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JTBC 뉴스특보/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JTBC 뉴스특보

[[파일:JTBC 로고_White.svg
{{{#ffffff '''
뉴스특보,,'''}}}
[ 펼치기 · 접기 ]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f0f0f0,#191919> 별도 문서가 있는 JTBC 뉴스특보 ||
||<width=40%> 2016년 11월 5일 ~ 2017년 4월 9일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 2018년 6월 10일 ~ 6월 12일 ||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 ||
|| 2018년 9월 18일 ~ 9월 20일 || 2018 남북 정상회담ㅣ평양 ||
|| 2019년 2월 26일 ~ 2월 28일 || 2차 북·미 정상회담ㅣ하노이 ||
|| 2019년 4월 5일 || 강원도 산불 ||
|| 2020년 2월 21일 ~ 4월 17일 || 코로나19 ( 3월 / 4월 ) ||



파일:external/s18.postimg.org/2016_12_03_20_19_19.png
파일:JTBC_박근혜_대통령_탄핵_그_이후_OP.jpg
방송사·채널 파일:JTBC 로고.svg
기획·제작 파일:JTBC 6세대 로고 - 보도 부문.png
방송 기간 2016년 11월 5일 ~ 2017년 4월 9일
방송 품질 화질 1080i
음향 2채널 돌비 디지털
링크 파일:JTBC 6세대 로고 - 보도 부문.png

1. 개요
2. 진행자·패널
3. 여담



1. 개요[편집]


2016년 11월 5일부터 매주 토, 일요일 오후 2시에 방송되는 JTBC뉴스 프로그램. 본래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특집으로 2016년 10월 30일 일요일, 4부에 걸쳐 방송된 뉴스특보를 계기로 이후 11월 5일부터 고정 프로그램으로 편성되고 있다.
JTBC 뉴스 다시보기 페이지에서는 주말뉴스로 표기하고 있다.

평일에 편성되는 뉴스특보가 정말 긴급으로 임시 편성되는 것과는 달리, 주말에 진행되는 본 프로그램은 주말 동안 들어온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박근혜 퇴진 운동 촛불 집회, 제19대 대통령 선거 관련 소식만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심층 뉴스 프로그램에 가까운 포맷을 가지고 있다.

19대 대선 이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섬에 따라 뉴스특보도 2017년 5월 14일을 끝으로 정규 편성이 종료되었다.

2. 진행자·패널[편집]


따로 고정된 진행자는 없으며, 진행자에 따라 그 진행자가 맡고 있는 프로그램에 비슷하게 뉴스특보의 컨셉을 잡는다. 이를테면 김종혁 대기자가 진행하는 뉴스특보의 경우 뉴스현장과 비숫한 컨셉으로 패널도 뉴스현장에 나오는 패널들 위주로 나와 뉴스현장 같이 진행을 하고[1], 이상복 정치2부장이 진행하는 뉴스특보의 경우 아예 정치부 회의 전 출연진이 등장해 뉴스특보를 진행한다.[2]

2017년 1월 이후로는 사실상 김종혁, 이상복, 박성준, 성문규 4명의 앵커가 순회 진행하고 있다. 2016년 12월까지 진행했던 박성태 앵커는 대신 평일 뉴스특보(임시편성)에 매우 높은 확률로 진행을 맡고 있다. JTBC 뉴스현장 진행 이후로 평일 고정 진행 프로그램이 없어 이렇게 돌린 것으로 보인다.

