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HE 세계 대학 랭킹

덤프버전 :



파일:THE 랭킹 로고.png

The Times Higher Education(THE) Ranking.
1. 개요
2. 특징
3. 비판
4. 평가 지표
5. 랭킹 종류
5.1. 세계 대학 랭킹
5.1.1. 국내 랭킹
5.1.2. 아시아 지역 랭킹
5.2. 대학 영향력 랭킹
5.3. 중국 과목별 랭킹
5.4. 일본 대학 랭킹
5.5. 유럽 교육력 랭킹
5.6. 미국 대학 랭킹


1. 개요[편집]


홈페이지 위키피디아

영국 런던의 신문사 The Times 에서 발행하는 고등 교육 관련 주간지 The Times Higher Education[1]에서 발행하는 연간 고등 교육기관 평가. THE Ranking 이라고도 불린다.



2. 특징[편집]


  • THE가 제시한 방법론(methodology)에 따르면 네덜란드 엘스비어의 SCOPUS를 이용해서 인용지수를 평가한다.[2]

  • 전체 평가 지표 중 34.5%가 설문조사를 통한 평판 조사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전체에서 30%의 비중을 차지하는 연구 항목에서 연구자에 의한 평가가 19.5%인데 이것이 '''설문조사를 통한 평판 조사이고,[3]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 부분에서도 설문조사를 통한 정성 평가가 15퍼센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할 뿐더러 그 외의 다른 부분들 역시 대학쪽이 정책을 유도하여 점수를 올릴 수 있는 항목들로 적잖게 채워져 있는 것을 평가 항목을 통해 알 수 있다.

3. 비판[편집]


  • 톰슨 로이터 사의 SCISCIE가 아닌 SCOPUS를 운용하는 엘스비어 사에서 자료를 받아서 평가한다는 점에서 논문 인용 지수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 SCOPUS는 주로 제3세계[4] 의 학자들이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과학분야에서 국제적으로 권위가 높은 학술지들이 SCI에 포진해 있다는 점에서 THE의 방법론으로 조사한 연구력 평가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는 없다는 비판이 있다.[6]

  • 그런데 이런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THE의 논문 인용지수가, 설상가상으로 다른 랭킹 기관에 비해 상당히 합산 점수 비중이 높아[7], 교수 개인의 역량이 전체적인 순위 지표에 지나치게 영향을 주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실제로 랭킹을 보면, 어떤 해에는 랭킹이 엄청나게 상승했다가 그 다음 해가 되면 다시 엄청나게 하락하는 대학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것 역시 그 대학에 재직 중인 어떤 교수의 논문이 잠시동안 히트를 쳤다는 의미이다.

  • 이런 허점을 이용해, 쉽게 랭킹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서, SCOPUS로 h 인덱스가 높은 교수를 집중적으로 스카웃하거나 교수들을 압박해서 THE의 기준에 맞출 수 있도록 '맞춤식 대응'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대학평가들의 점수를 끌어올린다. 여기다가 다른 항목들인 연구 평판, 국제화 지수, 교원수를 끌어올리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을 함께 동원하면 거의 평가비율의 80퍼센트에 육박하기에 이러한 '맞춤식 대응'으로 순위를 끌어올릴 수 있다.[8] 후술할 '평가기관의 돈벌이' 역시 평가기관이 이러한 것들을 알려주고 지도하는 컨설팅이 주 수입원이다.

  • 국제 관련 지표의 항목은 서구권, 특히 영미권 대학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비판이 있다.[9] 즉 특정 대학교들이 해외 유학생들을 정책적으로 유도하여 머리수를 늘리면 국제화 항목 점수가 일시적으로 늘어나서 순위가 상승하는 구조. 때문에 영미권 대학을 실제 대학원 연구실적과 학부생 수준에 비해 과대평가하는 면이 크다.

  • 이러한 국제화 관련 지표는 아시아권 내에서만 비교해 보아도 문제점이 드러나는데, 아시아의 주요 국가들인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은 기본적으로 공용어가 영어가 아니며 아직은 한 가지 민족이 사회 구성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가이기에 기본적으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교원이나 유학생 등의 외국인을 유치하기 쉬운 환경이 아니다. 그에 반해 국제국가/도시들인 싱가포르, 홍콩 등의 소재 대학 등은 영어가 공용어거나 수업을 영어로 하며 다인종국가이므로, 외국인 교원 비율, 유학생 비율에서 압도적으로 유리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공정하게 대학의 수준만이 비교가 될 리 없다.

