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IIA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 펼치기 · 접기 ]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파일:JAXA 로고.svg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3d2139c7315d091b026da99147cdb0a8[[파일:러시아 국기.svg 소유즈ta-hash-start=w-3d2139c7315d091b026da99147cdb0a8[[파일:러시아 국기.svg 안가라ta-hash-start=w-3d2139c7315d091b026da99147cdb0a8[[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로톤
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SLS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ta-hash-start=w-7a50d83a1e70e9d96c3357438aed7a44[[파일:중국 국기.svg 창정
ta-hash-start=w-70a6d0ab10eecafa8b4f616717172fef[[파일:인도 국기.svg PSLVta-hash-start=w-70a6d0ab10eecafa8b4f616717172fef[[파일:인도 국기.svg GSLVta-hash-start=w-802c2bb6778f847b9a59c7194ce50d28[[파일:일본 국기.svg 엡실론
ta-hash-start=w-82e9e7a12665240d13d0b928be28f2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누리ta-hash-start=w-21f8d34ed55cc8487885b771aec87f50[[파일:북한 국기.svg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9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헤비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아틀라스 V
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델타 IV 헤비ta-hash-start=w-802c2bb6778f847b9a59c7194ce50d28[[파일:일본 국기.svg H-IIAta-hash-start=w-7a50d83a1e70e9d96c3357438aed7a44[[파일:중국 국기.svg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일렉트론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런처원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페가수스
ta-hash-start=w-82e9e7a12665240d13d0b928be28f2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십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뉴 글렌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벌컨
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뉴트론ta-hash-start=w-3d2139c7315d091b026da99147cdb0a8[[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르티시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ta-hash-start=w-802c2bb6778f847b9a59c7194ce50d28[[파일:일본 국기.svg H-IIIta-hash-start=w-82e9e7a12665240d13d0b928be28f2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IIIta-hash-start=w-0532f44875bec555073a20e30b3c50f4[[파일:미국 국기.svg 테란 1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82e9e7a12665240d13d0b928be28f2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체연료 발사체ta-hash-start=w-82e9e7a12665240d13d0b928be28f2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s




H-IIA
エイチにエーロケット
파일:H-IIA-F46.webp

IGS-Radar 7 위성을 쏘아올리는 H2A-202 버전 46호기
기능중형 발사체
제작자파일:MitsubishiHeavy.svg
파일:IHI 로고.svg
파일:노스롭 그루먼 로고.svg
원산지
파일:일본 국기.svg

발사당 비용미화 9천만 달러
제원
전장53 m (174 ft)
직경4 m (13 ft)
중량285,000 ~ 445,000 kg
(628,000 ~ 981,000 lb)
단수2단
탑재 능력
LEO 페이로드
중량10,000 ~ 15,000 kg
(22,000 ~ 33,000 lb)
GTO 페이로드
중량4,100 ~ 6,000 kg
(9,000 ~ 13,200 lb)
관련 로켓
가족H-II
파생작업H-IIB
발사 정보
상태사용중
발사장다네가시마 우주센터 요시노부 발사장
총 발사 수47 (202: 32 · 204: 5 · 2022: 3 · 2024: 7)
성공 수46 (202: 32 · 204: 5 · 2022: 3 · 2024: 6)
실패 수1 (2024: 1)
첫 발사202: 2001년 8월 29일
204: 2006년 12월 18일
2022: 2005년 2월 26일
2024: 2002년 2월 4일
마지막 발사202: 2023년 9월 7일 (활성)
204: 2021년 12월 22일
2022: 2007년 9월 14일
2024: 2008년 2월 23일
유형SELENE · Ibuki(GOSAT) · Akatsuki
승객/화물Hayabusa 2 · Emirates Mars Mission
부스터 (SRB-A)
부스터 수2~4
전장15.1 m
직경2.5 m
최대 추력2,260 kN (510,000 lbf)
총 추력4,520 ~ 9,040 kN
(1,020,000 ~ 2,030,000 lbf)
비추력280 s (2.7 km/s)
연소 시간120초
추진제HTPB
부스터 (2022, 2024) (Castor 4A-XL)
부스터 수2~4
최대 추력745 kN (167,000 lbf)
총 추력1,490 ~ 2,980 kN
(330,000 ~ 670,000 lbf)
비추력280 s (2.7 km/s)
연소 시간60초
추진제고체
1단 로켓
전장37.2 m
직경4 m
엔진1 x LE-7A
최대 추력1,098 kN (274,000 lbf)
비추력440 s (4.3 km/s)
연소 시간390초
추진제액체수소/액체산소
2단 로켓
전장9.2 m
직경4 m
엔진1 x LE-5B
최대 추력137 kN (31,000 lbf)
비추력447 s (4.38 km/s)
연소 시간534초
추진제액체수소/액체산소
1. 개요
2. 소개
2.1. 초기 실패 사례
3. 해외 발사 수주
4. 버전
5. 발사기록
5.1. 2001년
5.2. 2002년
5.3. 2003년
5.4. 2005년
5.5. 2006년
5.6. 2007년
5.7. 2008년
5.8. 2009년
5.9. 2010년
5.10. 2011년
5.11. 2012년
5.12. 2013년
5.13. 2014년
5.14. 2015년
5.15. 2016년
5.16. 2017년
5.17. 2018년
5.18. 2020년
5.19. 2021년
5.20. 2023년
5.21. 2024년
6.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인공위성을 발사할 목적으로 개발된 H-II를 개량한 일본의 극저온 액체 연료 우주발사체이다. 해당 로켓은 일본의 첫 민간 운영 로켓이기도 한데 2007년 9월에 발사된 13호기부터 JAXA가 발사 임무 및 운영 임무를 제작사인 미쓰비시 중공업으로 이관하였다.


