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gressbar95

덤프버전 :


파일:PB95Icon.pngProgressbar95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파일:PB95Icon.png프로그레스바95
Progressbar95
||
파일:progressbar95.jpg
개발Igor Uduslivii(Icoeye)
유통Spooky House Studios UG haftungsbeschraenkt
플랫폼파일:Windows 로고.svg |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iOS 로고.svg[[파일:iOS 로고 화이트.svg
ESD파일:Google Play 로고.svg | 파일:스팀 로고.svg[[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장르캐주얼, 퍼즐
출시모바일
2019년 6월 10일
PC
2020년 9월 8일
한국어 지원미지원
심의 등급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Google Play)
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4세 이상.jpg 만 4세 이상 (App Store)
관련 사이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레딧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FANDOM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
2. 바탕 화면
3. 게임 모드
4. 보너스 포인트
4.1. 패턴
4.2. DOS(CMD) 보너스
4.3. 기타
5. 업그레이드
6. 치트
7. ProgressDOS
7.1. 무작위 폴더 명칭
7.2. 명령어
8. 메일함
8.1. 메일 종류
9. 달력
10. PC 버전
11. 업데이트 로그
12. 평가
13. 기타



1. 개요[편집]


트레일러 영상
Microsoft WindowsmacOS 패러디 테마에서 진행 표시줄을 채우는 게임이다. 현재 최신 버전은 0.99 (KP009900)이다.


2. 바탕 화면[편집]


이 게임이 기본적으로 Windows 패러디 게임이다 보니 바탕 화면이 존재한다. 간혹 화면에 이상한 픽셀이 뜨는데, 누르면 불량화소를 발견했다고 2500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이하는 바탕화면의 아이콘이다.

Bin is your digital pet. You have to take care of him: clean, feed (by using trash files), tell him good words. Make Bin happy to get rewards! Otherwise it might be a nightmare.

휴지통은 디지털 펫입니다. 녀석을 잘 돌봐주세요: (불필요한 파일로) 녀석에게 먹이를 주고, 비우기도 수행해 주고, 좋은 말을 해주세요. 잘 돌보면 그에 대한 보답을 해주겠지만, 제대로 돌보지 않으면 지옥을 맛볼 겁니다.

-클리피

휴지통. 디지털 펫이다. 좋은 단어[1]를 말해 주면 좋은 평판을 받을 수 있으며, 자고 있는 상태에서 깨우면 악평을 받고[2] 알아서 깰 때까지 그대로 두면 좋은 평판을 받는다. 플레이 도중 공이 나타났을 때 공을 휴지통에 넣으면 휴지통이 "골!!!!"이라고 말하면서 공 보너스에 2500점이 추가되는 동시에 호감도가 상승한다.
가끔 바탕화면에 나오는 Trash.txt 또는 cheats.txt[3]를 드래그를 하거나 ProgressDOS에서 텍스트 파일을 삭제하여 먹이를 줄 수 있다. 찬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메시지가 다르며, 한국 표준시 기준 매일 오전 9시[4]에 Clean 명령어가 활성화되는데 사용하면 먹인 텍스트 파일이나 폴더 개수에 비례한 점수를 준다. 후술하겠지만 이 점수는 역시 한 번 게임을 클리어해야 적용되며, 모드에 따른 보너스 보정도 받는다. 3.14 이하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5] Chitown에서는 아이콘은 있지만 클릭해도 '(Empty)'라는 글씨만 뜨고 상호작용을 할 수 없다.
처음에는 휴지통의 호감도가 그저 잘 돌봐주기만 하는 정도로 끝이었지만, 패치를 거듭하면서 호감도가 높을수록 플레이어에게 이득을 주는 효과가 하나둘 추가되어서 호감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해졌다. 계산기 팝업이 나타났을 때 스테이지에서 한 번 정답을 가르쳐주거나, 0.92 패치 이후 "팝업들아, 이리 오너라!(Pop-ups! Come here!)"라고 말하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 한정으로 기본 클리피들의 대사가 "휴지통이다!(BIN!)"로 바뀌면서 휴지통을 향해 이동한다. 클리피들이 닿아도 휴지통에는 아무런 영향이 가지 않으며, 나머지 클리피들에게 적용되지 않는 것은 아쉽지만 다른 팝업들을 처리하기 수월해지므로 상당히 강력하다.

이하는 하단 바에 있는 것들이다.


