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덤프버전 :

||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fff,#000 가입 교단}}}
[[장로회|{{{#000,#fff 장로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jpg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개신)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 교단심볼.svg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개혁)
대한예수교장로회(성경)대한예수교장로회(웨신)대한예수교장로회(정통보수)대한예수교장로회(진리)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대한예수교장로회(피어선)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동신)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보수)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보수A)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복구)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목)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중앙)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로고.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
[[루터교회|{{{#000,#fff 루터교회}}}]][[감리회|{{{#000,#fff 감리회}}}]][[침례회|{{{#000,#fff 침례회}}}]]
파일:기독교한국루터회총회 로고.jpg 기독교한국루터회파일:기독교대한감리회 상징.svg 기독교대한감리회예수교대한감리회파일:기독교한국침례회 상징.svg 기독교한국침례회
{{{#000,#fff 그리스도의 교회}}}{{{#000,#fff 오순절교회}}}
그리스도의교회협의회그리스도의교회 교역자협의회파일: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로고.png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파일: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로고.png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000,#fff 성결교회}}}
파일:기독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기독교대한성결교회파일:나사렛교회 로고.svg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파일:예수교대한성결교회 상징.svg 예수교대한성결교회
{{{#fff,#000 유관 기관}}}
월드비전평화통일을 위한 연대기아대책한국교회봉사단
한국호스피스협회세계성시화운동본부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하늘에(극단)
더불어배움한국대학생선교회(CCC)국민일보 저출산대책본부나부터캠페인
미션네트워크한국교회법학회한국세계선교협의회




파일:한장총 로고.png한국장로교총연합회(CPCK)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파일:한국기독교장로회 로고.svg 한국기독교장로회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상징.svg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로고.svg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상징.jpg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동신)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복구)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중앙)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개혁)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총연)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개혁)대한예수교장로회(합복)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선교)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대한예수교장로회(한영)대한예수교장로회(피어선)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해외)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장신)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개신)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의정부))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대한예수교장로회(예정)
한국장로교총연합회 홈페이지의 회원교단 순서를 따름.




파일:백석대학교 로고(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PCK:Baekseok)
파일: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엠블럼.svg
영문명칭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PCK:Baekseok)
한문명칭大韓예수敎長老會(白石)
약칭예장백석
설립연도1980년
소속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표총회장장종현 목사[1]
총회장김진범 목사
부총회장이규환 목사, 김동기 목사, 이승수 목사, 최태순 장로
사무총장김종명 목사
교인 수2,000,037명(2022년#)
표어백석, 예수생명의 공동체 (요한계시록 2:17)
위치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221 (방배동)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특징
3. 역사
4. 산하 학교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은 1980년 장종현 목사 주도로 세워진 교단이다. 신학적으로 중도 보수 성향이다. 비슷한 성향인 미국의 북미주개혁교회와 교류하고 있다.

교단명의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 '복음총회'(1978)->'합동진리'(1980)->'합동정통'(1982)->'백석'(2009). 교단의 신학교 백석대학교의 이름을 따서 교단명을 정했다.


2. 특징[편집]


  • 예장백석은 엄청나게 많은 교회를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합의된 입장이라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장백석의 역사가 곧 중소교단 소속 교회 병합의 역사이다.
  • 백석총회의 교회선언 참조
  • 성서무오설[2]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따른다.
  • 장로회의 일원 중 하나이니 장로 정치 체제를 취한다.
  • 백석총회는 NCCK에 가입하지 않고 WCC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3][4] 하지만 교단 통합의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교회일치운동(에큐메니컬)에 반대하지는 않는 교단으로, 중도인 예장통합과 보수인 예장합동의 중간 정도인, 중도 보수 성향의 범 복음주의 교단이다. 진보 성향의 목회자와 신학자들도 적지는 않은 교단이다. 에큐메니컬 성향의 개혁교회들의 연합체인 세계개혁교회커뮤니언의 회원 교단이다.
  • 주로 수도권충청권에서 교세가 강하다. 특히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천안시에 교회가 집중되어 있다.


3. 역사[편집]


예장 백석은 본디 주류 총회신학교에 대한 비주류의 반발로 인한 합동의 1976년의 갈등으로 이어진 1978년의 분열에 뿌리가 있다. 당시 총회신학교의 김희보 학장의 논문의 표현으로 인해 생겨난 불화로 1978년 비주류 방배동총회신학교[5]가 다시 분열하면서[6] 등장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진리)가 시초이다. 이후 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과 통합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정통)으로 개칭한다. 이후 2009년에 교단의 학교 이름을 본 따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으로 개칭하고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의 일부와 통합한다. 이후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의 일부 교회를 흡수하여 현재에 이르게 된다. 백석의 역사가 대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았던 군소 교단들의 스노우볼링이었다.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통합측)이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과 통합하면서 외부상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의 규모는 커졌으나 내부상으로는 통합 측(대신+백석), 수호 측, 석수 측으로 분열되었으며, 신학교 3개도 교단에 따라 분열되었다.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수호 측은 잔류를 선택했고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석수 측은 독립을 선택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과 결별하고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석수) 교단을 새롭게 창립하였다.

결국 2018년 대신 통합측이 백석과 통합하며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이라는 이름으로 합쳐졌다. 대신 명칭은 수호측이 가져갔다.

이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진리)와 통합을 하였다.

2018년 총회에서 파행을 겪자 2019년 총회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장종현 목사를 총회장으로 추대하였다. 총회 임원직은 이후 몇년간 총회장과 증경총회장들이 선출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크기와 상관 없이 백석, 대신 계열이라고 할 수 있는 교단은 예장(백석),(백석대신),(대신),(대신복원),(대신석수), (정통대신)[7], (개혁대신)[8]이다.


4. 산하 학교[편집]



  • 백석 계열 학교들은 교단 소유가 아닌, 교단 창설을 주도한 장종현 목사 소유이다.


5. 여담[편집]


  • 합동정통 시절 총회장 중 한 명이 에어장 목사이다.
  • 합동정통 시절 변승우(現 사랑하는교회)가 합동정통 소속이었다. 현재 출교, 제명되었다.
  • 대신 교단과 통합하면서 전광훈 목사의 사랑제일교회가 이 교단에 잠시 소속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백석대학교 총장[2] 대부분의 개신교단이 마찬가지이지만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에 크게 가깝다. 유기적 영감설을 지지하며 단순하게 문자적으로 오류가 없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3] 총회 게시판 참고.[4] 장종현 총회장은 개인의 자격으로 WCC 부산총회 준비위원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교단차원에서나 본인의 신학적 차원에서는 반대노선임을 밝혔다.[5] 서울의 방배동에 위치했다.[6] 가장 큰 교단은 예장 개혁으로, 광신대학교, 개혁신학교, 개신대학원대학교가 그 산하 신학교였다.[7] 김치선 목사의 아들인 김세창 목사가 대신 18회기 총회장을 마친뒤 분립한 교단.[8] 전광훈 목사와 결별한 목사들로 이루어진 대신호서 교단이 개혁 종로측과 합동한 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