2. 소개[편집]


파일:bb623929a2c6157a413a7aec661a667f2.jpg

비용 절약과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H-II를 전체적으로 재설계하였다. 순수 일본산이었던 H-II와는 달리 2단의 액체산소 탱크는 더 저렴한 외국제품을 사용했다.

제1단의 엔진은 H-IILE-7의 비용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LE-7A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2단 엔진은 H-II의 LE-5A의 비용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LE-5B를 사용하고있다. 또, 고체 로켓 부스터는 H-II의 SRB에 비해 비용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일본산 SRB-A를 사용하고있다. 2022/2024 버전에서 사용되는 소형 보조 고체 로켓 부스터 SSB는 외국산이고 고가이기 때문에 14번째 발사를 마지막으로 퇴역했다. SRB-A는 고체 로켓 엡실론의 1단 로켓으로 전용되기도 했다.

파생 모델로 H-IIB가 존재한다. 일본국제우주정거장 건설에 참여하며 HTV(우주 스테이션 보급기)를 수송하기 위해 추력을 증가시킨 모델이다.

2023년에 50번째 발사를 마지막으로 퇴역할 예정이며 후속으로 발사 비용은 절반이지만 성능과 체급은 더욱 향상된 H-III 로켓이 개발되고 있다.

2.1. 초기 실패 사례[편집]


유일한 실패 사례는 2003년 11월 29일 발사된 H2A 6호기(2024)에서 발생했는데, SRB 부스터 한 쪽에서 유출된 뜨거운 가스가 체결부위를 녹여 분리되지 못하면서 예정 궤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이 확실시되자 발사 10분 후 지상의 지령으로 공중 폭파시키면서 실패했다. 이 로켓에 실린 페이로드는 일본 정부의 정찰위성인 광학 2호 및 레이더 2호 2기로 총 손실 금액은 무려 1조원에 달했다.


3. 해외 발사 수주[편집]


타국의 로켓에 비해 발사 비용이 높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높은 신뢰성을 바탕으로 몇 차례 상업발사를 수주하는데 성공하여 일본 로켓 사상 최초로 외국의 인공위성들을 쏘아 올렸다. 호주 국방부의 Fedsat-1, 한국의 아리랑 3호, UAE 최초의 자국산 위성인 칼리파샛, 여러 국가 연구소나 대학이 만든 큐브샛 등이 일본 위성들과 합승하는 형태로 발사되었다.

