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4리그/2021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4리그

역대 K4리그
2020 시즌2021 시즌2022 시즌

2021 시즌 K4리그 - 공식 홍보 영상

[크삼크사X홍벤저스] K3-K4리그 리뷰!

2021 K4리그
파일:155809396_142131257784135_7892020453207600201_n.jpg
총 라운드 수30라운드
개막일2021년 3월 13일
폐막일2021년 11월 6일
작년 우승 구단파일:파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파주시민축구단
우승 구단파일:포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포천시민축구단
승격 구단포천시민축구단, 시흥시민축구단, 당진시민축구단
공인구스포츠트라이브 F24

1. 개요
2. 이야깃거리
3. 참가 구단
6. 외국인 선수
7. 구단 순위
8. 우승
10. 개인 기록
10.1. 득점 순위
10.2. 도움 순위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K4리그의 2021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이야깃거리[편집]


  • 거제시를 연고로 하는 거제시민축구단당진시를 연고로 하는 당진시민축구단이 신생팀으로 새로이 참가한다.#
  • 평창군을 연고로 하는 평창 FC가 평창 유나이티드 FC로 2년만에 다시 참가한다.
  • 이천시민축구단이 재정 부담 문제로 해체를 결정하여 이 시즌부터는 참가하지 않는다.
  • 여주시민축구단여주 FC로 팀명을 변경하여 참가한다.
  • 충주시민축구단이 작년까지 사용하던 탄금대축구장을 떠나 호암신도시 인근의 충주종합운동장으로 홈구장과 구단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 K리그1강원 FC가 K리그 팀중으로는 최초로 강원 FC BK4리그 참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영표 대표이사와 김병수 감독의 저연령 선수 육성 의지가 컸다고 하며, 현재 2군 감독 역할을 하는 이슬기 코치가 B팀 감독이 될 것으로 유력하다고 한다.
  • 2020년 12월 15일 한국프로축구연맹 제8차 이사회에서 "프로 구단의 B팀을 K4리그에 참가시키는 방안"이 의결되었다.# 대한축구협회와의 협의를 통해 2021시즌부터 K리그 구단들이 '프로 B팀’을 운영할 경우 K4리그에 참가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에 따라 K리그 구단들은 2021시즌부터 R리그(2군 리그)에 참가하거나 별도 B팀을 구성하여 K4리그에 참가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K4리그에 참가하는 '프로 B팀'은 11명의 출전선수 중 23세 이하 선수가 7명 이상이어야 하며, 프로 경기에 출장한 횟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B팀 참가가 제한될 수 있다. 기타 세부사항은 연맹과 대한축구협회의 논의를 통해 정해질 예정이다. 실제로 1달 뒤인 2021년 1월 18일, 한국프로축구연맹 제1차 이사회에서 프로 B팀의 K3, K4리그 참가를 관장하기 위한 운영세칙이 제정되었다. # 자세한 것은 각주와 같다.[1]
  • 김유정, 오현정 (이상 주심), 윤은희, 이슬기(이상 부심) 총 4명의 여성 심판이 체력테스트를 앞두고 있고, 이를 통과하면 K4리그의 심판직을 맡게 될 예정이다.#
  • 2월 1일자 대진표 추첨에 따른 개막전 대진 결과는 링크에서 볼 수 있다. 각 팀의 전체 리그일정은 개별 문서에 정리되어있다.
  • 강원 FC B가 첫 5번의 홈경기에서 철원종합운동장을 사용하기로 결정하면서, 거제시민축구단은 4라운드에서 거제로부터 무려 약 470km는 떨어진, 차량으로 쉬지 않고 달려도 5시간 넘게 걸리는 북쪽 끝까지 가야하는 지옥의 원정을 경험하게 되었다. 거제시민축구단은 3라운드 440km 포천종합운동장 원정, 4라운드 470km 철원종합운동장 원정
  • 2021시즌 기준 K4리그 참가팀들의 연간 예산 평균은 7억 5천만원이다.


