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IIB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 펼치기 · 접기 ]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파일:JAXA 로고.svg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2181d94fba9a1d2de2b5f6fb75f8ab08[[파일:러시아 국기.svg 소유즈ta-hash-start=w-2181d94fba9a1d2de2b5f6fb75f8ab08[[파일:러시아 국기.svg 안가라ta-hash-start=w-2181d94fba9a1d2de2b5f6fb75f8ab08[[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로톤
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SLS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ta-hash-start=w-51331fcd89d45304a118755678da4a8b[[파일:중국 국기.svg 창정
ta-hash-start=w-eac025373fd8841b8ec327042efd2b60[[파일:인도 국기.svg PSLVta-hash-start=w-eac025373fd8841b8ec327042efd2b60[[파일:인도 국기.svg GSLVta-hash-start=w-cbfc0437ab0cf84334445b61ebc2f261[[파일:일본 국기.svg 엡실론
ta-hash-start=w-32cfdce9631d8c7906e8e9d6e68b514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누리ta-hash-start=w-87876ca731b4c56b3f48110c953e0401[[파일:북한 국기.svg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9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헤비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아틀라스 V
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델타 IV 헤비ta-hash-start=w-cbfc0437ab0cf84334445b61ebc2f261[[파일:일본 국기.svg H-IIAta-hash-start=w-51331fcd89d45304a118755678da4a8b[[파일:중국 국기.svg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일렉트론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런처원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페가수스
ta-hash-start=w-32cfdce9631d8c7906e8e9d6e68b514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십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뉴 글렌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벌컨
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뉴트론ta-hash-start=w-2181d94fba9a1d2de2b5f6fb75f8ab08[[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르티시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ta-hash-start=w-cbfc0437ab0cf84334445b61ebc2f261[[파일:일본 국기.svg H-IIIta-hash-start=w-32cfdce9631d8c7906e8e9d6e68b514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IIIta-hash-start=w-f16ab670b34d848cb1cae71fff32a682[[파일:미국 국기.svg 테란 1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32cfdce9631d8c7906e8e9d6e68b514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체연료 발사체ta-hash-start=w-32cfdce9631d8c7906e8e9d6e68b514b[[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s




H-IIB
エイチツービーロケット
파일:f73aff11af2b87313498f0d6000dbe00.jpg
기능중형발사체
제작사파일:MitsubishiHeavy.svg
원산지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발사당 비용미화 1억 1,250만 달러
제원
전장56.6 m (186 ft)
직경5.2 m (17 ft)
중량531,000 kg (1,171,000 lb)
단수2단
탑재 능력
LEO 페이로드
중량19,000 kg (42,000 lb)
ISS 페이로드 (HTV 운반)
중량16,500 kg (36,400 lb)
GTO 페이로드
중량8,000 kg (18,000 lb)
관련 로켓
가족H-II
파생작업H-III
유사함아리안 5호 ES
아틀라스 V 541
팰컨 9 Full Thrust
프로톤-M
GSLV Mk III
발사 정보
상태퇴역
발사장다네가시마 우주센터 요시노부 발사장
총 발사 수9
성공 수9
최초 발사일2009년 9월 10일
마지막 발사일2020년 5월 20일
승객/화물 유형H-II Transfer Vehicle
부스터 (SRB-A3)
부스터 수4
전장15 m (49 ft)
직경2.5 m (8 ft 2 in)
총 질량각각 76,500 kg (168,700 lb)
추진제 질량각각 66,000 kg (146,000 lb)
최대 추력2,305 kN (518,000 lbf)
총 추력9,220 kN
(2,070,000 lbf)
비추력283.6 s (2.781 km/s)
연소 시간114초
추진제HTPB
1단 로켓
전장38 m (125 ft)
직경5.2 m (17 ft)
총 질량202,000 kg (445,000 lb)
추진제 질량177,800 kg (392,000 lb)
엔진2 x LE-7A
최대 추력2,196 kN (494,000 lbf)(진공)
비추력440 s (4.3 km/s)
연소 시간352초
추진제액체수소/액체산소
2단 로켓
전장11 m (36 ft)
직경4.0 m (13.1 ft)
총 질량20,000 kg (44,000 lb)
추진제 질량16,600 kg (36,000 lb)
엔진1 x LE-5B
최대 추력137 kN (31,000 lbf)(진공)
비추력448 s (4.39 km/s)(진공)
연소 시간499초
추진제액체수소/액체산소

1. 개요
2. 상세
3. 버전
4. 발사기록
4.1. 2009년
4.2. 2011년
4.3. 2012년
4.4. 2013년
4.5. 2015년
4.6. 2016년
4.7. 2018년
4.8. 2019년
4.9. 2020년



1. 개요[편집]


H-IIB는 H-IIA를 개량한 일본의 우주발사체이다. 국제우주정거장 재보급기인 HTV를 운반하는 극저온 액체 연료 로켓이다.


