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21

덤프버전 :

파일:B-21 Raider_3.jpg
Northrop Grumman B-21 Raider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개발 진행
5. 기타
5.1. 차기 에어포스 원 후보
6. 대중 매체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B-21 Raider는 B-3 또는 LRS-B(Long-Range Strike-B)라고 불렸던 미합중국 공군의 차세대 전략 폭격기로서 2026년 배치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B-1B-2를 비롯한 기존의 주력 폭격기를 대체할 것으로 보이며, F-35F-22, PCA, F/A-XX를 동원해 함께 작전하기 위한 각종 시스템도 마련될 예정이다. 실제로 전투기들과 작전을 수행하면 현시대에서는 사실상 무적의 폭격기가 될 것이다. 물론 현존 최고 수준의 자체 저피탐성을 갖추고 있으니 쓸데 없이 들킬 가능성만 높이는 호위기 없이 몰래 들어가서 폭탄만 던지고 도망가는 식으로 운용될 가능성도 높다. 원조 저피탐 폭격기인 B-2처럼 핵무기도 사용이 가능하다.


2. 제원[편집]


B-21 Raider
분류저피탐 전략 폭격기
제조사노스롭 그루먼
제작수100기 계획(2026~2027년 예상)
단가6억 9,200만~7억 달러(추정치)
탑재중량30,000 lbs[1]
위력핵무기 탑재 가능
특징냉전 이후 첫 미국 신형 전략폭격기, 인공지능 탑재


3. 상세[편집]


파일:B-21 Raider_4.jpg
격납고 내에서 촬영된 B-21 레이더 폭격기의 전면부

B-21은 처음부터 끝까지 현존하는 원숙한 군사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설계했으며, B-2와 다르게 미 본토에서 떠서 전 세계를 몽땅 다 커버 가능하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미 공군은 이 폭격기를 공대공 능력을 포함한 다목적용으로 운용하기를 원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주적인 중국을 상정한 조치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선 활용할 수 있는 비행장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장거리 비행 능력을 지닌 B-21에 공대공 교전 능력까지 부여한 것이다.[2] 즉, B-2가 맡았던 투발 가능 저피탐 전략폭격기 기능 뿐만 아니라 조기경보기의 전투 지휘, 정보 수집, 요격기 등으로 운용 예정인 것이다. 또한 강력한 무인기 운용 능력을 탑재하여 수 많은 다른 무인기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후 예상과 달리 B-21은 B-2와 B-1을 대체할 예정임을 밝혔다. 업체 제안이지만 B-522050년까지 개량해 현역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 제안이 성사되면 B-52는 100년 동안 현역으로 활동한 전무후무한 항공기로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

크기는 B-2보다 작고 페이로드도 절반 수준이지만, 획득 및 운용단가가 B-2 대비 1/4 수준에 100기 이상 획득할 예정이라 미공군의 전체적인 전략 폭격기 전력은 상승된다.[3]

F-35에 쓰이고 있는 F135 엔진[4]을 사용할것이며, 6세대 전투기 및 F135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중인 신형엔진# [5]을 달 수도 있다. 장착되는 엔진의 숫자는 2-4기 사이이며 아직 확실히 결정되진 않았다.

2023년부터 저율생산에 돌입한다고 한다.# 기존 항공기의 개발 및 양산 스케줄과 비교하면 대단히 빠른 진행이다.

4. 개발 진행[편집]



  • 2018년 3월 7일, 시제기가 시험비행을 위해 에드워즈 공군기지로 향했음을 알리는 소식이 올라왔다. #

  • 첫 두 기체가 캘리포니아에서 제작되고 있으며, 2022년에 비행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취역시기는 2026~2027년으로 예측하고 있다. #