3. 참가 구단[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width=25%> 파일:거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width=25%> 파일:고양시민축구단 엠블럼.svg
||<width=25%> 파일:당진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 파일:서울 중랑 축구단 엠블럼.svg
|| 파일: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 엠블럼.svg
|| 파일:시흥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파일:양평 FC 엠블럼(2015~2021).svg
||
|| 파일:여주 FC 엠블럼(2021).svg
|| 파일:FC 남동 엠블럼.svg
|| 파일:전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파일:진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 파일:춘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파일:충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파일:평창 유나이티드 FC 엠블럼.svg
|| 파일:포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2><bgcolor=#e0002e> ◀ K3리그 ||<-2><bgcolor=#f5a706><color=#373a3c> K5리그 ▶ ||
||<-4><bgcolor=#444444> 과거 참가 구단 보기 ||


2021시즌 K4리그 참가팀 소개 영상

감독연고지경기장전년도 순위
강원 FC B이슬기강원철원종합운동장
동해웰빙레포츠타운
원주종합운동장
신생팀[2]
거제시민축구단송재규거제거제종합운동장신생팀
고양시민축구단박재현고양별무리경기장K4리그 11위
당진시민축구단한상민당진당진종합운동장신생팀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이정재서울[3]노원마들스타디움K4리그 12위
서울 중랑 축구단최정민서울[4]중랑구립잔디운동장K4리그 13위
시흥시민축구단박승수시흥정왕스타디움K4리그 8위
양평 FC김창윤양평용문생활체육공원 축구장K4리그 7위
여주 FC심봉섭여주여주종합운동장K4리그 6위
전주시민축구단양영철전주전주종합운동장K3리그 16위
진주시민축구단최청일진주진주종합경기장K4리그 3위[5]
춘천시민축구단김경범춘천춘천송암보조구장K3리그 15위
충주시민축구단김종필충주충주종합운동장K4리그 10위
평창 유나이티드 FC안홍민평창진부면민체육공원 축구장재참가
포천시민축구단조만근포천포천종합운동장K4리그 4위
FC 남동김정재인천 남동남동공단 근린공원 축구장K4리그 5위


3.1. 2021 시즌 참가 구단별 선수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4리그/2021년/구단별 선수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겨울이적시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4리그/2021년/겨울이적시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름이적시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4리그/2021년/여름이적시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외국인 선수[편집]


외국인 선수들은 각 팀당 AFC 소속국 국적의 1인을 포함해서 최대 4인까지 경기에서 뛸 수 있다.



7. 구단 순위[편집]


||
순위구단경기득점실점득실 차승점승격 결정전작년 순위컵 대회
FA컵전국체육대회
1파일:포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21638028+5269_K4
4위
3R축소[B]
2파일:시흥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21457532+4367_K4
8위
2R축소[B]
3파일:당진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19566040+2062승리신생불참[A]축소[B]
4파일:충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17676031+2957패배K4
10위
1R축소[B]
5파일:진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16865728+2956_K4
3위
1R축소[B]
6파일:거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13895039+1147_신생불참[A]축소[B]
7파일:평창 유나이티드 FC 엠블럼.svg
30144124349-646_재참불참[A]축소[B]
8파일:강원 FC 엠블럼.svg
30117125044+640_신생불참[A]불참[1]
9파일:FC 남동 엠블럼.svg
30113163947-836_K4
5위
1R축소[B]
10파일:춘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106144051-1136_K3
15위
2R축소[B]
11파일: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 엠블럼.svg
3095164053-1332_K4
12위
1R축소[B]
12파일:여주 FC 엠블럼(2021).svg
3086163458-2430_K4
6위
1R축소[B]
13파일:양평 FC 엠블럼(2015~2021).svg
3078153952-1329_K4
7위
2R축소[B]
14파일:서울 중랑 축구단 엠블럼.svg
3067173362-2925_K4
13위
1R축소[B]
15파일:전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73203971-3224_K3
16위
2R축소[B]
16파일:고양시민축구단 엠블럼.svg
3054213084-5419_K4
11위
2R축소[B]
마지막 업데이트 : 2021년 11월 14일


