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C 니즈니 노브고로드

덤프버전 :


파일:816141.png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height=80><width=25%><rowbgcolor=#ffffff,#191919>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width=25%>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width=25%>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height=80>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 파일:PFC 소치 로고.svg
||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height=80>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 파일:FC 우랄 예카테린부르크 로고.svg
||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
||<rowbgcolor=#ffffff,#191919><height=80>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 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
||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
||<-4><bgcolor=#000> 파일:1st_League_Logo_2022.png ||
||<-4> 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조지아 국기.svg 에로브눌리리가파일:몰도바 국기.svg 슈퍼 리가 몰도바 | 파일:크림 공화국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1]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수페르 리가[2] ||
||<-4>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1] 공식적인 1부리그로 인정받지 못한 리그[2] UEFA 비회원국
||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표준어로는 붙여쓰는게 맞다.]
FC Pari Nizhny Novgorod
정식 명칭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Пари Нижний Новгород
창단2015년 6월 1일 (8주년)[1]
소속 리그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Российская Премьер Лига)
연고지니즈니 노브고로드(Nizhny Novgorod)
홈구장니즈니 노브고로드 스타디움(Nizhny Novgorod Stadium)
(44,899명 수용)
소유주니즈니 노브고로드
회장막심 메틀린(Maksim Metlin)
감독아르툠 고를로프(Artyom Gorlov)
공식 웹사이트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러시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1회)
2016-17(우랄-볼가)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야로슬라프 미하일로프 (Yaroslav Mikhaylov)
(2023년, From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58만 유로)
최고 이적료 방출야로슬라프 미하일로프 (Yaroslav Mikhaylov)
(2023년, To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83만 유로)

1. 개요
2. 역사
3. 선수 명단
4. 역대 감독
5. 여담



1. 개요[편집]


2015년에 창단된 러시아의 축구 팀이다. 이 팀은 니즈니 노브고로드를 연고로 하고 있으며, 현재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2. 역사[편집]


파일:FC 니즈니 노브고로드 로고.svg
스폰서가 붙기 전 FC 니즈니 노브고로드로서의 로고.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2022~2023).svg
2022~2023시즌 당시의 로고.

본래 니즈니 노브고로드에는 2007년에 창단되어 2012년까지 2부리그에 참여해왔던 동명의 FC 니즈니 노브고로드 팀이 있었지만[2] 재정악화와 성적부진으로 2011-12시즌을 끝으로 같은 연고지의 라이벌팀 FC 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3]에게 흡수합병 당한 바 있다. 하지만 사라진 FC 니즈니 노브고로드팀을 응원하던 팬들이 아마추어 팀을 만들어 활동했으며, FC 니즈니 노브고로드 팀의 유스클럽이 계속 유소년 선수들을 양성해왔다.

2015년, 위 유스클럽 출신들 위주로 구성된 해당 아마추어팀이 FC 볼가의 리저브팀 운영 목적으로 지원을 받아 FC 볼가-올림피에츠로 재편되어(이듬해 FC 올림피에츠 로 개명) 3부리그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2015-16 시즌이 끝난 뒤, 이번에는 지역 최고의 팀이었던 FC 볼가 니즈니 노브고로드 팀(당시 2부리그 소속)이 재정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해체되어버렸다.

마침 FC 올림피에츠는 2016-17 시즌 당시 2부리그로 승격하였고, 2018년에는 신축된 니즈니 노브고로드 스타디움을 이용하기로 확정하면서 자연스레 인구 125만명의 니즈니 노브고로드를 대표하는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 이때 팬들과 유스클럽의 출발이자 정신적인 전신이기도 했던 과거 팀의 이름, FC 니즈니 노브고로드로 팀명을 변경하며 새출발한다.

2018-19시즌에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에서 4위를 차지하여 승강 플레이 오프에 나서게 되었다. 하지만 크릴리야 소베토프와의 플레이 오프에서 3대2로 패배하는 바람에 승격의 바람은 다음 시즌으로 미루게 되었다.2019-20 러시안 컵 32강에서 크라스노다르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물론 16강에서 신니크 야로슬라블에게 승부차기 접전 끝에 패해 탈락했다. 2020-21시즌 러시아 2부리그를 3위로 마쳤으나, 2위 오렌부르크가 라이센스를 따는데 실패하면서 니즈니 노브고로드가 1부리그로 승격하게 되었다.