날짜앵커패널
2016년 11월 5일김종혁양지열 변호사, 박성태, 서복현 기자
2016년 11월 6일이상복유상욱, 양원보, 김태영 기자
2016년 11월 12일박성태안의근, 송지혜, 서복현, 이서준 기자
2016년 11월 13일박성준양지열 변호사, 김태영, 이성대 기자
2016년 11월 19일박성태안의근, 송지혜, 백종훈, 심수미 기자
2016년 11월 20일[3]1부 - 오대영조택수, 윤설영 기자
2부 - 김종혁백성문, 양지열 변호사, 김병민 자문위원[4], 박성태, 이서준 기자
2016년 11월 26일1,2부 - 박성태안의근, 송지혜, 백종훈 기자
3,4부 - 성문규이호진(3,4부), 안의근(4부) 기자
2016년 11월 27일박성준양지열 변호사, 이서준, 이성대 기자
2016년 12월 3일박성태백종훈, 이성대, 송지혜 기자
2016년 12월 4일김종혁조해진, 백원우 전 의원, 심수미 기자
2016년 12월 11일성문규임지봉, 김근식 교수, 김만흠 원장[5], 이성대 기자
2016년 12월 17일이상복정강현, 임소라, 양원보, 유상욱 기자[6]
2016년 12월 18일박성준양지열 변호사, 안의근, 백종훈 기자
2016년 12월 24일오대영양지열 변호사, 안의근, 심수미 기자
2016년 12월 25일김종혁양지열 변호사, 남궁욱, 이서준 기자
2016년 12월 31일이상복정강현, 임소라, 양원보, 최종혁 기자
2017년 1월 7일김종혁백성문 변호사, 조익신, 김준 기자
2017년 1월 8일성문규양지열 변호사, 최영일 시사평론가, 송지혜, 이서준 기자
2017년 1월 15일이상복정강현, 임소라, 양원보, 최종혁 기자
2017년 1월 21일박성준양지열 변호사, 안태훈, 이호진 기자
2017년 1월 22일성문규최영일 시사평론가, 손수호 변호사, 이서준 기자
2017년 2월 4일이상복정강현, 양원보, 최종혁, 신혜원 기자
2017년 2월 5일김종혁백성문, 양지열 변호사, 서복현 기자
2017년 2월 11일성문규김만흠 원장, 김광삼 변호사, 이윤석, 김준 기자
2017년 2월 12일박성준백성문 변호사, 조익신, 신혜원 기자
2017년 2월 18일1부 - 정제윤[7]정원석 기자
2부 - 박성준양지열 변호사, 송지혜, 정원석 기자
2017년 2월 19일성문규백성문 변호사, 최영일 시사평론가, 김준 기자
2017년 3월 4일김종혁양지열 변호사, 김성수 시사평론가, 정원석 기자
2017년 3월 5일박성준백성문 변호사, 김혜미, 백종훈 기자
2017년 3월 11일1부 - 박성준양지열, 노희범 변호사, 이동형 시사평론가, 황도수 건국대 교수
2,3부 - 이상복정강현, 임소라, 양원보, 최종혁, 신혜원(2부) 기자
2017년 3월 12일1부 - 성문규최창렬[8], 이국운 교수[9], 이지은, 정원석 기자
2부 - 김종혁양지열 변호사, 김성수 시사평론가, 정제윤, 정원석, 윤영탁, 박진규 기자
2017년 3월 18일김종혁양지열 변호사, 김성수 시사평론가, 이희정, 김준 기자
2017년 3월 19일이상복정강현, 임소라, 양원보, 최종혁 기자
2017년 3월 25일성문규1부 - 박흥석 전 조사관[10], 강버들 기자
2부 - 이상갑 교수[11], 이가혁 기자
2017년 3월 26일박성준김치준 이사[12], 최영일 시사평론가(1부), 김만흠 원장, 양지열 변호사(2부), 이가혁 기자(1,2부)
2017년 4월 1일성문규양지열 변호사, 최영일 시사평론가, 이서준 기자
2017년 4월 2일박성준김만흠 원장, 백성문 변호사
2017년 4월 8일김종혁양지열 변호사, 김성수 시사평론가, 안의근 기자
2017년 4월 9일이상복정강현, 임소라, 양원보, 최종혁 기자

3. 여담[편집]


JTBC 주말 뉴스특보 초창기에는 JTBC 뉴스현장정치부 회의를 진행하는 오픈 스튜디오에서 진행했었지만, 패널 좌석 배치 및 데스크 배치 문제[13]로 인해 2017년 2월 이후론 사실상 JTBC 뉴스룸을 진행하는 메인 스튜디오에서 진행한다. 이는 주말 낮 뉴스도 마찬가지.

정치1부의 박성태 앵커가 진행하는 경우, 간간히 스크린을 배경으로 스탠딩 진행을 선보이는 경우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08:54:41에 나무위키 JTBC 뉴스특보/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튜디오도 아예 뉴스현장 스튜디오에서 방송한다.[2] 사실상 주말 정치부 회의. 하지만 강지영 아나운서는 출연을 하지 않았다.[3] 이 날 최순실 국정개입 검찰 수사 발표로 인해 오전과 오후로 나뉘었다. 1부는 오전 10시 50분 방송, 2부는 평소와 동일하게 오후 2시에 방송.[4] 여의도연구원 소속 자문위원[5]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6] 정치부 회의 진행자와 패널이 모두 참여한 최초의 뉴스특보이다. 그런데 유상욱 기자는 3일 뒤에 사회2부로 발령나면서 하차당했다(...)[7] 주말 낮 뉴스 앵커이고 본래 방송시간대도 낮 뉴스 시간대였는데 뉴스특보로 대체되었다.[8] 용인대 교수[9] 한동대 법학부 교수[10]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직후 세월호 특조위 조사관을 역임했다.[11] 한국해양대 교수[12] 한국심해기술협회 이사[13] 오픈 스튜디오 테이블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ㅁ자 모양의 데스크를 ㄱ자 모양으로 재배치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작업이 반복되면 번거로운데다가 기본적으로 데스크가 좁은 것이 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