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이하츠

덤프버전 :

파일:다이하츠 로고.svg
[ 틀 펼치기 · 접기 ]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및 사업부
완성차현재토요타(bZ) | 다이하츠 | 히노자동차 | 렉서스
과거 | 사이언 | 토요페트
고성능 브랜드GRMN | GR | GR 스포트 | GR 파츠 | GR 헤리티지 파츠 | GR 개러지 | TRD | 렉서스 F
합자 회사현재마쓰다 토요타 매뉴팩처링 USA | BYD 토요타 EV 테크놀로지 | 프라임어스 EV 에너지 | 토요타 아스트라 자동차 | 토요타 키를로스카르 자동차 | 토요타 자동차 베트남 | UMW 토요타 자동차 | 토요타 캐나다 | FAW 토요타(란츠) | GAC 토요타(레헤드) | FAW 다이하츠 | GAC 히노 | J 버스 | SOFASA
과거NUMMI | 스바루-이스즈 오토모티브 | | UAAI
디자인 스튜디오도쿄디자인연구소 | 캘티 디자인 리서치 | 토요타 유럽 디자인 개발
국가별 R&D 센터일본토요타 테크니컬 센터 본사 | 토요타 중앙 R&D 연구소 | 토요타 테크니컬 센터 시모야마 | 토요타 테크니컬 센터 히가시후지 | 토요타 테크니컬 센터 시베츠 | 오테마치 사무소(Ai 연구 개발) | 우븐 바이 토요타
미국토요타 테크니컬 센터 미시간 | 토요타 테크니컬 센터 TAPG | 토요타 테크니컬 센터 로스앤젤레스 | 토요타 연구소 주식회사(Ai 연구)
유럽토요타 기술 센터 유럽 | 토요타 테크니컬 센터 TMG
중국토요타 기술 센터 중국 | FAW 토요타 리서치 & 디벨롭먼트 | GAC 토요타 자동차
아시아 태평양토요타 다이하츠 엔지니어링 & 매뉴팩처링
공장토요타 공장
부품덴소 | 아이신 | 토요타 자동직기 | 토요타 자동차 동일본 | 토요타 자동차 규슈 | 토요타 차체 | 토요타 방직 | 토요다 고세이 | 제이텍트
기계토요타 자동직기 | 제이텍트
기술우븐 바이 토요타 | 토요타 기술 센터 중국
철강아이치 제강
무역토요타 통상 | 토요타 아스트라 자동차
건설토요타 주택
부동산토요타 부동산
제약후지 제약
금융토요타 파이낸셜 서비스
딜러점토요타점 | 토요페트점 | 넷츠점 | 코롤라점
콘셉트 카토요타 콘셉트 카 | 다이하츠 콘셉트 카 | 히노 콘셉트 카 | 렉서스 콘셉트 카
국제 총판한국토요타자동차 | 토요타 아르헨티나 S.A. | 토요타 키를로스카르 자동차 | 토요타 자동차 유럽 | 토요타 호주 | 토요타 자동차 북미 | 토요타 인더스 | 토요타 자동차 필리핀 주식회사 | 토요타 자동차 태국 | 토요타 남아프리카 자동차
박물관토요타 박물관 | 토요타 산업기술 기념관(나고야)
자본제휴(지분 소유)
완성차스바루 주식회사20%[!] | 페로두아20% | 마쓰다 주식회사5.05% | 스즈키 주식회사4.9% | 이스즈 자동차 주식회사4.6%
항공미쓰비시 항공기 주식회사10%
IT/통신NTT2.09%
이동통신KDDI11.09%
지상파나고야 테레비 방송 주식회사34.6%[!]
주택/건설미사와 주택 주식회사
보험MS&AD 홀딩스8.88%[!]
오토바이/발전기야마하 모터2.8%
가전제품/배터리파나소닉2.8%
스포츠단
축구나고야 그램퍼스
배구토요타 자동차 선호크스 | 토요타 모빌리티 도쿄 스파클 | 울프독스 나고야 | 토요타 오토바디 퀸세이즈 | 덴소 에어리비즈
농구토요타 자동차 앨버크 도쿄 | 토요타 합성 스콜피온스 | 토요타 방직 선샤인 래빗츠 | 토요타 통상 파이팅 이글스 나고야 | 토요타 앤틸롭스
야구토요타 자동차 경식 야구부
럭비토요타 자동차 베르블리츠 | 토요타 공업 셔틀스
핸드볼토요타 오토바디 브레이브 킹스 | 토요타 합성 블루 팔콘 | 토요타 방직 큐슈 레드 토네이도
모터 스포츠현재토요타 레이싱 | 토요타 가주 레이싱 | TRD | TOM'S | SARD | Dome | 포뮬러 지역 오세아니아 챔피언십
과거포뮬러 토요타 | 토요타 팀 호주 | 파나소닉 토요타 레이싱(F1 팀)
서킷후지 스피드웨이 | 윌로 스프링스 레이스웨이
기타
토요타 꽃 | 토요타 엔튠 | 하이브리드 시너지 드라이브
핵심 인물
토요다 가문토요다 사키치 | 토요다 키이치로 | 토요다 아키오
각주 [ 펼치기 · 접기 ]
[각주]

