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은혼

덤프버전 :




은혼
銀魂[br]Gintama
파일:은혼 1권.jpg
장르사무라이, SF, 드라마, 사극, 액션,
블랙 코미디
작가소라치 히데아키
출판사파일:일본 국기.svg 슈에이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문화사
연재처주간 소년 점프, 점프 GIGA
은혼 공식 앱
레이블파일:일본 국기.svg 점프 코믹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코믹스
연재 기간2004년 2호 ~ 2018년 42호[1]
2019년 1호 ~ 2019년 3호[2]
2019. 05. 13. ~ 2019. 06. 20.[3]
단행본 권수파일:일본 국기.svg 77권 (2019. 08. 02.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권 (2020. 02. 24. 完)

1. 개요
2. 줄거리
3. 발매 현황
4. 특징
7. 인기
7.1. 여성향에서의 인기
7.2. 천운을 타고난 만화
7.3. 오리콘 차트 순위와 판매량
9. 미디어 믹스
9.3. 게임
9.3.1. 크로스오버 계열
9.5. 공식 캐릭터북
10. 이벤트
11. 기타
1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일본의 개그 액션 만화. 작가는 소라치 히데아키.


2. 줄거리[편집]


사무라이의 나라.

우리의 나라가 그렇게 불리던 것은 지금은 이제는 먼 옛 이야기이다.

20년 전 갑작스럽게 우주에서 내려온 천인의 개항과 폐도령에 의해 사무라이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 은혼 단행본 1권의 내레이션[4]


에도는 지금 갑자기 하늘에서 내려온 '천인'의 대두와 폐도령으로 인해 사무라이가 쇠퇴일로를 걷고 있다. 그러나 사무라이 정신을 굳게 간직한 남자가 있었으니 그의 이름은 사카타 긴토키. 단것을 좋아하는 저돌적인 이 남자가 부패한 에도를 두동강을 낼지도?!



3. 발매 현황[편집]



파일:銀魂logo.png
발매현황
1권~40권
||
[ 펼치기 · 접기 ]
1권2권3권4권
파일:은혼.1.jpg
파일:은혼.2.jpg
파일:은혼.3.jpg
파일:은혼.4.jpg
곱슬머리치고 악한 녀석 없다끈기와 진드기는 종이 한 장 차이따지고 보면 인생은 아저씨가 된 뒤에 갈 길이 더 멀잖아! 끔찍!!부모와 자식은 싫은 부분만 닮는 법이다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04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년 12월 2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07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01월 2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09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02월 0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1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05월 11일
05권06권07권08권
파일:은혼.5.jpg
파일:은혼.6.jpg
파일:은혼.7.jpg
파일:은혼.8.jpg
벨트 컨베이어를 조심해검으로는 벨 수 없는 것이 있다꼭 보면 대수롭지 않은 것이 잘 잊혀지지 않는다딸의 남자친구는 일단 때려놓고 봐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05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03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06월 1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05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07월 0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08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09월 22일
09권10권11권12권
파일:은혼.9.jpg
파일:은혼.10.jpg
파일:은혼.11.jpg
파일:은혼.12.jpg
룸살롱 출입은 스무 살이 되고부터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해는 다시 떠오른다'급할수록 돌아가라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 12월 2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12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01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02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05월 0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04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07월 03일
13권14권15권16권
파일:은혼.13.jpg
파일:은혼.14.jpg
파일:은혼.15.jpg
파일:은혼.16.jpg
어제의 적은 오늘도 이래저래 적사람 넷이 모이면 별별 지혜가 다 나온다여자에게 최고의 화장은 미소나랑 일이랑 뭐가 더 중요하냐고 묻는 여자에겐 저먼 스플렉스를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10월 1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09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11월 1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11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01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1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03월 20일
17권18권19권20권
파일:은혼.17.jpg
파일:은혼.18.jpg
파일:은혼.19.jpg
파일:은혼.20.jpg
게임은 하루 한 시간씩남자들이여, 완폐아이거라책사, 그 술책에 당한다여름방학은 시작하기 전이 가장 즐겁다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3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05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5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08월 1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08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12월 1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01월 17일
21권22권23권24권
파일:은혼.21.jpg
파일:은혼.22.jpg
파일:은혼.23.jpg
파일:은혼.24.jpg
허리는 꼬부라져도 꼿꼿하게가슴엔 항상 드라이버 한 개여행지에서는 대체로 싸우게 된다만나봐도 알 수 없는 것도 있다
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04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05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4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07월 0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12월 23일
25권26권27권28권
파일:은혼.25.jpg
파일:은혼.26.jpg
파일:은혼.27.jpg
파일:은혼.28.jpg
양면을 다 쓰면 점프 느낌이 물씬대낮에 마시는 술맛은 각별하다하늘은 사람 위에 사람을 만들지 않고 상투를 만들었습니다포장마차에 들어가려면 약간의 용기가 필요하다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09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년 02월 1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8년 1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년 03월 1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0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년 07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04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년 10월 13일
29권30권31권32권
파일:은혼.29.jpg
파일:은혼.30.jpg
파일:은혼.31.jpg
파일:은혼.32.jpg
밤거미는 불길하다가슴의 크기와 인간의 크기는 비례한다인기 투표 따위 개나 주라지가부키쵸 들고양이 블루스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07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년 11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09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01월 2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1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05월 2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09월 27일
33권34권35권36권
파일:은혼.33.jpg
파일:은혼.34.jpg
파일:은혼.35.jpg
파일:은혼.36.jpg
나는 그토록 강하고 아름다운 존재가 되고프다무법의 거리에 모여드는 것은 꺄후─한 녀석들뿐먼저 실례하겠소!!수한무(壽限無)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4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1월 0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4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3월 0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8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4월 2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6월 13일
37권38권39권40권
파일:은혼.37.jpg
파일:은혼.38.jpg
파일:은혼.39.jpg
파일:은혼.40.jpg
여름방학이 끝난 뒤에는 모두가 조금은 어른스럽게 보인다아저씨의 집안사정은 하드해망년회에서도 잊어버리면 안 되는 것이 있다세상에는 사랑이 가득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12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8월 3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09월 1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4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12월 1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2월 27일

