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he Fat of the Land

덤프버전 :

The Fat of the Land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NME.png
NME 선정 댄스 음악을 영원히 바꾼 40대 앨범
[ 펼치기 · 접기 ]

※ 2014년 7월 3일 NME가 선정한 "댄스 음악을 영원히 바꾼 40대 앨범"의 리스트이다.
1위2위3위4위5위
파일:81.kraftwerk_transeuropeexpress_151013.jpg
파일:1977_low.jpg
파일:2014DonnaSummer_IRememberYesterday040714.jpg
파일:2014PhilipGlass_EinsteinOnTheBeach040714.jpg
파일:211.GraceJones_NightClubbing_151013.jpg
크라프트베르크데이비드 보위도나 서머필립 글래스 & 로버트 윌슨그레이스 존스
Trans Europa ExpressLowI Remember YesterdayEinstein On The BeachNightclubbing
6위7위8위9위10위
파일:Pauls_Boutique.jpg
파일:Bluelines.jpg
파일:ab67616d0000b27339180b45808493a1f687c91d.jpg
파일:2014JeffMills_WaveformTransmissionVol.01_040714.jpg
파일:Underworld.dubnobasswithmyheadman.jpg
비스티 보이즈매시브 어택프라이멀 스크림제프 밀스언더월드
Paul's BoutiqueBlue LinesScreamadelicaWaveform Transmission Volume 1Dubnobasswithmyheadman
11위12위13위14위15위
파일:6.2013_Leftfield_Leftism_281013.jpg
파일:2014Goldie_Timeless040714-1.jpg
파일:4 0-1 screenshot.png
파일:d968c68e56244908c9c5d7016cfa60d0.webp
파일:DigYourOwnHole_1997.jpg
레프트필드골디에이펙스 트윈DJ 섀도우케미컬 브라더스
LeftismTimelessRichard D. James AlbumEndtroducing.....Dig Your Own Hole
16위17위18위19위20위
파일:external/cdn-images.deezer.com/500x500-000000-80-0-0.jpg
파일:prodigy2.jpg
파일:rs-137632-f622b50b76d3c917c4a38ac978817b2e26838790.webp
파일:2014PaulOakenfold_Tranceport040714.jpg
파일:2014AmonTobin_Permutation_040714.jpg
다프트 펑크더 프로디지팻보이 슬림폴 오켄폴드아몬 토빈
HomeworkThe Fat of the LandYou’ve Come A Long Way, BabyTranceportPermutation
21위부터는 NME 선정 댄스 음악을 영원히 바꾼 40대 앨범 문서 참조

같이 보기: NME 선정 500대 명반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33위
1998년}}}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33위
2000년 269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StuBru_logo.png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000,#fff 152위
2014년}}}

파일:StuBru_logo.png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2014년 152위
2015년 212위
2016년 231위
2017년 243위













The Fat of the Land
파일:prodigy2.jpg
발매일1997년 6월 30일
녹음일1995년 ~ 1997년
장르빅 비트, 브레이크비트, 일렉트로닉 힙합
재생 시간56:21
곡 수10곡
프로듀서리엄 하울렛
레이블XL Recordings

1. 개요
2. 트랙리스트
3. 평가
4. 기타



1. 개요[편집]


영국의 밴드 프로디지의 정규 3번째 앨범. 앨범 이름은 잘 먹고 잘 산다는 뜻을 가진 영어 표현 live off the fat of the land에서 따왔으며 앨범 커버에 가 있어서 명반으로도 불린다.


2. 트랙리스트[편집]


트랙리스트
#제목길이
1Smack My Bitch Up5:42
2Breathe5:35
3Diesel Power4:17
4Funky Shit5:16
5Serial Thrilla5:11
6Mindfields5:40
7Narayan9:05
8Firestarter4:40
9Climbatize6:38
10Fuel My Fire4:19


3. 평가[편집]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OK Computer,
전번_아티스트=라디오헤드,
이번_앨범=The Fat of the Land,
이번_아티스트=프로디지,
1위_기간=6주 연속,
후번_앨범=White On Blonde,
후번_아티스트=텍사스)]
파일:RIAA 플래티넘2.png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2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2,000,000 단위 이상




프로디지 커리어 사상 최고의 명반으로 평가받고 있는 앨범으로, 매우 많은 호평을 받은 2집 이상의 평단의 극찬을 받았다. 또한 공식적으로 10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해, 현재까지 일렉트로니카 장르 단일 음반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으로 기록될 정도로 대중적으로도 엄청난 흥행을 일으켰다.

발매하자마자 전 세계 국가들의 음반 차트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고 # 동시에 빅 비트 열풍을 몰고 왔다. 특히 영국과 북미에서는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켜, 당시 마찬가지의 압도적인 찬사로 Official Charts에서 2주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던 라디오헤드 최고 명반인 OK Computer를 바로 끌어내고 6주 동안 점령했고, 빌보드 차트 1위였던 스파이스 걸스spice를 끌어내버렸다.

싱글 컷된 'Breathe'는 전세계에 300만 장이 팔리는 그야말로 프로디지를 알리는 대열풍을 몰고왔다. 국내에서도 TV프로그램에서 자주 BGM으로 써먹기도 하였다. 'Smack My Bitch Up'[1]은 영화 미녀 삼총사에 수록되었으며, 'Mindfields'는 영화 매트릭스에 수록되었다.

하지만 그보다도 가장 충격을 가져다 준 곡은 8번 트랙에 수록된 Firestarter라고 할 수 있다. 특징적인 일렉트릭 기타 솔로로 시작하는 이 곡은, 록 음악일렉트로니카의 완벽한 융합이라는 새로운 메시지를 던져 줬으며, 당시 활동하던 뉴메탈일렉트로니카, 하드코어 밴드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미국 하드락 밴드 키스의 진 시몬즈가 솔로 앨범 2집에서 커버하기도 했다. 이 싱글 또한 미국 내에서만 50만장이 팔려, RIAA 골드를 획득했다.


4. 기타[편집]


  • 노엘 갤러거가 Smack My Bitch Up을 부르는 영상이 있다.# 다만 원곡과의 분위기가 차이가 난다.

  • 2016년 8월 14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시카고 컵스의 경기에서 아롤디스 채프먼이 9회초를 막고 내려갈 때 장내 DJ가 <Smack My Bitch Up>을 틀어 논란이 됐다. 시즌 전에 여자친구 폭행 혐의로 30경기 출전정지 처분을 받았던 채프먼인지라 이 곡의 선곡은 의미심장했다.[2] 컵스 구단 측은 '의도성은 없었다'며 재빨리 해명문을 올렸고, 해당 DJ는 해고되었다.

  • 피치포크에서 첫 리뷰할 때는 7.9점으로 그럭저럭 평범한 점수를 줬으나 다시 리뷰할 때는 이 앨범의 평가와는 정 반대로 5.9점이라는 더 낮은 점수를 줬다. 다만 평론 내용이 음악과 전혀 상관 없는 이야기들로 채워져있으며, 첫 트랙인 'Smack My Bitch Up'등을 물고 늘어지며 해당 앨범이 다시 남성우월주의를 일으켰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


[1] 유투브에서 이 노래를 검색할 시 특정단어 때문에 *표시가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2] 단 채프먼은 물리적인 폭력을 가하지는 않았고, 차고 안에서 권총을 쏜 것이 문제가 되었다. 결국 무혐의로 풀려났고 징계도 가정폭력 징계 치고는 경미한 수준인 30경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