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ololive CHINA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hololive 해외
,
,
,
,
,





홀로라이브 차이나
hololive CHINA
파일:hololive china logo.png
1. 개요
2. 해산 결정
3. 소속 멤버
3.1. 1기생
3.2. 2기생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커버 주식회사의 버츄얼 유튜버 중국 진출 사업. 홀로라이브 차이나라고 읽는다. 이 프로젝트에 소속된 버튜버들은 중국의 대형 동영상 사이트 빌리빌리에서 활동한다. 2020년 12월 27일 로사린의 졸업 방송을 끝으로 해산되었다.

2. 해산 결정[편집]


2020년 10월 26일 경, hololive CHINA의 서비스를 종료하려고 준비중이라는 소식이 중국 멤버 Civia의 방송#[1], 아티아의 트위터#를 통해 밝혀졌으며,# 추후 공식적으로 멤버 전원의 졸업방송 예정일#1 #2 #3과 YAGOO의 입장문#이 발표되면서 해산이 결정되었다.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과의 연관성은 불분명하나 일어난 두 사건의 텀이 텀인 만큼 현재로써는 해산결정의 원인 중 하나가 되지 않았을까라는 추측이 많다. 사실 둘 모두 정치적 의도는 일절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그저 표 상에서 나라 이름이 나온 것을 그대로 읽기만 했을 뿐이었다.[2]

본래라면 이것은 다른 항목에 추가되어야 할 내용이나, 해당 발표 이후 안티집단의 반발이 너무 큰 나머지 논란의 수준에 이르러버린 것으로 2020년 10월 26일 홀로라이브 본토 소속의 0기생 사쿠라 미코와 4기생 키류 코코의 콜라보 방송을 보면 엄청난 양의 도배글들이 터진 것이 바로 hololive CHINA 해산이 원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날 있었던 아사코코 역시 마찬가지.

그 외에도 hololive CN의 해산이 결정되었다는 발표에 안티집단 내의 과격파들이 크게 분노하여 무수한 사건들을 터뜨렸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미나토 아쿠아가 빌리빌리 안건으로 사용할 예정이었던 신곡이 본인이 나설 수 없게 되면서 사라지는 바람에 그 곡이 그대로 빌리빌리에 그냥 공개되어버렸다.

뿐만 아니라 안티집단은 무수한 봇을 만들어 채팅창을 어지럽혔으며, 싫어요 평가를 무수히 누를 뿐 아니라 심지어 게임에 직접 쳐들어가 키류 코코에게 졸업(은퇴)하라고 폭언을 하는 등[3] 난장판이 따로 없었다. 다른 멤버들 역시 안티집단들의 공격 대상에서 벗어나지 못해 채팅창이 엉망이 되는 등 그야말로 논란을 넘어서 완전히 사건으로 봐도 되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거기에 들토끼(페코라의 팬덤) 멤버가 페코라 방송에서 "죄송합니다. 잘못 찾아왔네요"라고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일본팬들의 반응을 보면 대체적으로 긍정적이다. 사과도 했고 처벌도 했는데 계속해서 논란을 일으키니 차라리 리스크를 잘라버리자는 것인데 만쥬, 요스타와의 인연[4]이 끊길 것이라는 소수 의견도 있었고 실제로 해산 이후엔 중국 계열 기업의 방송을 하지 않게 됐다.[5]

홀로라이브 팬덤 대다수가 중국에 치를 떨며 CN 해체와 중국시장 철수에 환호했지만, 홀로라이브 차이나의 멤버들은 결국 불한당들 깽판에 새우 등 터졌을 뿐이기에 그들에 대해서는 동정론이 많다.

여담이지만 1기생들은 3D모델도 가지고 있었던 게 특징이다.

모든 멤버의 졸업 방송은 시간이 지난 후 채널과 아카이브가 비공개 처리 되었으며 찾아볼 수 있는 건 팬들이 백업해 놓은 녹화영상뿐이다.