3. 게임 모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rogressbar95/게임 모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보너스 포인트[편집]



모든 보너스 포인트는 한 스테이지를 클리어한 후에 일괄적으로 주어진다. 때문에 아래의 ProgressDOS나 버그/깨진 픽셀 보너스를 얻으려면 반드시 한 번 스테이지를 클리어해 줘야 한다.

스테이지를 클리어하여 특정 스테이지에 도달하면 버전이 Professional → Expert → Master → Adept → Grand 순으로 승급하며, 현재의 등급에 따라 추가 클리어 점수를 얻는다.


4.1. 패턴[편집]


파란색과 주황색을 어떤 순서로 수집했냐에 따라 보너스 포인트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이 과제가 어려운 점은 파랑/주황 바를 1개 이상 먹어야 ?가 나오기때문에 파랑 1개를 먹고 분홍 -> ?를 먹어야 이 과제를 시작할 수 있다.

4.2. DOS(CMD) 보너스[편집]




4.3. 기타[편집]



업적에는 비밀 업적도 있다: Nonconformist, 5%, Pink is a new blue, NULL, ???, Outer space, Trash recursion, Catch eye, Don't panic!.


5. 업그레이드[편집]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주된 목표는 OS 사양까지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하며 OS를 설치하는 것.

일정 포인트를 모으면 자동으로 부품이 업그레이드된다. 업그레이드하는 부품은 사용자가 직접 정할 수 없고 순서가 정해져 있다. 게임을 진행하다가 이 포인트를 99% 이상 채우고 부품 업그레이드에 실패할 시 클리피가 등판하여 ':)))))' 라며 크게 비웃는다. 사실 단번에 업그레이드를 못해서 좀 화날 수도 있지만 한번 더 하면 거의 100%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으니 별 의미는 없다.


5.1. 부품[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rogressbar95/부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O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rogressbar95/OS#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치트[편집]


쉬움, 일반, 어려움, 타워디펜스 모드 한정으로 게임을 하다 보면 바탕화면에 갑자기 메모장이 생기는데, 이걸 클릭하면 PB로 시작하는 코드가 나온다. 이 코드는 한 스테이지 한정으로 플레이어를 도와주는 치트고, ProgressDOS(Progressbar 2000 이상 및 NOT 4.0/3.60은 ProgressCMD,Progressbar 81 이상은 ProgressShell,Progressbar 1X에서는 ProgressTerminal)에 입력할 수 있다.

한 스테이지 한정으로만 적용되기 때문에 클리어하기 어려운 후반부 스테이지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치트의 종류는 총 세 가지다. 각 종류별로 코드가 10개씩 있다. 참고로 이건 치트의 종류이므로 이걸 DOS(CMD)창에 입력한다고 치트가 적용되지는 않는다. 후술할 치트 목록에 있는 치트를 입력해야 한다.

치트 목록(접기/펼치기)
GodModeNoPopupsOnlyBlue
PB1PBPPNN5PBEULB
PBDQDPBPOPBLOCKPBSINE
PBJUMALPBPPPBLKPBNAVY
PBDIEVSPBNOPOPUPPBBLUE
PBDIAMDPBNPUPPBBLBL
PBJUMALAPBPAPCLIPPBKEK
PBZEU5PBNOPCLIPPBBLAU
PBDEUSEXPBSPRINGPBBEBEBE
PBISTENPBUPNOPPPBICE
PBEDOMDOGPB1POP1NPB0000FF
PBGDMDPBUPPOPNOPBBLU3
PBSYS32PBNPPPBBLLUU
PB1NEPBPOPPOPPBAZUL
PBG0DMD[1]PBBLOCK3PB00255
PBPOPUPNOPBGORM1
PBBLOO
PBONLYB1
PBBEBEBE
PBBLAH
PB81U3
치트는 총 49개이다.[2]
[1] PBGODMD와 햇갈리지 않게 주의[2] GodMode 14개, NoPopups 15개, OnlyBlue 20개.



7. ProgressDOS[편집]


ProgressDOS is a text-based adventure for advanced users (real 'hackers'!). By exploring directories you can find bonuses, cheats, easter eggs and other secrets.

Use DOS commands to explore directories. Type HELP and press Enter for a list of commands.

ProgresDOS는 전문가들을 위한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입니다(진짜배기 '해커'들용이죠!). 폴더를 탐색하면서 보너스와 치트, 이스터에그와 그 외 여러 비밀들을 찾아보세요.

