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육군탄약지원사령부

덤프버전 :



육군탄약지원사령부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육군탄약지원사령부
陸軍彈藥支援司令部
Republic of Korea Army Ammunition Support Command
파일:육군탄약지원사령부 마크.jpg
창설일1959년 11월 20일(육군탄약지원사령부)
별칭탄약사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육군군수사령부
종류기능사령부
규모사단
역할육군 탄약업무 지원
사령관준장 이원재(육사 46기)
위치대전광역시 대덕구 #
웹사이트파일:육군군수사령부 로고.svg

1. 개요
2. 상세
3. 예하부대
3.1. 직할대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사령부가
7. 사건사고
8. 여담
9. 같이보기



1. 개요[편집]


대전광역시 대덕구를 근거지로 하는 육군군수사령부 소속 육군탄약지원사령부.

(만화로 보는 탄약지원사령부)

2. 상세[편집]


1959년 11월 20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1]에서 창설되었으며, 1974년에 육군군수사령부에 예속되었다. 1998년 현 위치인 대전광역시 대덕구 장동(1991년까지 캠프 에임스라는 주한미군 기지이자 탄약창이었다.) 으로 이동하였다.

탄약지원사령관은 준장이며, 부사령관참모장대령이다.

부대임무는 평시, 전시에 탄약 지원에 대한 업무를 수행한다.

탄약사 자체 부대 마크는 있으나 공문 디자인에나 쓰이며 전투복에 붙이는 부대 마크는 상급부대인 육군군수사령부 부대 마크를 붙인다. 이건 다른 군수사 예하 부대들도 마찬가지.


3. 예하부대[편집]


예하 부대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부대 내의 시설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군사 II급비밀로 분류됩니다.

3.1. 직할대[편집]




3.2. 탄약창[편집]




4. 과거부대[편집]



5. 출신인물[편집]



5.1. 사령관[편집]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역대 육군탄약지원사령관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
00대이병우예) 준장육사 7기사령관
00대공윤각예) 준장육사 7기사령관
00대김희술예) 준장육종 20기사령관
00대정기봉예) 소장육사 39기제1군수지원사령관
00대박송춘예) 준장육사 40기육군종합정비창
43대강재구예) 준장육사 42기사령관
43대이기중예) 준장육사 41기육군종합정비창장
44대이종호예) 준장육사 44기사령관
45대강창호예) 준장육사 45기사령관
45대이원재준장육사 46기사령관

5.2. 장교/부사관[편집]



5.3. 병[편집]


카트라이더 유명 스트리머. 탄약창에서 복무했다.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6.2. 사령부가[편집]


1절

평화로운 우리조국 영광 위해

밤낮없이 목숨 걸고 지켜온 다짐

굳은 의지 기상 높여서

그 다짐 하나로 필승의 신념


2절

아름다운 우리 강산 보전 위해

목숨걸고 마음 바쳐 새겨온 소망

강한 투지 함성 울려서

그 소망 하나로 필승의 신념


후렴

1절:전승보장(2절:완전무결) 탄약 지원 우리의 사명

하나된 임무 완수 탄약지원사령부


─ 탄약지원사령부가



7. 사건사고[편집]


현재 부조리 등의 군대문화가 아직도 탄약지원사령부에 많다.

8. 여담[편집]


대도시인 대전에 자리잡아 혐오시설로 인식되는데다 하천이 흐르는 산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어 도로 하나를 완전히 단절시키고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2] 대전시와 주민들로부터 부대 이전 압력을 계속 받고 있다. #

9. 같이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2:01:17에 나무위키 육군탄약지원사령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501병기탄약창이 있었다.[2] 이 때문에 장동은 과거 행정구역상 신탄진읍에 속하면서도 생활권은 회덕동속해 있었고, 그로 인해 1989년 대전직할시에 흡수됨과 동시에 회덕동으로 편입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