H2A-204 29호기로 발사된 캐나다의 5톤급 정지궤도 통신위성 Telstar 12V의 경우에는 일본 위성이 하나도 합승하지 않고 단독으로 쏘아 올려졌으며, UAE 최초이자 중동 최초의 행성 탐사선인 화성 탐사선 아말이 202 버전 42호기, 영국의 국제 위성통신사 인마샛의 5.4톤급 정지궤도 통신위성 Inmarsat-6 F1이 204버전 45호기로 단독발사되었다.


4. 버전[편집]


파일:250px-H-II_series.png

H-II, H-IIA, H-IIB Series

파일:250px-H-IIA_Family.png

H-IIA Series[1]

5. 발사기록[편집]



5.1. 2001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1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TF12001년 8월 29일
07:00: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VEP 2
파일:일본 국기.svgLRE
성공

5.2. 2002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2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TF22002년 2월 4일
02:45:00
H-IIA 2024파일:일본 국기.svgVEP 3
파일:일본 국기.svgMDS-1 (Tsubasa)
파일:일본 국기.svgDASH
성공
F32002년 9월 10일
08:20:00
H-IIA 2024파일:일본 국기.svgUSERS
파일:일본 국기.svgDRTS (Kodama)
성공
F42002년 12월 14일
01:31: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ADEOS 2 (Midori 2)
파일:일본 국기.svgWEOS (Kanta-kun)
파일:호주 국기.svgFedSat 1
파일:일본 국기.svgMicro LabSat 1
성공

5.3. 2003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3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52003년 3월 28일
01:27:00
H-IIA 2024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1
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1
성공
F62003년 11월 29일
04:33:00
H-IIA 2024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실패[2]

5.4. 2005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5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72005년 2월 26일
09:25:00
H-IIA 2022파일:일본 국기.svgIMTSAT-1R (Himawari 6)성공

5.5. 2006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6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82006년 1월 24일
01:33:00
H-IIA 2022파일:일본 국기.svgALOS (Daichi)성공
F92006년 2월 18일
06:27:00
H-IIA 2024파일:일본 국기.svgMTSAT-2 (Himawari 7)성공
F102006년 9월 11일
04:35: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2성공
F112006년 12월 18일
06:32:00
H-IIA 204파일:일본 국기.svgETS-VIII (Kiku 8)성공

5.6. 2007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7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122006년 2월 24일
04:41:00
H-IIA 2024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2
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3V
성공
F132006년 9월 14일
01:31:01
H-IIA 2022파일:일본 국기.svgSELENE (Kaguya)성공

5.7. 2008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8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142006년 2월 23일
08:55:00
H-IIA 2024파일:일본 국기.svgWINDS (Kizuna)성공

5.8. 2009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9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152009년 1월 23일
03:54: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GOSAT (Ibuki)
파일:일본 국기.svgSDS-1
파일:일본 국기.svgSTARS (Kūkai)
파일:일본 국기.svgKKS-1 (Kiseki)
파일:일본 국기.svgPRISM (Hitomi)
파일:일본 국기.svgSohla-1 (Maido 1)
파일:일본 국기.svgSORUNSAT-1 (Kagayaki)
파일:일본 국기.svgSPRITE-SAT (Raijin)
성공
F162009년 11월 28일
01:21: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3성공

5.9. 2010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010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172010년 5월 20일
21:58:22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PLANET-C (Akatsuki)
파일:일본 국기.svgIKAROS
파일:일본 국기.svgUNITEC-1 (Shin'en)
파일:일본 국기.svgWaseda-SAT2
파일:일본 국기.svgK-Sat (Hayato)
파일:일본 국기.svgNegai☆
성공
F182010년 9월 11일
11:17: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QZS-1 (Michibiki)성공

5.10. 2011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11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192011년 9월 23일
04:36:5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4성공
F202011년 12월 12일
01:21: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3성공

5.11. 2012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12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212012년 5월 17일
16:39: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GCOM-W1 (Shizuk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KOMPSAT-3 (Arirang 3)
파일:일본 국기.svgSDS-4
파일:일본 국기.svgHORYU-2
성공

5.12. 2013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13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222013년 1월 27일
04:40: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4
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5V
성공