DOS 커맨드를 사용해서 디렉토리를 둘러보실 수 있습니다. HELP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쳐서 사용 가능한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명령 첫 실행 시 클리피가 하는 말


도스 콘솔 창을 열어서 폴더들을 탐방하며 숨겨진 Bonus.exe, Easteregg.exe. Unknown.exe를 실행하거나, Cheats.txt 파일을 실행시키거나 삭제하거나, 시스템 코드나 색상 코드, 라틴어 코드를 입력하거나 해서 추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런 보너스 코드나 치트를 제공하는 파일들은 무작위 장소에 숨겨져 있는데, 보통 C 드라이브 자체, C:\\Progressbar\Temp 폴더, C:\\Documents 폴더에 몰려 있다.

버전업하면서 이름의 DOS가 'CMD(2000 이후 또는 NOT 4.0)', 'Shell(81 이후)', 'Terminal(1X)'로 변경되고 인터페이스도 조금 변하지만, 기능은 같다.

일부 폴더는 암호화가 되어 있다며 암호를 해제해야 진입할 수 있는데, HEX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폴더의 깊이에 따라 4x4~7x7칸의 두 자리 16진수가 펼쳐지는 보드가 나타나고 해당 보드에서 5개가 나와 있는 16진수를 입력하면 암호가 해제되는 동시에 500점의 추가 점수가 들어온다.

위의 보너스 포인트 문단에서 언급했듯 이 게임에서 획득한 보너스 점수들은 바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한 번 완료해야 적용된다. 그래서 하드코어 모드나 지뢰찾기/디펜스/Progresstein, 화면보호기/매트릭스 보너스도 모두 적용된다. 그래서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웬만하면 최대한 많은 보너스 점수를 획득하는 것이 좋다.

보너스나 이스터에그, unknown, 치트 텍스트나 암호화된 폴더는 게임 자체를 한 번 끄고 켤 때마다 리셋된다. 또한 이 모드에서 텍스트 파일을 삭제하면 휴지통에게 텍스트 파일을 먹인 것으로 간주된다.

무작위로 생성되는 폴더 구조는 생각보다 많이 복잡한 편이고 또한 빈 폴더가 많이 생성되는 편이므로 빈 폴더거나 쓸모 없는 텍스트 파일만 있는 것을 확인했다면 그 폴더를 확인하는 대로 지워주어야 차후 다른 보너스 점수를 획득하기 편하다.

Progressbar 2 이전 버전에서 ProgressDOS를 실행시켜 보면 드라이브 경로가 A로 지정되어 있는데, 이는 2.x 버전까지만 하더라도 윈도우가 플로피 디스크로 구동하는 쉘 프로그램이었음을 반영한 것이다.

BarOS에서는 'Filer'라는 프로그램으로 대체되는데, MacOS의 탐색기인 'Finder'를 패러디한 것이다. ProgressDOS와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7.1. 무작위 폴더 명칭[편집]


보너스가 숨겨진 폴더들 명칭 역시 무작위이지만 패턴이 정해져 있으며, 패러디 게임답게 이 중 CON이나 AUX 등 9x 계열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폴더명도 함께 섞여 있다.
알파벳순으로 작성하며, 특수문자는 알파벳보다 앞에 표시한다.



7.2. 명령어[편집]


대부분 DOS 명령어에서 가져왔지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는 극히 제한되며, 이 게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도 있다.

8. 메일함[편집]


Progressbar 95 Plus부터 사용 가능한 기능이다.

게임을 켜놓은 상태에서 무작위로 메일이 날아오는 경우가 있으며, 이 메일에 회신을 해주거나 지울 수 있다. 몇몇 메일은 스팸메일로 판정되며, 이 경우는 'Spam'이라는 버튼을 눌러 즉시 삭제할 수 있다.(스팸메일이 아니면 '스팸메일이 아닙니다!'라는 경고가 뜨고 휴지통에게 먹이를 준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다.) 메일을 평범하게 지우든 스팸 판정으로 지우든, 휴지통에게 먹이를 준 것으로 판정된다.

일부 메일은 조건을 만족하면 보너스 포인트를 첨부 파일의 형태로 주고, 스팸메일을 삭제해도 삭제한 메일 장수에 비례하여 보너스 포인트를 준다. 이 보너스 포인트 역시 한 번 게임을 플레이해야 적용된다.

모든 메일 공통으로 답신은 둘 중 하나를 보낼 수 있다.