2. 상세[편집]


파일:H-IIB_TF1_launching_HTV_Demo.jpg

일본이 개발한 로켓들 중에서 성능적으로 H3 이전 가장 강력한 발사 능력을 가졌던 로켓으로 H2A가 LEO에 15톤, GTO에 6톤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데 비해 H2B는 LEO에 19톤, 롱코스트 GTO에 8톤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었으며, 국제우주정거장에는 16.9톤의 화물을 나를 수 있었다.

H2A와 비교할때 달라진 점은 연료탱크 규모가 크게 증대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H2A와 같은 LE-7A 엔진을 사용하나, 그 개수를 2개로 늘려 추력을 약 2배 증가 시켰고 최대 235톤의 추력을 가진 고체로켓 부스터인 SRB-3A도 4개 장착했다.

2020년 5월 21일, 9번의 발사를 모두 성공하고 퇴역했으며 보급기 수송 임무는 후계기인 H-III 로켓에게 넘어갔다.

3. 버전[편집]


파일:250px-H-II_series.png
H-II series

4. 발사기록[편집]



4.1. 2009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09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TF12009년 9월 10일
17:01:46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1성공

4.2. 2011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11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22011년 1월 22일
05:37:57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2성공

4.3. 2012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12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32012년 7월 21일
02:06:18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3
파일:일본 국기.svgRaiko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We Wish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Niwaka x 1[큐브위성]
파일:미국 국기.svgTechEdSat x 1[큐브위성]
파일:베트남 국기.svgF-1 x 1[큐브위성]
성공

4.4. 2013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13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42013년 8월 3일
19:48:46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4
파일:일본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Pico Dragon x 1[큐브위성]
파일:미국 국기.svgArduSat-1 x 1[큐브위성]
파일:미국 국기.svgArduSat-X x 1[큐브위성]
파일:미국 국기.svgTechEdSat-3p x 1[큐브위성]
성공

4.5. 2015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15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52015년 8월 19일
11:50:49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5
파일:브라질 국기.svgSERPENS x 3[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S-CUBE x 3[큐브위성]
파일:미국 국기.svgFlock-2b x 14[큐브위성]
파일:덴마크 국기.svgGOMX-3 x 1[큐브위성]
파일:덴마크 국기.svgAAUSAT5 x 1[큐브위성]
성공

4.6. 2016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16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62016년 12월 9일
13:26:47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6
파일:일본 국기.svgAOBA-Velox III x 1[큐브위성]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브라질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TuPOD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EGG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ITF-2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STARS-C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FREEDOM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WASEDA-SAT3 x 1[큐브위성]
파일:미국 국기.svgOSNSAT x 1[큐브위성]
파일:브라질 국기.svgTancredo-1 x 1[큐브위성]
파일:미국 국기.svgTechEdSat-5 x 1[큐브위성]
파일:미국 국기.svgLemur-2 x 4[큐브위성]
성공

4.7. 2018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18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72018년 8월 22일
17:52:27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7
파일:일본 국기.svgSPATIUM-I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RSP-00 x 3[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STARS-Me x 1[큐브위성]
성공

4.8. 2019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19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82019년 9월 24일
16:05:05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8
파일:이집트 국기.svgNARSSCube-1 x 1[큐브위성]
파일:일본 국기.svgAQT-D x 3[큐브위성]
파일:르완다 국기.svgRWASAT-1 x 1[큐브위성]
성공

4.9. 2020년[편집]


H-IIB 발사기록 (2020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9[1]2020년 5월 20일
17:31:00
H-IIB파일:일본 국기.svgHTV-9성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05:32:06에 나무위키 H-IIB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큐브위성]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1] H-IIB와 HTV의 마지막 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