 국기.svg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바키프방크 / OPP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 2013-2014 || 2014-2015 || 2015-2016 || 2016-2017 ||
||<rowbgcolor=#ffffff,#191919> 예카테리나 가모바
디나모 카잔 / OPP
파일:러시아 국기.svg || 조던 라슨
엑자시바시 / OS
파일:미국 국기.svg ||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카살마조레 / O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주팅
바키프방크 / OS
파일:중국 국기.svg ||
|| 2017-2018 || 2018-2019 || 2019-2020 || 2020-2021 ||
||<rowbgcolor=#ffffff,#191919> 괴즈데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 O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파올라 에고누
노바라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공석[a] || 파올라 에고누
이모코 발리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2021-2022 || 2022-2023 || 2023-2024 || 2024-2025 ||
||<rowbgcolor=#ffffff,#191919> 가비 기마랑이스
바키프방크 / OS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올라 에고누
바키프방크 / OP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
||<-4><bgcolor=#fff,#191919>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대회 중단 ||
||<-4><bgcolor=#00012D> 역대 우승 구단 · MVP · 기록상 · 베스트7 ||





12.1.2. 기록 부문[편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444><rowbgcolor=#00012D><rowcolor=#FFF><width=14.2%> 득점상 ||<width=14.2%> 공격상 ||<width=14.2%> 리시브상 ||<width=14.2%> 서브상 ||<width=14.2%> 블로킹상 ||<width=14.2%> 세터상 ||<width=14.2%> 리베로상 ||
||<-7><bgcolor=#00012D> 2005-2006 ||
|| 네슬리한 || 프란시아 || 그륀 || 융크비스트 || 포펑 || || 사노 유코 ||
||<-7><bgcolor=#00012D> 2006-2007 ||
|| 드 카르네
(취리히) || 피치니니
(베르가모) || 로스너
(테네리페) || 가모바
(모스크바) || 벨리코바
(모스크바) || 로 비앙코
(베르가모) || 로페즈
(테네리페) ||
||<-7><bgcolor=#00012D> 2007-2008 ||
|| 스코브론스카
(노바라) || 프란시아
(페루자) || 오스모크로비치
(노바라) || 프로니체바
(오딘초보) || 페르난데즈
(무르시아) || 소자
(무르시아) || 카둘로
(노바라) ||
||<-7><bgcolor=#00012D> 2008-2009 ||
|| 가모바
(모스크바) || 지올리
(모스크바) || 윌러프비
(페루자) || 크리산티
(페루자) || 투쉬케비치
(페루자) || 키릴로바
(모스크바) || 메를로
(베르가모) ||
||<-7><bgcolor=#00012D> 2009-2010 ||
|| 가모바
(페네르바흐체) || 센토니
(칸) || 델 코레
(베르가모) || 오스모크로비치
(페네르바흐체) || 라바
(칸) || 로 비앙코
(베르가모) || 메를로
(베르가모) ||
||<-7><bgcolor=#00012D> 2010-2011 ||
|| 니콜리치
(바키프방크) || 플리에르
(페자로) ||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 맘마도바
(라비타 바쿠) || 폴약
(바키프방크) || 크르다르
(바키프방크) || 귀레셴
(바키프방크) ||
||<-7><bgcolor=#00012D> 2011-2012 ||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라슨
(카잔) || 윌슨
(코르테제) || 보로다코바
(카잔) || 아이데미르
(페네르바흐체) || 카둘로
(칸) ||
||<-7><bgcolor=#00012D> 2012-2013 ||
|| 몬타뇨
(라비타 바쿠) || 칼데론
(갈라타사라이) || 사노
(갈라타사라이) || 브링커
(부스토) || 크르스마노비치
(라비타 바쿠) ||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귀레셴
(바키프방크) ||
||<-7><bgcolor=#00012D> 2013-2014 ||
|| 가모바
(카잔) || 데미르
(엑자시바시) || 코스타그란데
(바키프방크) || 델 코레
(카잔) || 라슨
(카잔) || 톰콤
(라비타 바쿠) || 카스티요
(라비타 바쿠) ||
||<-7><bgcolor=#00012D> 역대 우승 구단 · MVP · 기록상 · 베스트7 ||





12.1.3. 베스트 7[편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00012D><width=13.5%> OPP ||<-2><width=27%> OS ||<-2><width=27%> MB ||<width=13.5%> S ||<width=13.5%> L ||
||<-7><bgcolor=#00012D> 2014-2015 슈체친 ||
|| 디우프
부스토 ||<width=13.5%> 데 라 크루스
엑자시바시 || 하벨코바
부스토 ||<width=13.5%> 라시치
바키프방크 || 폴약
엑자시바시 || 오그네노비치
헤믹 폴리체 || 카얄라르
엑자시바시 ||
||<-7><bgcolor=#00012D> 2015-2016 몬티치아리 ||
|| 코주흐
포미 카살마조레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바키프방크 || 에르뎀
페네르바흐체 || 스테바노비치
카살마조레 || 로이드
카살마조레 || 외르게
바키프방크 ||
||<-7><bgcolor=#00012D> 2016-2017 트레비소 ||
|| 슬뢰체스
바키프방크 || 로빈슨
코넬리아노 ||
바키프방크 || 라시치
바키프방크 || 아담스
엑자시바시 ||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데 젠나로
코넬리아노 ||
||<-7><bgcolor=#00012D> 2017-2018 부쿠레슈티 ||
|| 클래거
알바 블라지 || 주팅
바키프방크 ||
코넬리아노 || 라시치
바키프방크 || 온예제크웨
알바 블라지 || 보워시
코넬리아노 || 외르게
바키프방크 ||
||<-7><bgcolor=#00012D> 역대 우승 구단 · MVP · 기록상 · 베스트7 ||





13. 시드 순위[편집]


2020 CEV EUROPEAN CUP RANKING LISTS


13.1. 남자부 나라별 시드 순위[편집]


순위국가명랭킹 포인트4 라운드1~3 라운드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545,683-
2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483,003-
3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413,343-
4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341,662-
5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46,332-
6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240,662-
7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89,671-
8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88,001-
9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81,00*1
10파일:체코 국기.svg 체코80,001-
합계18


13.2. 여자부 나라별 시드 순위[편집]


순위국가명랭킹 포인트4 라운드1~3 라운드
1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519,663-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72,0131
3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67,003-
4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368,002-
5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154,32*1
6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148,662-
7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129,66*1
8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121,671*
9파일:독일 국기.svg 독일96,001-
10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82,00*1
11파일:체코 국기.svg 체코79,00*1
12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64,001-
13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47,001-
14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46,001-
합계18


14. 기타[편집]





[1] CEV discloses total prize money for 2019 Champions League and it’s record-breaking amount[2] CEV announce record-breaking 3.5 million € prize money for Champions League[3] 단적인 예로, 2011-12시즌의 여자부 우승팀 페네르바흐체의 운영비는 약 250억(19M 유로#)에 달했으며, 이는 그 시즌의 상금보다 훨씬 큰 숫자이다. 다만 이 기사에서 말하는 250억은 페네르바흐체 SK 클럽 전체의 운영비를 말한 것인지, 아니면 여자 배구 팀의 운영비를 말한 것인지 확실치 않다.[4] # PDF 27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