이스터에그가 하나 숨겨져 있다. 포인트가 첨부된 메일에 있는 작은 클립 아이콘을 누르면 클리피가 나타나서 "제 아이예요!"라고 말한 뒤, 그 작은 클립이 "사랑합니다!"라고 말하고는 클리피와 함께 화면 위로 사라진다. BarOS에는 이 이스터에그가 없다.

0.92 패치로 각 메일에 송신인별로 아이콘이 생겼다.

KP009500 업데이트 이후로 부품 목록에 모뎀이 설치되어야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메일이 통신을 통해 보내는 편지라는 개념을 생각하면 현실에 가까워졌지만 부품을 얻어야 하므로 다소 귀찮아지긴 했다.

8.1. 메일 종류[편집]


스팸으로 판정되는 메일은 @ 표시.

하루에 한 번 게임을 실행할 때 반드시 온다. 500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준다.
스팸메일과 함께 가장 자주 보게 될 메일 수신인. 패턴은 두 종류이다.
"업무 언제 끝나나?", "지금 Progressbar95 하고 있는 거 아니지?" 두 종류의 메일이다. 이 메일이 오면 '결과물 곧 보내드리겠습니다.'라고 회신해야 하며, 두 번째로 "언제 가능하나?"는 질문이 오면 "내일 제출하겠습니다."라고 대답하면 된다. 이렇게 두 차례 성공적으로 회신하면 무척 만족스러워하며 1000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준다.
첫 번째 메일에서 'Progressbar95 하는 중입니다.'라고 대답하면 의외로 직장 상사가 좋아하며 100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주는데, 업무 중이라는 대답을 고르는 것이 여러모로 이득이다.
"평생동안 일하지 않겠나?"라는 질문을 해대는데, 할 수 있는 대답이 '꺼져주시죠!' 아니면 'Progressbar95 하는 중입니다.'이다. '꺼져주시죠!'라고 대답하면 "자네 장난하나? 나 자네 상사라고!"라고 답신이 온다. 이 다음에 '죄송합니다.'라고 대답해야 불이익이 없으며, 또 꺼져달라는 말을 하면 해고를 통지하고 게임을 실행하는 동안 두 번 다시 메일이 오지 않는다. 반면, 'Progressbar95 하는 중입니다.'라고 대답하면 100점의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
KP008800 업데이트로 추가된 메일. 급하다면서 둘 중 하나의 질문을 하며, 올바른 정답을 고르면 종종 250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준다. 모든 메일들 중 최초로 3개의 답신 중 하나를 골라서 답변할 수 있다.
모든 글씨가 물음표로만 나온다. 특정 답변으로 두 번 회신하면 2000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주는 경우가 있다.
PC 자주 꺼져서 불편하지 않느냐, 컴퓨터 재시작 자주 해 보았느냐고 묻는다. 아무 이득도 없는데 스팸메일도 아니라서 일반 지우기를 하는 것이 좋다.
"친절하게 대답해주면 보너스를 드릴게요."라는 메시지를 보낸다. "보너스를 받아도 되겠니?"라고 대답하면 500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준다.
미니게임을 제안하는데, 답신으로 수락하면 말 그대로 메일을 통해서 일반 모드를 즐길 수 있다. 조각은 청색과 적색의 두 종류만 날아오며, 선택 가능한 답신도 '잡기', '피하기'의 두 종류이다. 청색 조각 하나당 10%를 채우고, 적색 조각을 채우면 미니게임이 종료되었다는 회신이 오며 다시 할 수 있다. 100%를 모두 채우면 2000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준다.
클리피라는 이름에서 눈치챌 수 있듯 스팸메일이다. 2000점의 포인트를 달라고 요구하며, 주겠다고 답신하면 :)))))라는 이모티콘을 띄운 제목으로 비웃으며 "걸렸구나, 바보 녀석!"이라며 플레이어를 조롱한다. '이 사기꾼아!', '포인트 내놔!'라고 답신할 수 있지만 당연히 답신은 없으며, 다행히 불이익은 없다.
매우 낮은 확률로 답신했을 때 5000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줄 때가 있다. 그러면서 남을 함부로 믿지 말라고 설득력 없는 설득을 하는 것은 덤이다. 물론 확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스팸 처리로 삭제하는 것이 보통이다.
두 메일 모두 스팸메일이며 종종 보너스 포인트라도 주는 클리피와는 달리 이 쪽은 정말 답신해도 아무런 이득도 없다. 보는 즉시 가차없이 스팸 처리로 삭제해야 한다.

