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YB-35

덤프버전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군 항공병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항공기
전투기
육군 전투기
P-26 피슈터, 세버스키 P-35, P-36 호크, P-39 에어라코브라, P-63 킹코브라, P-66 뱅가드, P-40, P-43 랜서, P-47 썬더볼트, P-50, P-51 머스탱, P-55 어센더, P-75 이글,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Mk V/VIII/IX/XI
함재기/해병전투기
BF2C, F2A 버팔로, F9C 스패로호크, F4F 와일드캣, F4U 콜세어, F6F 헬캣, XF5F 스카이로켓, F5U 플라잉 팬케이크, F7F 타이거캣, F8F 베어캣
쌍발전투기
P-38 라이트닝, P-61 블랙위도우, XP-58 체인 라이트닝, XFM/YFM-1 에어라쿠다
제트기/혼성동력기
FR-1 파이어볼, P-80 슈팅스타, FH 팬텀A, P-81, P-59 에어라코메트, XP-79 플라잉 램A
뇌격기TBD 데버스테이터, TBF(M) 어벤저, XTB2D 스카이파이렛
폭격기
공격기/급강하 폭격기
SB2C 헬다이버, SBD 돈틀리스, BTD 디스트로이어, A-20, A-26 인베이더, A-29, SB2A 버커니어(A-34), A-35, A-38A, SB2U 빈디케이터, A-1 스카이레이더A, A2D 스카이샤크A, 카이저-플리트윙스 XBTK, XA-41
중형 폭격기
B-10, B-18 볼로, B-34 렉싱턴, B-25/PBJ 미첼, B-26 머로더, B-57 캔버라A/N
중폭격기
B-17 플라잉 포트리스, B-24/PB4Y 리버레이터, B-29 슈퍼 포트리스N, B-32 도미네이터, B-35/B2T 플라잉 윙N, B-36 피스메이커A/N, B-49 플라잉 윙N
수상기OS2U 킹피셔, SOC 씨걸, SO3C 씨뮤, SC 씨호크, 네이벌 에어크래프트 팩토리 PN 시리즈
비행정PBY 카탈리나, PB2Y 코로나도, PBM 마리너, 휴스 H-4 허큘리스
대잠초계기PV-2 하푼, P2V 넵튠A
회전익기R-4
비행선아크론급, K급
수송기C-46 코만도, C-47 스카이트레인, C-54 스카이마스터, C-97 스트라토프레이터
연락기L-1, L-2 그래스호퍼, L-3 그래스호퍼, L-4 그래스호퍼, L-5 센티넬
훈련기T-6 텍산, P-64
노획 항공기Ki-61 토니, Ki-43 오스카, Ki-84 프랭크, A6M2 지크, J2M 잭, G8N 리타A, Ki-96A, J1N 어빙A, J7W1 신덴A, J9Y 킷카A, MXY-7 바카A, Bf 109 F-4, Fw 190A-8, He 219, Ta 152H-0, Me P.1101A, Ho 229 V3A
기타 항공기노스롭 N1M, 노스롭 N9M
순항 미사일JB-2 룬, BQ-7/8
취소선: 계획되었다 취소되었거나, 도입이 취소된 기종, 윗첨자A: 전후 완공/노획, 윗첨자N: 핵투발 수단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노스롭 그루먼 로고.svg
[ 노스롭 그루먼의 항공기 ]