3. 소속 멤버[편집]



hololive JP
##시작
로보코 씨
AZKi
사쿠라 미코
호시마치 스이세이
아키 로젠탈
아카이 하아토
시라카미 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
무라사키 시온
나키리 아야메
유즈키 초코
오오조라 스바루
오오카미 미오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시라누이 후레아
시로가네 노엘
호쇼 마린
우루하 루시아
츠노마키 와타메
토코야미 토와
히메모리 루나
키류 코코
모모스즈 네네
시시로 보탄
오마루 폴카
마노 알로에
타카네 루이
하쿠이 코요리
사카마타 클로에
카자마 이로하

hololive ID
hololive EN
##시작
타카나시 키아라
니노마에 이나니스
가우르 구라
왓슨 아멜리아
세레스 파우나
오로 크로니
나나시 무메이
하코스 벨즈
오로 크로니
나나시 무메이
하코스 벨즈
츠쿠모 사나
코세키 비쥬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파일:Nerissa-Ravencroft_list_thumb.png
{{{#063f5c,#43C5F5 네리사 레이븐
크로프트}}}
]]
[[후와와 어비스가드|
파일:Fuwawa-Abyssgard_list_thumb.png
{{{#063f5c,#43C5F5 후와와
어비스가드}}}
]]
[[모코코 어비스가드|
파일:Mococo-Abyssgard_list_thumb.png
{{{#063f5c,#43C5F5 모코코
어비스가드}}}
]]

HOLOSTARS JP
##시작
카나데 이즈루
아르란디스
릿카
카가미 키라
야쿠시지 스자쿠
키시도 텐마
유코쿠 로베루
아라가미 오가
츠키시타 카오루
우츠기 우유
히자키 감마
미나세 리오

HOLOSTARS EN
회색
: 과거 멤버


로사린의 2020년 12월 27일 졸업 방송을 마지막으로 전원 졸업했다.

3.1. 1기생[편집]


2019년 9월부터 찬찬히 데뷔하였다.

3.2. 2기생[편집]


2020년 3월에 데뷔하였다.

4. 관련 문서[편집]


[1] hololive CHINA의 해산에 대해서 YAGOO는 해당 캐릭터의 일러스트를 양도하겠다고 함과 동시에 개인세로 갈것인지 은퇴 및 졸업을 할 것인지, 혹은 다른 기업에 들어갈 것인지에 대한 결정권들을 전부 해당 탤런트들에게 주며 그들의 뜻을 존중하겠다고 했다는 내용이다.[2] 한국에 빗대어 설명하기에는 조금 다른 케이스지만 지도를 보다가 적힌대로 북한을 언급한 것을 빌미로 지랄발광을 벌인 꼴이라고 받아들이면 편하다. 중국이 하나의 중국을 강조하며 대만을 나라로 인정하지 않듯이 한국 또한 북한을 국내 헌법 상에서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동일한데 차이점이라고는 중국은 그걸 주변에 강요하며, 한국은 어디까지나 국내에서만 써먹고 외국에 강요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3] MIKO SUKI 다음에 "코코 빨리 안 쳐나가냐?"라는 중국어가 나오자 갑자기 분위기가 썩고 미코가 주먹질을 날린다.[4] 전자는 벽람항로를 개발한 회사, 후자는 벽람항로와 명일방주를 퍼블리싱한 회사로 둘다 콜라보를 한 적이 있다.[5] 콜라보를 했던 요스타 계열 게임으로는 인방 계열에서 화제를 끌었던 작혼 역시 방송을 하지 않고 다른 마작 게임으로 대체하였으며, 블루 아카이브 역시 일본 쪽에선 요스타가 배급을 맡고 있기에 방송을 하지 않았다. 다만 글로벌 서버는 넥슨게임즈가 직접 서비스를 하고 있기에 EN 쪽을 통해 안건 방송 및 콜라보를 할 수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6:10:40에 나무위키 hololive CHINA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