  • 2021년 9월 21일, 미 공군이 곧 5대의 새로운 전략 폭격기 B-21 레이더를 노스롭 그루먼 사로부터 넘겨 받을 것이라고 프랭크 켄달 (Frank Kendall) 미 공군 장관이 공식 발표 하였다. 공군 협회 회의에서 그는 "5대의 새로운 B-21 레이더 전략 폭격기가 현재 캘리포니아 팜데일에 있는 제42 항공기 공장에서 최종 조립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 2022년 12월 2일, 미 공군과 노스롭 그루먼이 B-21 레이더를 공식적으로 공개하였다.#


5. 기타[편집]



  • 노스롭 그루먼에서 개발하는 차세대 폭격기 프로젝트의 폭격기 형상이 2016년 슈퍼볼 광고에 등장해서 화제가 되었다. 어찌보면 엄청난 광고비를 들여서까지 출연시키는 것이 이 폭격기에 걸고 있는 노스롭의 엄청난 기대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처음 장면에서 XB-35, B-2, X-47, 그리고 B-21이 나온다.

  • 미 공군은 차세대 폭격기의 정식명칭을 B-21이라고 정했다.# 뒤이어 B-21의 이름을 '레이더'(Raider)로 명명했는데, 이는 둘리틀 특공대를 기념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미 공군은 공군 관계자들을 통해 4600가지의 이름들공모받았는데, 이 중에서는 진지한 이름도 있었고 풍자의 목적이거나 그냥 웃기려고 낸 이름도 있었다.
    • [ 진지하게 고려된 별칭 ]
      • 부메랑
      • 고스트
      • 호라이즌
      • 르메이[1]
      • 리버레이터 II[2]
      • 미첼 II[3]
      • 나이트 퓨리
      • 피닉스
      • 쉐도우 포트리스[4]
      • 스팅레이
      • 발키리 [5]
      • 빅토리
      • 레이스(Wraith)
      • 제우스 II
      [1]커티스 르메이다. 미 공군참모총장을 지내기도 했고 폭격기의 활용과 전략폭격의 개념을 아주 잘 활용했던, 폭격 분야에서 의미가 깊은 인물이라 후보에 포함됐던 걸로 보인다.[2] B-24 리버레이터의 오마주.[3] B-25 미첼의 오마주.[4] B-17 플라잉 포트리스, B-29 슈퍼 포트리스, B-54 울트라 포트리스(B-50 기반 시제기), B-52 스트라토 포트리스로 이어지는 요새 시리즈의 5번째 기체인 동시에 보잉이 아니라 다른 제작사가 만든 최초의 포트리스 시리즈가 될 뻔했으나 결국 무산되었다.[5] XB-70 발키리의 오마주.
    • [ 탈락한 별칭 ]
      • 알바트로스
      • 알로하 스낵바
      • 아메리카
      • 아메리캣(Ameri-cat)[1]
      • 앵그리버드
      • 낭비된 납세자의 돈
      • a
      • B-22
      • 베이커네이터(Baconator)[2]
      • 베이컨 더블 치즈버거
      • 개간지개패버리기(badasswhoopass)
      • 개쩌는 물건
      • 바실리스크
      • BBC(Blg Black Cock)
      • 검은 양(Black sheep)
      • 빅 버드!
      • 예산 초과
      • 체어 포스 원[3]
      • 챌린저[4]
      • 척 노리스
      • 데자 뷰
      • 이거 할 만한 예산이 있는 거냐(Do We Really Have The Funding For This)
      • 도널드 J. 트럼프
      • 도리토
      • 드론이낫지만우린돈낭비를좋아하니까…(DronesRBetterButWeLikeWastingMoneySo…)
      • 독수리 폭★8 69(eagleboom69)
      • 국립보건원에 예산을(Fund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 음침(Grim)
      • 해머 타임
      • 하피
      • 헬로 키티
      • 최저가 입찰(Lowest Bidder)
      • 갖고싶다
      • ISIS
      • 존 시나
      • LOL
      • 밈 머신(Meme Machine)
      • 밑 빠진 독(Money Pit)
      • 마더 구스
      • Never forget
      • 나이트 알바트로스
      • 똥덩어리(Piece of Crap)
      • 프린세스 스파클 포니
      • 산타의 작은 도우미
      • 라이온 킹에 나오는 스카(Scar from Lion King)
      • 제비(Swallow)
      • 전술핵공격(TACTICAL NUKE INCOMMING)
      • 오니기리
      • 세모난 뭐시기(triangle thingy)
      • 넌 이제 좆됐어(UR Screwed Now)
      • 쓸모없는 쓰레기(Useless Junk)
      • Zl존_킹왕짱_미국_폭격기_420(XXXX_xxx_DANK_AMERICAN_BOMBER_420_xxx_XXX)
      • wm,aebfkdhgfjkwehkk
      • 이게 네 세금을 얼마나 잡아먹을지 믿기지 않을걸(you won't believe how much this cost you in taxes)
      • F35로돈낭비한줄알았냐ㅋㅋㅋㅋㅋㅋ(YouThinkWeWastedMoneyOnTheF35,hahahahahaha!!!)
      [1] F4F 와일드캣, F6F 헬캣, F7F 타이거캣, F8F 베어캣, F-14 톰캣으로 이어지는 그루먼 사 고양이 시리즈를 염두에 두고 한 장난성 작명인 듯하다.[2] 미국의 버거 체인 웬디스 의 메인 메뉴 중 하나.[3] ChAir Force. 육군, 해병 등이 공군을 비하하는 단어다.[4] 이름 자체는 도전자라는 뜻으로 의미가 있지만 하필 폭발사고로 소실됐던 동명의 우주왕복선의 이름과 같아서 탈락.