||<-2><tablewidth=100%><bgcolor=#007ea5> 군용기 ||
||<colbgcolor=#8ec7d0,#2e6771> 전투기 || P-61 블랙위도우F-89 스콜피온
F4F 와일드캣F6F 헬캣F7F 타이거캣F8F 베어캣
F9F 팬서F9F 쿠거F-11 타이거F-5 타이거 IIF-14 톰캣YF-17 코브라FA-18 호넷F-20 타이거샤크YF-23 블랙위도우 II ||
|| 공격기 || A-6 인트루더/EA-6 프라울러YA-9A-10 ||
|| 폭격기 || B-35 플라잉 윙B-49 플라잉 윙B-2 스피릿B-21 레이더 ||
|| 수송 || C-2 그레이하운드 ||
|| 조기경보통제기 || E-2 호크아이E-8 조인트 스타스 ||
|| 대잠초계기 || S-2 트랙커 ||
|| 무인기 || RQ-4 글로벌 호크RQ-180X-47 ||
|| 훈련기 || T-38 탤론 ||
||<-2><bgcolor=#999999,#666666> 그루먼의 1945년 이전 모델 ||
||<bgcolor=#cccccc,#323232> 단발기 || 그루먼 FF그루먼 F3F ||
||<bgcolor=#cccccc,#323232> 쌍발기 || XF5F 스카이로켓 ‧ XP-50 ||
||<-2><bgcolor=#dedede,#202020>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external/pds20.egloos.com/c0026408_4cf33e753c038.jpg

파일:external/www.jitterbuzz.com/xb35_assembly.jpg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대중매체


SF가 아닌, 무려 1940년대에 실제 존재했던 항공기다!


1. 개요[편집]


노스롭이 1940년대에 전익기개념을 적극 받아들여 개발했던 폭격기다. 1943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46년에 첫 비행을 했지만 1949년에 스크랩 처리되었다.


2. 제원[편집]


Northrop YB-35
분류전략 폭격기
전장16.18m
전폭52.43m
전고6.185m
승무원조종사, 부조종사, 폭격수, 항법사, 엔지니어, 통신병, 방어사수 3명. 총 9명
익면적370㎡
엔진프랫 & 휘트니 R-4360-45 와스프 메이저 복열 28기통 엔진 2기(기당 3,000마력)[1][2]
프랫 & 휘트니 R-4360-47 와스프 메이저 복열 28기통 엔진 2기(기당 3,000마력)[3][4]
자체중량41,277kg
전비중량69,853kg
최대 이륙 중량94,801kg
순항속도390km/h
최고속도629km/h
실용 상승한도12,100m[5]
항속거리12,100km[6]
무장원격조종 포탑 6기와 후방 스팅어 회전포탑에 총 12.7mm 브라우닝 중기관총 20정
최대 52,200lb(23,678kg)의 폭탄[7]


3. 상세[편집]


프랫 & 휘트니의 R-4360-17/21 성형엔진을 4기 장착하며 각 엔진에서는 3,000마력의 출력을 냈다.

항공역학적으로 쓸데없는 동체를 없애 무게를 줄이고 동체에 날개 뿌리 부분의 구조물 강화도 필요없었으므로 더욱 경량화가 가능했고 따라서 항속거리는 무려 6400km에 달했으며 익면하중을 줄여 폭탄 적재량을 늘릴 수 있었다.

방어무장으로 20정의 12.7mm 기관총을 장비하며 B-29의 거의 세배에 달하는 23,678kg의 폭탄을 장비할 수 있었다. 개발 당시에는 대형 폭탄이나 핵의 탑재를 염두에 두지는 않았으나 나중에 육군 항공대 측의 요청으로 탑재가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노스롭사의 사장이자 그 스스로가 엔지니어이기도 했던 잭 노스롭이 전익기에 지대한 관심이 있었고, 1940년대 초반에 소형 전익기를 날리기도 했다. 이후 미 육군 항공대와 계약하여 만든 소형 전익기 실험기가 N1M, N9M 시리즈. 이 항공기들은 1인승에 엔진 2개가 달린 전익기 실험기로, 제법 괜찮은 성능을 보였다.

이에 자신감을 얻은 잭 노스롭과 미 육군 항공대는 대형 전익 폭격기를 개발하기로 하였으며 이것이 바로 B-35 프로젝트였다.

B-35의 개발은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문제는 미국이 2차대전 중 거의 이기고 있었다는 점이다. 전황이 급박하면 대서양 건너 나치 독일이 Me 264를 개발한 것처럼 이런 고성능 무기로 판 뒤집기를 시도했을 테지만, 미군이 이기고 있다 보니 이런 신무기 개발에 소극적이고 대신 이미 잘 써먹고 있는 무기들의 생산에 총력을 기울였다. 노스롭사 역시 미군의 이런 요청에 따라 B-35의 개발보다는 기존 생산하던 항공기 생산에 주안점을 둘 수 밖에 없었다.