22-23시즌 paribet의 스폰을 받아 팀이름을 fc 파리 니즈니 노보고로드(фк пари нижний новгород)로 변경하였다. 약칭은 파리 NN
22-23시즌부터 구단 영입 기조를 젊은 선수들을 사와, 터트린 뒤에 더 큰 금액에 파는 것으로 바꾸었다.



3. 선수 명단[편집]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키릴문자 성명비고
2DF파일:러시아 국기.svg빅토르 알렉산드로프Viktor AleksandrovВиктор Александров
4MF파일:러시아 국기.svg일리야 지굴료프Ilya ZhigulyovИлья Жигулёв
6DF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이브로힘할릴 율도셰프Ibrokhimkhalil YuldoshevИброгимхалил Юлдошев
7FW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에드가르 세비캰Edgar SevikyanЭдгар Севикян
8MF파일:말리 국기.svg마마두 마이가Mamadou MaigaМамаду Майга
9FW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제 투르보Zé TurboЗе Турбо
10MF파일:러시아 국기.svg알렉산드르 트로셰치킨Aleksandr TroshechkinАлександр Трошечкин
11DF파일:불가리아 국기.svg마테오 스타마토프Mateo StamatovМатео Стаматов
13FW파일:러시아 국기.svg일리야 쿠하르추크Ilya KukharchukИлья Кухарчук
17FW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루슬란베크 지야노프Ruslanbek JiyanovРусланбек Жиянов
20FW파일:우루과이 국기.svg후안 보셀리Juan BoselliХуан Боселли
21MF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에데뎀 에시엔Ededem EssienЭдедем Эссьен
22DF파일:러시아 국기.svg니키타 카코예프Nikita KakkoyevНикита Каккоев
23FW파일:러시아 국기.svg니콜로스 쿠타텔라제Nikoloz KutateladzeНиколоз Кутателадзе
24DF파일:러시아 국기.svg키릴 고추크Kirill GotsukКирилл Гоцук주장
25GK파일:러시아 국기.svg아르투르 니그마툴린Artur NigmatullinАртур Нигматуллин
26DF파일:러시아 국기.svg드미트리 티히Dmitriy TikhiyДмитрий Тихий
27DF파일:러시아 국기.svg드미트리 지보글랴도프Dmitriy ZhivoglyadovДмитрий Живоглядов
51GK파일:러시아 국기.svg비탈리 보트나리Vitaliy BotnarВиталий Ботнарь
65DF파일:러시아 국기.svg니콜라이 톨스토퍄토프Nikolay TolstopyatovНиколай Толстопятов[1]
70DF파일:러시아 국기.svg막심 시납체프Maksim ShnaptsevМаксим Шнапцев
77MF파일:러시아 국기.svg블라디슬라프 카라푸조프Vladislav KarapuzovВладислав Карапузов[2]
78MF파일:러시아 국기.svg니콜라이 칼린스키Nikolay KalinskiyНиколай Калинский
81GK파일:러시아 국기.svg이반 쿠쿠시킨Ivan KukushkinИван Кукушкин
89MF파일:러시아 국기.svg드미트리 스토츠키Dmitry StotskiyДмитрий Стоцкий
구단 정보
회장: 막심 메틀린 / 감독 : 세르게이 유란 / 구장 : 니즈니노브고로드 스타디움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8월 1일





4. 역대 감독[편집]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rowbgcolor=#145E9F> 2015년 ~ 현재 ||
||<width=20%> 1대
보그다네츠
파일:몰도바 국기.svg ||<width=20%> 2대
갈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width=20%> 3대
피사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width=20%> 4대
체리셰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width=20%> 5대
예브도키모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
||<width=20%> 6대(대행)
하조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width=20%> 7대
케르자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width=20%> 8대
갈락티오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width=20%> 9대
고를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width=20%> 10대
유란
파일:러시아 국기.svg ||






5. 여담[편집]


2020-21시즌의 유니폼 공개 사진이 화제이다.

[1] #[2] 당연히 이 동명의 팀의 기록과 역사가 현재의 팀으로 승계되지는 않는다.[3] 1963년 창설된 오랜 지역팀으로 1부리그에서 주로 활동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