9. 달력[편집]


KP008800 업데이트로 추가된 기능으로, 매일마다 다양한 보너스를 제공한다. 현재까지 발견된 보너스는 다음과 같다.

10. PC 버전[편집]


2020년 9월 초에 PC로 이식되었으며, Steam에서 구매할 수 있다. 모바일 버전과의 차이점이라면 초기에는 유료인 대신 상점(인앱 구매) 기능이 완전히 삭제되었으며 일부 운영체제를 잠금해제하는데 필요한 요구사항이 바뀌고 요구사항을 충족하면 원래 상점에서 구매해야 했던 3D 스크린세이버와 매트릭스 모드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Progressbar95의 요구 사양
항목최소 사양권장 사양
CPU1 GHz 이상1.3 GHz 이상
RAM1GB 이상8GB 이상
운영체제Windows 10, 8.1, 8, 7, Vista, XP SP3
디스크 공간150MB 이상의 여유 공간250MB 이상의 여유 공간
그래픽OpenGL 2.1OpenGL 4.0
DirectX버전 9.0버전 10

10.1. 모딩[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rogressbar95/모딩#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업데이트 로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rogressbar95/업데이트 로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평가[편집]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종합 평가최근 평가
압도적으로 긍정적 (95%)
(1,272)
매우 긍정적 (95%)
(61)
기준일: 2022-12-13




파일:Google Play 로고.svg파일:Google Play 로고 화이트.svg
총 평점:
(2022-12-13 기준)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총 평점:
(2022-12-13 기준)




13.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08:41:56에 나무위키 Progressbar9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질문들 중에는 '클리피하고 나 중에 누가 더 좋아?'처럼 플레이어들이 동조해 줄 만한 질문을 하는 한편(이 때는 '물론 너지. 클리피는 짜증나!'고 대답해 주면 호평을 받는데, 플레이어들도 오피스 97~2000을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오피스 길잡이의 악명이 워낙 높기에 쉽게 공감할 수 있다.) '외로워…'처럼 관심이나 답정너식 대답을 바라는 듯한 질문도 한다.[2] 가끔 잘때 악평을 계속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때는 악몽을 꾸고있는 것이니 빨리 깨워야 한다. 깨우면 좋은 평판을 받는다.[3] 먹이면 휴지통이 "Fair Play"(cheats.txt),"flavorful","tasty!",nom nom!"이라고 한다.[4] UTC 기준 자정[5] 실제 휴지통Windows 95에 처음 생겼다. 다만, BarOS는 첫 버전부터 휴지통이 존재한다.[6] 사용 가능한 언어는 12가지로,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튀르키예어, 우크라이나어, 일본어가 있다.[7] 하지만 모드에서 한국어로 os이름을 설정하면 멀쩡히 잘나온다.[8] 음양 보너스 1000점, 완벽한 조화 보너스 5000점[9] 음양 보너스에서 1000점, 얼룩말 보너스에서 5000점[10] 좌우 대칭 보너스 1500점 + 튜브 보너스 2000점[11] 좌우 대칭 보너스 1500점 + 안티 튜브 보너스 4000점[12] 95의 모스 부호이다.[13] 이 때 주의할 점은 분홍색으로 채우다가 분홍색을 제외한 다른것, 아무 효과가 없는 회색 바조차 먹으면 모두 초기화되니 신경 써서 플레이 해야한다.[14] 퍼펙트 보너스 1000점 + 분홍색은 새로운 파란색 보너스 3000점[15] 이 때 주의할 점은 회색으로 채우다가 회색을 제외한 다른 세그먼트에 닿기만 해도 초기화되니 주의.[16] 퍼펙트 보너스 1000점 + NULL 5000점[17] 좌우 대칭 보너스 1500점 + 두 줄 무늬 보너스 5000점[18] 퍼펙트 보너스 1000점 + ??? 보너스 무작위 점수 [19] 코드 가독성을 위해 COLOR 0F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20] 200번 누르고 실행[21] System32를 삭제하는 경우, 차례대로 y->y->y->y->n을 입력해야 한다.[22] PC판에서도 해당 메시지가 뜨긴 하지만, 2000 이후 OS처럼 게임 자체가 종료된다.[23] https://youtu.be/WEB1gmozn74[24] 가끔 다른 선지가 정답일 때가 있다.[25] 이쪽도 마찬가지로 다른 선지가 정답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