결국 설계는 노스롭이 하였으나 실제 제작은 이미 공장이 풀 가동중인 노스롭 대신 글렌-마틴 항공사에서 200대를 생산하기로 되어 있었다. 이렇게 설계사와 제작사가 바뀌는 과정에서 기술적 어려움이 생겨났고, 계속 생산이 지연되어 실험기인 XB-35의 최초 비행은 전쟁이 끝나고 난 뒤인 1946년에나 가능했다.

하지만 비행시험 도중 문제가 속출했다. 꼬리날개가 없다 보니 걱정되던 안정성은 프로펠러 때문에 쭉 뻗은 구조물이 꼬리날개 역할을 해 주어서 큰 문제가 없었는데 문제는 엔진프로펠러 시스템.

강력한 엔진에 맞춰 한 엔진당 2개의 프로펠러가 한 축에 연결되어 반대 방향으로 도는 이중반전 프로펠러를 사용했는데, 이 복잡한 시스템이 계속 진동을 일으켜 말썽이었던 것이다. 결국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여 프로펠러를 보통 프로펠러로 바꿨으며 이 때문에 이륙 거리가 늘어나고 상승률과 최고 속도가 줄어들었다. 더불어 엔진이 항공기 내부에 깊숙히 박힌 형상이다 보니 배기구 문제도 중요했는데, 이것도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어서 제대로 배기가 되지 않거나 몇 번 비행시험 하지도 않았는데 금속피로 문제가 생기는 등의 기술적 어려움이 속출하였다.

파일:attachment/Luke.jpg
B-35로 제식 채용되어 몰락 작전에 투입된 상황을 가정한 상상도[8]

결국 미군은 전쟁이 끝나서 대량생산 계획은 취소해버리고 대신 이미 제작된 기체들은 연구용으로 계속 굴리기로 결정했다.

한편 제트 엔진이 항공 산업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던 때였기에 B-35에도 왕복엔진보다는 차라리 제트엔진을 탑재하기로 하였고, 노스롭은 제트엔진을 탑재한 YB-49를 개발하기 시작했는데 이것도 실패했다. 결국 숱한 시행착오 끝에 전익 폭격기의 꿈은 반 세기가 더 지나고 B-2가 개발되면서 이루어진다.

미 해군에서도 관심을 보였는데, 만일 채용한다면 B2T라는 제식명이 붙을 예정이었다.


4. 대중매체[편집]


스트라이커즈 1945에는 적기로 등장하였고 스트라이커즈 1945 II, 스트라이커즈 1945 PLUS에서는 전업하여 XF5U 플라잉 팬케이크의 지원기체로 나온다. 아군에서는 회전탄막과 XP-55 어센더의 지원기인 B-36에 꿇리지 않는 전략폭격기다운 크고 아름다운 덩치, 단단한 방어력으로 천조국의 우월한 화력을 보여준다.

파티 애니멀즈에서도 스테이지 중 하나로 나온다. 제멋대로 기울어지거나 기체 일부가 얼어붙어 얼음 바닥이 되는 기믹이 존재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6:11:57에 나무위키 YB-3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좌우 바깥쪽[2] 프랫 & 휘트니 R-4360-17 와스프 메이저 엔진에서 8날 이중반전 프로펠러를 장착한 엔진이다.[3] 좌우 안쪽[4] 프랫 & 휘트니 R-4360-21 와스프 메이저 엔진에서 8날 이중반전 프로펠러를 장착한 엔진이다.[5] 실제로는 APU 문제 때문에 6,000m로 제한당했다.[6] 최대 항속거리다.[7] B-52와 비슷한 수준이다.[8] 주익 끝에 제트 엔진을 부착한 P-51호위기로 나왔고 해당 그림 가운데에 있는 일본 요격기Ki-98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