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URIA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URIA Esports

파일:csblack.png[[파일:cswhite.png
카운터 스트라이크 프로게임단
[ 펼치기 · 접기 ]

활동중인 팀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Team LiquidComplexity GamingFURIA EsportsEvil Geniuses
Nouns EsportsM80paiN GamingParty Astronauts
Wildcard GamingMade in BrazilNRGReason Gaming
DetonateBad News BearsUnjustified GamingMythic
MIGHTWanted GoonsTake FlyteFLUFFY AIMERS
Unjustified GamingSpate EsportsOsirisCCG Esports
HoundZero MarksmenSupernovaVillainous
FlyQuest RedEvil Geniuses GoldTsunami SirensNouns.fe
­
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
남미
Legacy9z TeamImperial EsportsFluxo
YNG SharksO PlanoODDIKBESTIA
RED CanidsMeta GamingRiver Plate GamingBoca Juniors Gaming
Case EsportsCorinthians EsportsTeam SolidFlamengo Esports
Dusty RootsWINDINGOw7m esportsIntense Game
LRV EsportsBounty HuntersArena Jogue Fácil EsportsDaotsu Esports
EBROAge EsportsHype E-SportsVELOX
WAP EsportsMIBR AcademyAFURIA AcademyA9z AcademyA
O Plano BAFURIA Esports FemaleB4 Esports FemaleMIBR Female
9z Team FemaleFluxo DemonsBlack Dragons Female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유럽 & CIS
틀:CS 프로게임단/유럽 참조.
­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TYLOOLynn Vision GamingTeam NKTThe MongolZ
ATOX EsportsWings Up GamingGR GamingRare Atom
D13EruptionNewHappyChaoRan Gaming
FyR EsportsSteel HelmetJiJieHaoClutch Gaming
Gods ReignRevenant EsportsMarcos GamingReckoning Esports
Medal EsportsVelocity GamingEnigma GamingJiJieHao International
The Huns EsportsTrue RippersJadeiteHSG
­
파일:ANZ 깃발.png
오세아니아
Grayhound GamingVERTEX Esports ClubRoosterKZG
Antic EsportsBandits Esports ClubValkyrie EsportsMindfreak
Dynasty Esports ClubKraken Esports ClubUnderground Esports ClubDXA Esports
­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Bravado GamingGoliath GamingVYBN EsportsNixuh
AvasiveNIBBLERoyalty EsportsOmnius Gaming
Symbiosis GamingDARK EsportsDARK AcademyA
A: 아카데미 / 2군|: 여성 프로게임단
해체된 게임단



||


파일:FURIA Esports_logo.png
퓨리아 이스포츠
FURIA Esports
창단2017년 8월 17일
활동 지역ta-hash-start=w-7dad0c6bd8c7227c5f210187d297b375[[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CEO
파일:브라질 국기.svg

자이미 파두아
raizen
코치
파일:브라질 국기.svg

니콜라스 노게이라
guerri
수석 코치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르코스 카스칠류
tacitus
약칭FUR
파일:FURIA_Esports_notext.pn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ACTIVE파일:crwn.png
파일:브라질 국기.svg

안드레이 피오비잔
arT
파일:브라질 국기.svg

유리 고메스
yuurih
파일:브라질 국기.svg

카이키 시우바 세라투
KSCERATO
파일:브라질 국기.svg

가브리에우 톨레두
FalleN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르셀루 세스페지스
chelo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1. 개요
2. 행적
3. 멤버
3.1. 현 멤버
3.2. 전 멤버
4. 주요 성적
5. FURIA Academy[1]
5.1. 멤버
5.2. 전 멤버


1. 개요[편집]


브라질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프로게임단.


2. 행적[편집]


2019년 초반까지는 남미 지역 강팀이라고는 할 수 있어도 세계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은 팀이었다. 남, 북미 지역 대회에서 나쁘지 않은 성과를 거두며 HLTV 랭킹 20위 안에 들기도 했지만, 세계 대회에서의 성과는 IEM Katowice Major 2019에서 24개 참가팀 중 20-22위를 하며 꼴찌를 간신히 면한 것이 전부였다.
상황이 달라진 건 2019년 5월 말에 열린 DreamHack Masters Dallas부터이다. 세계적인 강팀인 NRG, Fnatic을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더니, 한창 기세가 오르고 있던 Vitality까지 꺾고 4강에 오른 것. 심지어 다음 대회인 ECS Season 7 Finals에서는 첫 상대로 만난 Astralis를 꺾어 파란을 일으켰다. 그것도 Astralis가 한때 37연승을 기록했던 맵인 Nuke에서 거둔 승리였다.[2] 승자전에서 NRG에서 패배하긴 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 결정전에서 Astralis를 다시 만나 2-1로 꺾고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Nuke에서 또 한 번 이긴 것은 덤. 4강에서는 North를 이기고 결승에 올랐지만 Vitality에 패배해 아쉽게 우승은 놓쳤다. 그래도 이 두 대회에서의 선전은 프로 씬에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Furia는 몰락해가는 MIBR을 대신할 차기 브라질 강팀으로 주목받았고, 특히 멤버 중 KSCERATO와 Yuurih는 순식간에 스타 선수로 떠올랐다.