5.13. 2014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14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232014년 2월 27일
18:37: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GPM-Core
파일:일본 국기.svgSindaiSat (Ginrei)
파일:일본 국기.svgSTARS-II (Gennai)
파일:일본 국기.svgTeikyoSat-3
파일:일본 국기.svgITF-1 (Yui)
파일:일본 국기.svgOPUSAT (CosMoz)
파일:일본 국기.svgINVADER
파일:일본 국기.svgKSAT2
성공
F242014년 5월 24일
03:05:14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ALOS-2 (Daichi 2)
파일:일본 국기.svgRISING-2
파일:일본 국기.svgUNIFORM-1
파일:일본 국기.svgSOCRATES
파일:일본 국기.svgSPROUT
성공
F252014년 10월 7일
05:16: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Himawari 8성공
F262014년 12월 3일
04:22:04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Hayabusa2
파일:일본 국기.svgShin'en 2
파일:일본 국기.svgARTSAT2-DESPATCH
파일:일본 국기.svgPROCYON
성공

5.14. 2015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15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272015년 2월 1일
01:21: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Spare성공
F282015년 3월 26일
01:21: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5성공
F292015년 11월 24일
06:50:00
H-IIA 204파일:캐나다 국기.svgTelstar 12 Vantage성공

5.15. 2016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16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302016년 2월 17일
08:45: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ASTRO-H (Hitomi)
파일:일본 국기.svgChubuSat-2 (Kinshachi 2)
파일:일본 국기.svgChubuSat-3 (Kinshachi 3)
파일:일본 국기.svgHoryu-4
성공
F312016년 11월 2일
06:20: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Himawari 9성공

5.16. 2017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17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322017년 1월 24일
07:44:00
H-IIA 204파일:일본 국기.svgDSN-2 (Kirameki 2)성공
F332017년 3월 17일
01:20: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5성공
F342017년 6월 1일
00:17:46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QZS-2 (Michibiki 2)성공
F352017년 8월 19일
05:29:00
H-IIA 204파일:일본 국기.svgQZS-3 (Michibiki 3)성공
F362017년 10월 9일
22:01:37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QZS-4 (Michibiki 4)성공
F372017년 12월 23일
01:26:22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GCOM-C (Shikisai)
파일:일본 국기.svgSLATS (Tsubame)
성공

5.17. 2018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18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382018년 2월 27일
04:34: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6성공
F392018년 6월 12일
04:20: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6성공
F402018년 10월 29일
04:08: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GOSAT-2 (Ibuki-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KhalifaSat
파일:일본 국기.svg파일:필리핀 국기.svgDiwata-2B
파일:일본 국기.svgTenkōh
파일:일본 국기.svgStars-AO (Aoi)
파일:일본 국기.svgAUTcube2 (Gamacube)
성공

5.18. 2020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20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412020년 2월 9일
01:34: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7성공
F422020년 7월 19일
21:58:14
H-IIA 202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Emirates Mars Mission (Hope)성공
F432020년 11월 29일
07:25: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JDRS/LUCAS성공

5.19. 2021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21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442021년 10월 26일
02:19:37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QZS-1R성공
F452021년 12월 22일
15:32:00
H-IIA 204파일:영국 국기.svgInmarsat-6 F1성공

5.20. 2023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23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462023년 1월 26일
01:50:21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7성공
F47NET 2023년 9월 7일
00:26:00
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XRISM/SLIM성공
F482023년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GOSAT-GW예정

5.21. 2024년[편집]


H-IIA 발사기록 (2024년)
비행날짜 및 시간(UTC)버전페이로드발사결과
F492024년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Optical 8예정
F50[3]2024년H-IIA 202파일:일본 국기.svgIGS-Radar 8예정

6. 같이보기[편집]


  • H-IIB
  • H-III
  • LE-7
  • 문라이트 마일[4]
  • 엡실론 로켓


[1] 미쓰비시 중공업이 운영권을 이관받은 이후 소형 고체 연료 부스터인 SSB를 사용하는 2022버전과 2024버전은 폐지됨[2] SRB-A의 분리 실패[3] 마지막 H-IIA 발사[4] 주인공 사루와타리 고로가 친구 우드브릿지(로스트맨)를 쫓아 우주로 가기 위해 일본의 H-IIA를 유인로켓으로 이용하여 우주에 간다는 설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