16팀은 서로 2차례씩 맞붙어 팀 당 30경기를 치르는 정규리그를 소화한다. 여기서 순위가 가려진 대로 1위와 2위는 K3리그로 승격되며 3위와 4위는 K3-K4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승격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리그 3위와 4위는 리그 3위의 홈에서 단판으로 진행되는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이 때 정규시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홈팀이 승리하는 방식이며 고로 승부차기나 연장전은 없다. 이 경기 승자는 K3리그 14위와 홈 앤드 어웨이의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어 승격이냐 잔류냐를 결정하게 된다.


8. 우승[편집]


2021 K4리그 우승
파일:포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포천시민축구단
1번째 우승

파일:2021110701000258700009681.jpg


9. 승강 플레이오프[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1년 K3·4리그간 승강 플레이오프에 대한 내용은 K3·4리그 승강결정전/2021년 문서
K3·4리그 승강결정전/2021년번 문단을
K3·4리그 승강결정전/2021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개인 기록[편집]




10.1. 득점 순위[편집]


순위이름소속
1이창훈시흥시민축구단32
2성봉재진주시민축구단22
3방찬준당진시민축구단16[7]
4안수현평창 유나이티드16[8]
5태현찬거제시민축구단16[9]


10.2. 도움 순위[편집]


순위이름소속도움
1정승용포천시민축구단13
2장백규포천시민축구단8[10]
3문슬범서울 중랑 축구단8[11]
4이승현충주시민축구단8[12]
5정상규시흥시민축구단7


11.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파일:K4리그 로고.svgK4리그
구단별 감독 (2021)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이슬기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 송재규
파일:거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박재현
파일:고양시민축구단 엠블럼.svg
||<width=25%> 한상민
파일:당진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 김상화
파일:서울 중랑 축구단 엠블럼.svg
|| 이정재
파일: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 엠블럼.svg
|| 박승수
파일:시흥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김창윤
파일:양평 FC 엠블럼(2015~2021).svg
||
|| 심봉섭
파일:여주 FC 엠블럼(2021).svg
|| 김정재
파일:FC 남동 엠블럼.svg
|| 양영철
파일:전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최청일
파일:진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 김경범
파일:춘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김종필
파일:충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안홍민
파일:평창 유나이티드 FC 엠블럼.svg
|| 조만근
파일:포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
||<-4><bgcolor=#e0002e> ◀ K3리그 구단별 감독 보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5:05:53에 나무위키 K4리그/2021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팀은 K3, K4리그에 있는 선수들과 계약할 수 있다. 또 프로선수와 준프로선수 역시 B팀과 중복해서 뛸 수 있다. 또한 프로 선수들이 B팀의 승격이나 강등방지를 도우러 시즌 마지막에 갑자기 B팀 소속으로 뛰는걸 방지하기 위해, 프로 선수와 준프로 선수의 경우 B팀에서 K3, K4리그 시즌 전체의 3분의 1 이상을 뛴 선수에 한해서만 시즌 마지막 4경기와 K3-K4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K3리그 챔피언십 경기에서 뛸 수 있게 했다. 이 밖에 "준프로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유소년 선수들 또한 B팀과 계약할 수 없다.[2] 프로 B팀.[3] 사실상 노원구 연고[4] 사실상 중랑구 연고[5] 승강플레이오프 승격실패.[6] 원래는 승강 플레이오프 참가팀 결정을 위한 K4리그 3,4위팀간의 플레이오프였으나, 김포 FCK리그2 진출로 인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승리팀이 승격권을 얻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7] 20경기 출전[8] 25경기 출전[9] 27경기 출전[10] 17경기 출전[11] 22경기 출전[12] 27경기 출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