파일:銀魂logo.png
발매현황
41권~77권
||
[ 펼치기 · 접기 ]
41권42권43권44권
파일:은혼.41.jpg
파일:은혼.42.jpg
파일:은혼.43.jpg
파일:은혼.44.jpg
잘 가라이언이라고 말하지 마가시아귀가 보낸 편지스트레이트 파마 중에 나쁜 녀석은 없다역(逆) 경국지색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9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3월 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1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5월 1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2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8월 2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4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10월 29일
45권46권47권48권
파일:은혼.45.jpg
파일:은혼.46.jpg
파일:은혼.47.jpg
파일:은혼.48.jpg
사랑의 징표빔이라는 단어의 울림은 모든 자의 하트를 꿰뚫는다담당 편집자는 한 명으로 족하다하트에 불을 붙여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11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3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1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5월 0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6월 25일
49권50권51권52권
파일:은혼.49.jpg
파일:은혼.50.jpg
파일:은혼.51.jpg
파일:은혼.52.jpg
라면 한 그릇9+1=야규 쥬베아이돌의 훈장아침과 밤의 사신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5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9월 1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12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9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2월 1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1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3월 19일
53권54권55권56권
파일:은혼.53.jpg
파일:은혼.54.jpg
파일:은혼.55.jpg
파일:은혼.56.jpg
사신이여 안녕가방은 언제나 5천만 엔은 들어갈 만큼 비워 둬라봄도 겨울도빛과 그림자의 장군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6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5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10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1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10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5월 27일
57권58권59권60권
파일:은혼.57.jpg
파일:은혼.58.jpg
파일:은혼.59.jpg
파일:은혼.60.jpg
만물을 지키는 자들잘 있거라, 짱친이여3개의 술잔진정한 길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1월 0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6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4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7월 2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6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9월 2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8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02월 04일
61권62권63권64권
파일:은혼.612.jpg
파일:은혼.62.jpg
파일:은혼.63.jpg
파일:은혼.64.jpg
안녕,신센구미그 시절의 말썽꾸러기떡과 아침밥옛 친구와 지금의 친구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1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04월 2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07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3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09월 0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5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10월 31일
65권66권67권68권
파일:은혼.65.jpg
파일:은혼.66.jpg
파일:은혼.67.jpg
파일:은혼.68.jpg
남매곱슬머리는 아무리 축축 늘어져도 다시 올라온다머리끈을 두르면 수험생으로 보인다둘째는 깜박 잊혀지기 마련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8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1월 0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1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2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12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5월 1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04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8월 22일
69권70권71권72권
파일:은혼.69.jpg
파일:은혼.70.jpg
파일:은혼.71.jpg
파일:은혼.72.jpg
옛날 무용담은 자기 입으로 말하기 민망하니까 남이 말하게 한다나쁜 짓을 하면서도 착한 일을 하는 생물즐거울 것 없는 이 세상을 즐겁게손을 빌리려면 젤리발이 있는 짐승에게만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0월 30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2월 1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1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6월 19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3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10월 19일
73권74권75권76권
파일:은혼.73.jpg
파일:은혼.74.jpg
파일:은혼.75.jpg
파일:은혼.76.jpg
생명의 등불잘 있어라구원그 일상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6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12월 2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8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02월 1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10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04월 1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0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07월 23일
77권 (完)
파일:은혼.77.jpg
곱슬머리치고 제대로 된 녀석 없다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08월 0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2월 24일
[각주]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주간 소년 점프에서 점프 GIGA, 은혼 공식 앱으로 연재처를 옮겨가며 장기 연재했으며, 단행본은 점프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2019년 6월 20일 총 704화, 단행본 77권으로 약 15년 간의 연재를 마무리지었다.