  • 평가기관의 '돈벌이' 즉, 평가기관의 사업의 성격을 띄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여러 범주의 대학순위를 발표해 추후 대학의 순위 개선 방안, 순위 상승 방법을 지도해 주며, 이와 연계한 유료 세미나/컨설팅 등에 대학이 참가하게 만들어, 자신들의 더 많은 수익 창출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것.[10]


4. 평가 지표[편집]


  1. 교육 (30%)
    • 연구자에 의한 평가 15%
    • 교원당 학부 학생 수 4.5 %
    • 학사수여 수당 박사수여 수 비율 2.25%
    • 교원당 박사수여 수 6%
    • 교원당 수입 2.25%
  2. 논문인용 (32.5%)
  3. 연구 (30%)
    • 연구자에 의한 평가 19.5%
    • 교원당 연구수입 5.25%
    • 교원당 논문 수 4.5%
    • 연구 수입 중 공적자금의 비율 0.75%
  4. 국제 (5%)
    • 외국인 교원 비율 3%
    • 외국인 학생 비율 2%
  5. 산학협력 (2.5%)
    • 교원당 산학협력 수입 2.5%


5. 랭킹 종류[편집]



5.1. 세계 대학 랭킹[편집]


World University Rankings

가장 보편적인 랭킹이다. 자세한 설명은 위 항목 참조.

2024년 세계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순위대학명국가
1옥스퍼드 대학교
파일:영국 국기.svg

2스탠퍼드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3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4하버드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5케임브리지 대학교
파일:영국 국기.svg

6프린스턴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7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8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파일:영국 국기.svg

9UC 버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10예일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11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12칭화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13시카고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14베이징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15존스 홉킨스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16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17컬럼비아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18UCLA
파일:미국 국기.svg

19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코넬 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21토론토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2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23미시간 대학교
24카네기 멜런 대학교
25워싱턴 대학교
26듀크 대학교
27뉴욕 대학교
28노스웨스턴 대학교
29도쿄대학
30에든버러 대학교
뮌헨 공과대학교
32난양 공과대학교
33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34UC 샌디에이고
35홍콩대학
36조지아 공과대학교
37멜버른 대학교
38킹스 칼리지 런던
뮌헨 대학교
40PSL 대학교
41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42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43상하이교통대학
44푸단대학
45뢰번 가톨릭 대학교
46런던 정치경제대학교
47하이델베르크 대학교
48델프트 공과대학교
49맥길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50카롤린스카 의과대학교

2023년 세계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3년 세계 순위
순위대학명국가
1옥스퍼드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하버드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케임브리지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스탠퍼드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6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7프린스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8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9예일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0임페리얼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1컬럼비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3시카고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4펜실베이니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5존스 홉킨스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6칭화대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7베이징대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8토론토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9싱가포르 국립대학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0코넬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1UCLA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2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3미시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4뉴욕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5듀크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6노스웨스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워싱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8카네기 멜런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9에든버러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0뮌헨 공과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31홍콩대학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32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캠퍼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3뮌헨 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34멜버른 대학교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5킹스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6난양 공과대학교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37런던 정치경제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8조지아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9도쿄대학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40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41로잔 연방 공과대학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42뢰번 가톨릭 대학교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43하이델베르크 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44모내시 대학교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45홍콩중문대학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46맥길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47PSL 대학교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48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9카롤린스카 대학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50텍사스 대학교 오스틴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2년 세계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2년 세계 순위
순위대학명국가
1옥스퍼드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하버드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스탠퍼드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케임브리지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7프린스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8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9예일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0시카고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1컬럼비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2임페리얼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3존스 홉킨스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5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6베이징대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칭화대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8토론토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UCLA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1싱가포르 국립대학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2코넬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3듀크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4미시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6뉴욕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7런던 정치경제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8카네기 멜런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9워싱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0에든버러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홍콩대학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32뮌헨 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33멜버른 대학교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4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캠퍼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5킹스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도쿄대학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7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8뮌헨 공과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39카롤린스카 대학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40로잔 연방 공과대학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PSL 대학교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42하이델베르크 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뢰번 가톨릭 대학교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44맥길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45조지아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6난양 공과대학교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47텍사스 대학교 오스틴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8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9홍콩중문대학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50맨체스터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21년 세계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1년 세계 순위
순위대학명국가
1옥스퍼드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스탠퍼드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하버드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6케임브리지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7UC 버클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8예일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9프린스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0시카고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1임페리얼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2존스 홉킨스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3펜실베이니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4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5UCLA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6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7컬럼비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8토론토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9코넬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듀크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칭화대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2미시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3베이징대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4노스웨스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5싱가포르 국립대학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6뉴욕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7런던 정치경제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8카네기 멜런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9워싱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0에든버러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1멜버른 대학교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2뮌헨 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33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캠퍼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4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5킹스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6카롤린스카 대학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도쿄대학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8조지아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9홍콩대학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40맥길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41뮌헨 공과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42하이델베르크 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43로잔 연방 공과대학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44텍사스 대학교 오스틴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5뢰번 가톨릭 대학교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46PSL 대학교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47난양 공과대학교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48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9위스콘신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0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0년 세계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0년 세계 순위
순위대학명국가
1옥스퍼드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케임브리지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4스탠퍼드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6프린스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7하버드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8예일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9시카고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0임페리얼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1펜실베이니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2존스 홉킨스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3UC 버클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5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6컬럼비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7UCLA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8토론토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9코넬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듀크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1미시간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2노스웨스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3칭화대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4베이징대학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5싱가포르 국립대학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6워싱턴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7카네기 멜런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9뉴욕 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0에든버러 대학교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1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캠퍼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2뮌헨 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멜버른 대학교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4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5홍콩대학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36킹스 칼리지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도쿄대학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8로잔 연방 공과대학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조지아 공과대학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1카롤린스카 대학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42맥길 대학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43뮌헨 공과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44하이델베르크 대학교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45뢰번 가톨릭 대학교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PSL 대학교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47홍콩과기대학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48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9난양 공과대학교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50호주국립대학교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5.1.1. 국내 랭킹[편집]