[!] A B C 최다 단일 주주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Daihatsu Motor Co., Ltd. / 다이하츠 공업 주식회사
파일:다이하츠 로고.svg
정식 명칭다이하츠 공업 주식회사
종류주식회사
시장 정보비상장 기업[1]
본사 소재지오사카부 이케다시 다이하츠쵸 1-1
(大阪府池田市ダイハツ町1-1)
창립년일1907년 3월 1일
(발동기 제조 주식회사)
업종운송용 장비
법인번호3120901019710
사업영역자동차 제조 및 판매업
대표자회장 미츠이 마사노리(三井正則)
사장 오쿠다이라 소이치로(奥平総一郎)
자본금284억 400만 엔 (2015년 3월 기준)
주식 총수4억 2,712만 2,966주
매출1조 4,350억 엔 (2020년 3월 기준)
영업이익1,000억 엔 (2020년 3월 기준)
경상이익1,210억 엔 (2020년 3월 기준)
순이익980억 엔 (2020년 3월 기준)
순자산4,240억 엔 (2020년 3월 기준)
총자산9,150억 엔 (2020년 3월 기준)
종업원 수연결: 42,575명
단독: 11,446명
(2015년 3월 기준)
결산기3월 31일
회계 감사인PwC아라타 유한책임 감사법인
주요 주주토요타 자동차 주식회사 100%
외부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상세
4. 생산차종
4.1. 생산 중
4.2. 단종



1. 개요[편집]


토요타그룹 산하의 경차소형차 제조 회사. 토요타자동차의 자회사이며, 본사는 오사카에 있다.


2. 역사[편집]


1907년 하츠도키 제조(發動機製造 발동기제조) 주식회사를 전신으로 하며, 다이하츠라는 이름[2]이 붙게 된 것은 1951년의 일이다. 하츠도오키 제조 주식회사를 시초로 본다면,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자동차 제조사로 볼 수 있다. 1951년에 토요타와 제휴 관계를 맺었다가, 1988년에는 토요타의 지분이 절반을 기록했고, 2010년대에 최종 인수됐다.[3]


3. 상세[편집]


주로 만드는 자동차는 경차로, 소형차 이상의 차량들도 일부 판매중이나 토요타 브랜드와 공유하는 차들이 다수이다. 해당 브랜드에서 파는 가장 큰 차량인 알티스(Altis)도 중형차토요타 캠리배지 엔지니어링 버전이고, 과거에 다이하츠의 기함이었던 샤르망, 어플로즈준중형차였다. 반면 토요타 브랜드로 나오거나 타 브랜드와 공유하는 1L급 소형차나 저배기량 엔진의 경우 토요타의 기획에 따라 다이하츠가 개발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경차 규격보다도 훨씬 작은 크기에 3기통 660cc 엔진만 갖춘 일본식 경차 규격에 맞춘 경차만 만들어 왔다 보니, 수출 시장에서의 경쟁력은 그야말로 막장에 가깝다. 1992년 미국에서 철수, 1997년 태국 공장 폐쇄, 2005년 호주 시장에서 철수, 2013년 유럽 시장에서 철수 등 선진국 시장에서는 맥을 못 추고 있고, 칠레, 말레이시아개발도상국 현지화 소형차들을 수출하거나 신생 메이커에 기술 제공 관계를 맺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의외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의 브랜드 이미지는 토요타보다 좋다. 토요타 계열사인 후지중공업에 다이하츠의 경차에 스바루 브랜드를 붙인 OEM 형태로 공급하기도 한다.

대한민국과도 어느 정도 연이 있다. 다이하츠의 7세대 하이젯을 도입한 후 로컬라이징해 1992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한 경상용차가 기아 타우너다.

일본에서의 연 판매량은 70만 대 수준. 2016년 이후 혼다의 경형 박스카인 N-박스와 판매량 1위를 두고 피터지는 싸움을 한다.

또한 일부 모델은 미니 쿠퍼와 비슷하게 생겨 항상 미니 표절 의혹(ダイハツ ミニパクリ疑惑)에 시달리는 것에 대해 다이하츠 팬층과 해당 모델 오너들 사이에서는 다이하츠의 1세대 모델이 따로 있어 그것이 발전해오다 보니 미니와 비슷해진 것 뿐이라고 설명하지만, 이 1세대 자체가 미니와 꽤 비슷하다는게 문제. 다만 해당 모델은 경차로 BMW의 미니와는 시장에서 부딪힐 일이 없기 때문에 BMW 측에서는 별 말이 없다. 그러나 일본의 미니 오너들은 미니 살 돈이 없어 다이하츠를 탄다라고 빈정대는 것도 현실이다. 다이하츠의 해당 모델은 미니의 가격의 1/10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싼 가격(신차 가격 기준)이 컨셉이므로 미니를 타고 싶지만 돈이 없어서 다이하츠를 탄다기 보다는 싼 가격에 부담없이 살 수 있는 차종을 선택했다고 보는 게 공감대를 형성할 듯 하다.

한때는 이탈리아슈퍼카GT카 전문업체였던 데 토마조와 제휴한 적이 있었다. 데 토마조가 가지고 있던 경차 전문 브랜드인 인노첸티에다가 엔진 및 플랫폼을 제공하면서 연을 맺었는데, 이후 데 토마조와 인노첸티에서는 미라샤레이드의 엔진을 자사 경차에 이식했고 다이하츠에서는 샤레이드의 고성능 버전을 만들 때마다 데 토마조의 이름을 빌려 쓰기도 했다.

전통적으로 모터쇼에 재미있는 콘셉트 카를 꾸준히 내고 있다. 일본에서도 TV 광고를 들이붓는 회사로 유명한데, TV 방송국의 오전, 오후 광고를 보면 다이하츠가 많이 나온다.


4. 생산차종[편집]






4.1. 생산 중[편집]




4.2. 단종[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07:43:09에 나무위키 다이하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49년 5월~2016년 7월 27일 까지는 도쿄증권거래소 1부 7262[2] '오사카 발동기'(大阪發動機)의 '대'자와 '발'자을 붙여 줄인 말이다.[3] 토요타 지분율 51.19%.[4] 코코아는 2018년 단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