5.1. 차기 에어포스 원 후보[편집]


한 때 대통령 전용기 후보로 포함되었다는 소식이 있었다. 성사되기만 한다면 세계 최초로 스텔스 적용 에어 포스 원이 되는 셈이다. 다만 후보군이 747 독점 체제에서 다변화되고 있기에 나왔던 다양한 구상과 옵션이었을 뿐, 그 당시에도 가능성에 대해서 높게 보고 있지는 않았던 듯하다. 가장 취약한 문제는 탑승 인원이 지나치게 적다는 점이다. 폭탄 무장창등 공격 옵션을 상당수 제거하더라도 애초에 여객기 기반에 비해 좌석이 많이 나올리도 없다.# 또한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 중국 등 적성 국가들을 방문하는 일도 많은데, 미국의 스텔스 기술이 총 집함된 스텔스기가 러시아 영공, 중국 영공에 진입을 하며 미국의 스텔스 기술 (RCS 탐지 면적 및 각도 등) 이 노출이 되는 보안상의 문제도 있다. 결국 주문사였던 트랜스아에로의 파산으로 보관 중이던 2대의 747-8I를 인수하여 에어포스 원으로 개조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6. 대중 매체[편집]


  • 영화 PMC: 더 벙커에서는 작중 주인공 '에이헵'이 동료의 배신과 작전 자체가 함정이었다는 것을 알고 "B-21이 여길 폭격할 거야"라고 분개하는 장면이 나온다. 실제로 등장하지 않고 모니터에 간략화한 아이콘 정도로만 나온다. B-21이 영화에 언급으로라도 등장하는 것은 이 영화가 처음.

러시아 게임 모던 워쉽에서 전설티어 폭격기로 등장. 다른 폭격기들에 비해 미사일은 없고 몽땅 항공폭탄만 장비되어 있어 운용 난이도가 많이 높지만 속도가 빠르고 체력이 가장 높으며, 무엇보다도 플레어의 영향을 받지않고 공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2가 핵폭탄을 장착할 수 있듯이 B-21도 핵폭탄을 장비했다. 그리고 이 폭격기는 무려 강습 항공모함에 장착시키면 주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6]


7. 둘러보기[편집]