한국어판은 학산문화사에서 완결권인 77권까지 모두 발간했다. 번역가는 49권까지는 설은미, 50권부터 서현아.


3.1. 단행본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은혼/단행본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특징[편집]


파일:attachment/d0025259_4eedd48d53ccf.jpg
작가가 밝힌 은혼의 장르와 주제[5]

연재 초기부터 소년 점프반다이라는 대형 기획사에 어울리지 않는 대사[6]가 1화부터 나오는 등, 기존 소년만화들과는 다른 색을 보였다. 기본적으로는 주인공인 사카타 긴토키시무라 신파치, 카구라를 중심으로 한 요로즈야 긴짱 일행과 주변 인물들이 벌이는 해프닝을 다루는 만화.

작품은 주로 일상 편과 시리어스 편으로 나뉘며, 일상 편은 주로 막장 상황에 처한 막장 캐릭터들이 긴토키 일행과 유쾌한 소동을 벌이는 스토리이며, 시리어스 장편에서는 은혼의 주제와 관련된 비교적 어두운 스토리가 진행된다.[7]
위 사진의 소라치 작가의 말처럼, 하나의 일화,에피소드가 1회 안에 결말이 나고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은 옴니버스식 구성이다. 준 시리어스/시리어스 편은 4~8회차에 걸쳐 진행된다.

가부키쵸라는 환락가를 주 무대로 패전한 전쟁 영웅, 몰락한 사무라이 가문의 후예, 외계에서 밀항한 가출 소녀, 불량 경찰, 인신매매 당한 유녀, 노숙자, 야쿠자, 오카마 등 주변에서 멸시받고 사회에서 소외당하는 인물들이 주조연으로 등장한다. 요로즈야 긴짱, 진선조, 양이지사 등 가부키쵸 주민 여러 집단의 인물들이 각각 보케츳코미를 반복하면서 온갖 관계성을 만들어낸다. 묘사나 행동을 통한 전개보다는 캐릭터의 대사와 독백을 통해 내용이 진행되며[8], 악역들 대부분 역시 자기 나름의 신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작가가 의도한 것으로 현대소설보다는 고전소설에 더 가까운 전개방식이다.