3. 멤버[편집]



3.1. 현 멤버[편집]


  • 유리 고메스/Yuri Gomes(yuurih/브라질)
HLTV 선정 연간 Top 20 플레이어: 2020년 14위

  • 안드레이 피오비잔/Andrei Piovezan(arT/브라질)

  • 카이키 시우바 세라투/Kaike Silva Cerato(KSCERATO/브라질)
HLTV 선정 연간 Top 20 플레이어: 2020년 18위, 2021년 15위

  • 안드레 바그네르/André Wagner(drop/브라질)

  • 하파에우 코스타/Rafael Costa(saffee/브라질)


3.2. 전 멤버[편집]


  • 비니시우스 피게이레두/Vinicius Figueiredo(VINI/브라질)

  • 페이틴 존슨/Paytyn Johnson(Junior/미국)

  • 루카스 혼다/Lucas Honda(honda/브라질)

  • 엔히키 텔리스/Henrique Teles(HEN1/브라질)
HLTV 선정 연간 Top 20 플레이어: 2020년 16위

  • 히나우두 모다/Rinaldo Moda(ableJ/브라질)

  • 길례르미 스파카/Guilherme Spacca(spacca/브라질)

  • 빅토르 준케이라.Victor Junqueira(bld V/브라질)

  • 히카르두 신지/Ricardo Shinji(s1/브라질)

  • 아르투르 헤센지/Arthur Resende(prd/브라질)

  • 카이키 코스타/Caike Costa(caike브라질)


4. 주요 성적[편집]




5. FURIA Academy[3][편집]


파일:FURIA_Academy_Logo.png[4]
퓨리아 아카데미
FURIA Academy
창단2017년 8월 17일
활동 지역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 남미
CEO파일:브라질 국기.svg 자이미 파두아
매니저파일:브라질 국기.svg 레오나르두 카이셰타
msr
약칭FUR A
파일:FURIA_Esports_notext.pn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ACTIVE파일:브라질 국기.svg 레오나르두 톨레두
zmb
파일:브라질 국기.svg 이카루 카발라리
ninjaZ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바셀라
decenty
파일:브라질 국기.svg 길레르미 바르보사
piria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혼다
honda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5.1. 멤버[편집]


  • 레우나르두 톨레두/Leonardo Toledo(zmb)
  • 이카루 카발라리/Icaro Cavalari(ninjaZ)
  • 루카스 바셀라/Lucas Bacelar(decenty)
  • 길레르미 바르보사/Guilherme Barbosa(piria)
  • 루카스 혼다/Lucas Honda(honda)


5.2. 전 멤버[편집]


  • 안드레 바그네르/André Wagner(drop)
  • 파트릭 카르발류/Patrick Carvalho(detr0it)
  • 하울 브루자카/Raul Bruzaca(r4ul)
  • 호드리구 굴루잔/Rodrigo Guluzian(proSHOW)
  • 비니시우스 스트라주투/Vinicius Stradiotto(VN)
  • 히나우두 모다 주니오르/Rinaldo Moda Júnior(ableJ)
  • 비니시우스 엔히키/Vinícius Henrique(n1ssim)
  • 올라부 마르셀루/Olavo Marcelo(heat)
  • 안드레 아마랄/André Amaral(skuld)
  • 가브리에우 리젠코/Gabriel Lijenko(skN)
  • 마르셀루 미우크/Marcelo Milk(Pleet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2:35:54에 나무위키 FURIA Esports/카운터 스트라이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前 FURIA Inagame.[2] Furia 이전에 ENCE에게 한 번 패배해 연승 기록은 깨진 상태였다.[3] 前 FURIA Inagame.[4] 파일:FURIA Inagame_Logo.png 이전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