파일:노스롭 그루먼 로고.svg
[ 노스롭 그루먼의 항공기 ]


||<-2><tablewidth=100%><bgcolor=#007ea5> 군용기 ||
||<colbgcolor=#8ec7d0,#2e6771> 전투기 || P-61 블랙위도우F-89 스콜피온
F4F 와일드캣F6F 헬캣F7F 타이거캣F8F 베어캣
F9F 팬서F9F 쿠거F-11 타이거F-5 타이거 IIF-14 톰캣YF-17 코브라FA-18 호넷F-20 타이거샤크YF-23 블랙위도우 II ||
|| 공격기 || A-6 인트루더/EA-6 프라울러YA-9A-10 ||
|| 폭격기 || B-35 플라잉 윙B-49 플라잉 윙B-2 스피릿B-21 레이더 ||
|| 수송 || C-2 그레이하운드 ||
|| 조기경보통제기 || E-2 호크아이E-8 조인트 스타스 ||
|| 대잠초계기 || S-2 트랙커 ||
|| 무인기 || RQ-4 글로벌 호크RQ-180X-47 ||
|| 훈련기 || T-38 탤론 ||
||<-2><bgcolor=#999999,#666666> 그루먼의 1945년 이전 모델 ||
||<bgcolor=#cccccc,#323232> 단발기 || 그루먼 FF그루먼 F3F ||
||<bgcolor=#cccccc,#323232> 쌍발기 || XF5F 스카이로켓 ‧ XP-50 ||
||<-2><bgcolor=#dedede,#202020>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전투기4세대F-16C/DU, F-15C/D/EU
4.5세대F-16CM/DMM, F-15EX
5세대F-22A, F-35A, F-23, F-32
6세대{PCA}
공격기AT-6B, A-10C, AC-130HR/UR/WR/J, F-117
폭격기B-52HM, B-1B, B-2A, {B-21}, {B-52J}
수송기전술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전략C-17A, C-5M
지원기조기경보기E-3B/C/G, E-8CR, {E-7}, E-10
정찰기E-9A, U-2S, U-28, CN-235
통신중계기E-11A
계측통신정보기RC-135S
전자정찰기RC-135U, EC-130H/J/SJ, EA-37B
신호정보수집기RC-135V/W, RC-26B
기상관측기WC-130J
대기분석기WC-135C/W/R
관측지원기OB-135B
공중지휘기E-4
공중급유기KC-10A, KC-135R/T, {KC-46A}
회전익기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V-44
무인기SUAVRQ-11B, RQ-20B
UAVRQ-4A/BU, RQ-170, RQ-180
UCAVMQ-1BR, MQ-9A/B, MQ-20
훈련기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F-117, {T-7A}
다목적기UV-18B, U-27, U-28
특수목적기MC-130J/H/P, MC-12W
주요인사 탑승기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 C-37B, C-38A, C-40B/C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20:58:08에 나무위키 B-2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약 13.6톤, B-2 60,000lbs의 절반[2] 비슷하게 미국의 차세대 전투기인 NGAD도 미국의 전투기들중 처음으로 유럽 전선이 아닌 태평양 전선을 상정해 적응형 사이클 엔진 등의 기술 적용으로 초장거리 체공 능력 부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3] 사실 폭격기는 기름을 좀 덜 먹으면서 항속거리가 길어야 하기 때문에 덩치가 커지는 거지, 폭탄의 양만 생각한다면 전폭기 몇 대 더 띄우는 게 더 전략적으로 이득이다. 산술적으로 폭장량 10톤짜리 폭격기 1기보다는 5톤짜리 폭격기 2기가 더 생존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4] 전투기 엔진 중 가장 강력한 추력의 엔진이다.[5] ADVENT(Adaptive Versatile Engine Technology)프로그램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XA101엔진과 XA100엔진[6] 물론 이 폭격기가 함재기들처럼 항모에서 이함하는 것은 아니고, 출격시키면 플레이어 팀 쪽 맵 끝에서 비행 중인 상태로 출현해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주기되어 있는 모습은 로비인 항구에서만 볼 수 있는 장면. 즉 함재기는 아니다. 다른 폭격기들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