만화 전체를 꿰뚫는 주제는 "사람은 각자가 지키고 싶어하는 것을 위해 신념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 은혼의 무거운 일면인 시리어스 편에서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주제의식이다. 말장난 취급 받는 '銀魂'은 이런 맥락에서 주인공 '긴토키()'의 '혼()'으로 읽을 수 있다. 이런 주제를 곱씹어보면 그저 밑바닥 인생처럼 보이는 등장인물들의 군상도 조금은 다르게 읽힌다. 금(金)은 아니지만, 반짝이는 은(銀)의 이야기.[9]

금()이 아닌 은()의 이야기라서 그런지 등장인물들이 죄다 결핍된 사람들이라서, 의도랑 다르게 2020년대 최대의 이슈인 정치적 올바름가장 부합하는 만화라는 재평가를 받고 있다(...) 그거랑 이건 좀 다른데


4.1. 진행[편집]


파일:원나블/은혼 전개방식.jpg
기본적으로는 병맛 개그물. 소년 잡지 연재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각종 저질 개그섹드립이 수 없이 터지는데도[10] 팬들은 '은혼이니까' 라는 말로 넘어가고, 열렬한 팬 중에는 10살짜리 소년부터 아저씨, 부녀자[11], 아이가 있는 40대 주부도 있는 미스테리어스한 만화이기도 하다. 작가의 할머니는 단행본을 불단에 모셔놓기까지 했다고 한다.(...)

그만큼 넓은 계층을 포섭할 수 있는 만화이다. 위에 병맛 개그물이라고 서술은 하였으나, 정작 팬들에게 '은혼이 무슨 장르냐'고 물어보면 상당히 곤란해하며 '은혼이다.' 또는 금기의 질문을 받아버렸다.는 반응이 대다수.

유쾌함 뒷면에는 의외로 어두운 일면이 숨겨져 있는데, 등장인물들의 과거가 하나같이 시궁창이며, 식민지 사회라는 암담한 현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사실 '시리어스' 라는 메인 스토리를 보면 정치적으로 상당히 복잡한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대의와 이념보다는 일상과 유대의 소중함을 더 강조하고 있다.


4.2. 장편 시리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은혼/장편 시리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은혼/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은혼/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인기[편집]


2021년 일본 만화 총선거
[ 펼치기 · 접기 ]

2021년 1월 2일 테레비 아사히가 발표한 신년 특집 '만화총선거 일본 국민 15만명이 뽑은 좋아하는 만화 베스트 100'의 결과다.
전 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했고 한 사람당 좋아하는 만화 5개를 적었다. 중복 투표는 금지됐다.
1위원피스(포인트: 33,600점)
2위귀멸의 칼날(29,100점)
3위슬램덩크(26,700점)
4위명탐정 코난(25,400점)
5위드래곤볼(22,400점)
6위진격의 거인(21,900점)
7위나루토(19,800점)
8위하이큐!!(18,700점)
9위강철의 연금술사(18,500점)
10위죠죠의 기묘한 모험(17,100점)
11위헌터×헌터(16,200점)
12위은혼(16,100점)
13위킹덤(15,200점)
14위월드 트리거(11,700점)
15위도라에몽(11,300점)
16위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900점)
17위유유백서(8,600점)
18위블랙 잭(8,200점)
19위주술회전(8,000점)
20위나츠메 우인장(7,400점)
21위유리가면(7,100점)
22위북두의 권(7,000점)
23위블리치(6,950점)
24위터치(6,900점)
25위불새(6,800점)
26위바나나 피쉬(5,800점)
27위베르사이유의 장미(5,600점)
28위이누야샤(5,300점)
29위내일의 죠(5,100점)
30위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4,950점)
31위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4,900점)
32위메종일각(4,600점)
33위금색의 갓슈!!(4,400점)
34위포의 일족(4,100점)
35위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4,080점)
36위고르고13(4,060점)
37위사자에상(4,040점)
38위거인의 별(4,020점)
39위철완 아톰(4,000점)
40위골든 카무이(3,950점)
41위도쿄 구울(3,900점)
42위도카벤(3,850점)
43위5등분의 신부(3,800점)
44위에이스를 노려라!(3,600점)
45위동물의사 Dr.스쿠르(3,450점)
46위약속의 네버랜드(3,400점)
47위더 화이팅(3,100점)
48위요괴소년 호야(3,000점)
49위마스터 키튼(2,900점)
50위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2,850점)
51위암살교실(2,800점)
52위쿠로코의 농구(2,750점)
53위흑집사(2,700점)
54위테니스의 왕자(2,650점)
55위하이카라씨가 간다(2,600점)
56위캔디캔디(2,300점)
57위시티헌터(2,290점)
58위체인소 맨(2,260점)
59위노다메 칸타빌레(2,230점)
60위기생수(2,200점)
61위시끌별 녀석들(2,000점)
62위카드캡터 사쿠라(1,900점)
63위근육맨(1,850점)
64위문호 스트레이독스(1,800점)
65위페어리 테일(1,790점)
66위두근두근 투나잇(1,760점)
67위가정교사 히트맨 REBORN!(1,730점)
68위봉신연의(1,700점)
69위사이보그 009(1,550점)
70위꽃보다 남자(1,500점)
71위철인 28호(1,300점)
72위H2(1,250점)
73위은하철도 999(1,200점)
74위데빌맨(1,160점)
75위마기(1,130점)
76위맛의 달인(1,100점)
77위아부상(1,050점)
78위우주전함 야마토(1,000점)
79위바사라(990점)
80위캡틴(980점)
81위바리바리 전설(960점)
82위히카루의 바둑(950점)
83위메이저(930점)
84위불꽃 소방대(920점)
85위지박소년 하나코 군(900점)
86위꼭두각시 서커스(890점)
87위후르츠 바스켓(860점)
88위바람의 대지(830점)
89위유한클럽(800점)
90위ARIA(780점)
91위베르세르크(760점)
92위마카로니 호렌소(740점)
93위리본의 기사(720점)
94위여친, 빌리겠습니다(700점)
95위D.Gray-man(690점)
96위스켓(660점)
97위캡틴 츠바사(640점)
98위천사가 아니야(600점)
99위3월의 라이온(580점)
100위닥터 스톤(560점)
같이 보기: 만화 총선거, 애니송 총선거
2021년 발표, 출처1 / 출처 2