세계 대학 랭킹에서 한국 대학의 데이터만 뽑아낸 순위.

2024년 국내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4년 국내 순위
국내 순위세계 순위[참고]대학명
162서울대학교
276연세대학교
383한국과학기술원
4145성균관대학교
5149포항공과대학교
6199울산과학기술원
7201-250고려대학교
8251-300경희대학교
세종대학교
10301-350한양대학교
11351-400대구경북과학기술원
12401-500광주과학기술원
중앙대학교
14501-600경북대학교
부산대학교
아주대학교
울산대학교
18601-800가톨릭대학교
건국대학교
영남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22801-1000서강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충남대학교
281201-1500강원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숭실대학교
인천대학교
제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충북대학교
한림대학교
391501+국민대학교
[참고] 같은 세계 순위의 대학교는 가나다순으로 교명이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정렬 순서가 순위가 아님에 유의.

2023년 국내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3년 국내 순위
국내 순위세계 순위대학명
156서울대학교
278연세대학교[1]
391한국과학기술원
4163포항공과대학교
5170성균관대학교
6174울산과학기술원
7201-250고려대학교
8251-300경희대학교
세종대학교
10401-500한양대학교
11501-600광주과학기술원
12601-800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울산대학교
16801-1000이화여자대학교
경북대학교
영남대학교
191001-1200전남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부산대학교
서강대학교
241201-1500가톨릭대학교
조선대학교
충북대학교
충남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한림대학교
인천대학교
제주대학교
강원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숭실대학교
371501+국민대학교
[1] 73계단 상승


2021년 국내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0년 국내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1년 & 2020년 랭킹 비교(국내) [ 펼쳐 보기 / 접기 ]
파일:the 2021.jpg


5.1.2. 아시아 지역 랭킹[편집]


아시아 지역 랭킹에서 한국 대학의 데이터만 뽑아낸 순위.

2021 국내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2020 국내 대학 랭킹 [ 펼쳐 보기 / 접기 ]


5.2. 대학 영향력 랭킹[편집]


Impact Rankings

유엔에서 정하는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에 대응하는 실력을 평가하는 대학 랭킹이다.

빈곤, 기아, 웰빙, 교육력, 성평등 등, 17가지 항목별로 순위를 매기고 있다.


5.3. 중국 과목별 랭킹[편집]


China Subject Rankings

중국의 대학에 대한 해외 평가자들의 평가를 기반으로 매기는 랭킹이다.

티칭 (the learning environment); 연구 (volume, income and reputation); 인용 (research influence); 국제성 (staff, students and research); 산학 연계 수입 (knowledge transfer)의 5가지 항목을 평가한다.


5.4. 일본 대학 랭킹[편집]


Japan University Rankings

일본 대학의 순위를 150위 까지 매긴다. 일본의 교육사업 그룹인 베네세와 함께 측정하고 있다.

THE 일본 대학 랭킹의 평가항목에는 대학원이나 연구 실적은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11] 오직 학부만을 보고 평가하기 때문에 국제교양대학과 같이 학부뿐인 리버럴 아츠 칼리지도 10위 안에 드는 등, 학부의 교육력만을 평가하는 순위이다.







5.5. 유럽 교육력 랭킹[편집]


Europe Teaching Rankings

유럽 교육기관의 교육력과 교육 환경을 기준으로 대학 순위를 매기는 대학 랭킹이다. 다만 2022년 기준, 평가를 중단하여 더 이상 갱신되지 않는다.


5.6. 미국 대학 랭킹[편집]


US College Rankings

미국 대학을 15개 항목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다. 월스트리트 저널과 함께 측정하고 있다.



[1] 원래 더 타임즈 고등교육(The Times Higher Education)은 QS와 파트너였지만 2009년 10월 30일에 결별했다.[2] SCOPUS는 주로 제3세계의 학자들이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과학분야에서 국제적으로 권위가 높은 학술지들이 SCI에 포진해 있다는 점에서 THE의 방법론으로 조사한 연구력 평가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 물론 IF자체만을 가가지고도 연구력을 평가할 수 없다는 것 역시 만만치 않은 반론으로서 존재한다. 그래서, 최근에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SCI 논문 수, IF, H-Index, G-Index등 여러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점수를 매겨 연구부분의 교수임용이나 승진점수에 반영하자는 추세이다. 즉 ARWUCWTS를 비롯한 대학평가들 역시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IF 항목 참조.[3] THE가 대외적으로 홍보할 때 QS와의 차별점이라고 강조하는 것이 '객관적인 연구평가'인데 연구항목 30%에서 이런 설문조사를 통한 평판이 무려 19.5%나 차지한다는 점은 홍보와 모순되는 점이다. 물론 일반적인 대중이 이러한 대학평가에 대한 반발하는 이유 중 하나인 "납득가지 않는 순위"의 핵심이 각자가 생각하는 각 대학에 대한 인식임을 고려한다면 평판을 고려하지 않는 대학평가는 존재하기 힘들다는 반론도 가능하다. 특히 학사든 박사든 학벌은 결국 그 사람의 브랜드다. 괜히 '간판'이라 불리는 것이 아니며, 학생들이 진학을 결정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역시 "이 대학을 졸업하면 나는 어떤 평가를 받을 것인가"이고, 교수들의 이직 역시 대학의 평판이 생각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어느 학교를 졸업한 학생인가"와 "어느 학교에서 연구하는 학자인가"가 대학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질문들에 분명 포함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THE나 QS의 시도는 이리저리 무질서하게 산개되어 있는 개개인들과 학계의 인식을 비교적 표준화된 기준으로 수집하여 평가에 반영하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4] 남아메리카, 동남아시아, 싱가포르, 인도, 북유럽 등. 심지어 검색 가능한 문헌 중 50% 이상이 유럽권, 남미권, 아시아권 논문이라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이다.[5] 2018년 기준으로 79.258이다.링크 그런데, 이는 네이처, 사이언스 등 대중적으로 유명한 학술지에 비해 무려 30점~40 가량이 높은 점수이다.NEJM IF[6] 단적으로 의학에서는 NEJM, LANCET, 네이처, 사이언스 등을 꼽는데 그중에서도 NEJM의 IF는 무려 79이다.[5] 그런데 SCI도 아닌 SCOPUS만을 가지고 인용을 평가한다는 것은 연구력 중심 대학평가에 적합하지 않다.[7] THE는 이런 IF 항목이 전체 32.5%나 된다.[8] 대학쪽이 점수에 맞춰서 대응하여 순위를 억지로 끌어올릴 수 있는 외적요소가 존재하며 이로 인해 객관적인 평가라고는 보기 어렵다.[9] 게다가 여타 랭킹들에 비해 유럽 대학들의 순위가 높은 편.[10] 참고 기사 기사 내용의 <THE 세계대학 학과별 순위.. 세계대학순위와 지표 동일, 가중치 조정>[11] 기존의 QSARWU를 포함한 3대 세계 대학 랭킹은 연구실적도 평가항목에 들어갔기 때문에 학부 중심의 대학은 저평가된다는 의견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