단행본의 누계 발행부수는 5500만 부 이상으로 일본만화 전체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12] 소재의 애매함에도 불구하고, 만화 곳곳에 작가의 센스가 작렬하였고, 원작을 잘 살린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면서 전성기 때는 연간 만화 판매량이 원나블강철의 연금술사에 이은 5위[13], 점프 만화 중에서는 원나블 다음이었을 정도로 점프의 감초 만화로서 큰 인기를 끌었다.

사실 은혼은 시간이 지나서 재조명을 받은 사례이다. 지금은 병맛 컨셉의 만화들이 많지만, 은혼이 연재를 시작할 시기에는 원나블같은 정석적인 왕도물이 인기를 끌던 시기였다. 이후, 아즈망가 대왕같은 가벼운 병맛 컨셉의 작품들의 전성기가 오면서 함께 재조명받아 병맛컨셉의 선두주자 격으로 여겨지게 된 것이다. 나름 시대를 초월한 작품.

7.1. 여성향에서의 인기[편집]


화장실 유머로 점철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여성팬이 많은 소년만화 중 하나이다. 그냥 많은 정도가 아니라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다. 소년만화뿐만 아니라 모든 장르의 작품들을 통틀어도 여성들이 입덕하게 된 계기가 된 만화/애니, 가장 좋아하는 만화/애니 순위에서 1등을 놓친 적이 거의 없고, 주인공인 사카타 긴토키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결혼하고 싶은 남성 캐릭터나 사귀고 싶은 남성 캐릭터, 좋아하는 남성 캐릭터에서 1등을 놓친 적이 거의 없으며, 히지카타 토시로, 오키타 소고, 다카스기 신스케, 가츠라 고타로 등도 항상 순위권에 위치해 있다[14][15].

특히, 이러한 점은 여덕들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던 메이저 모토인 최고모에토너먼트에서 잘 드러났는데, 은리서클이란 현상까지 생길 정도로 남성부에서 리본과의 라이벌리는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으로 남아 있다. 물론 남성 캐릭터들뿐만 아니라 카구라도 여성들이 가장 좋아하는 여성 캐릭터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심지어 작가인 소라치 히데아키도 여성들이 가장 좋아하는 만화 작가 1위(...). 제작진 왈, 원래 남자들만 볼 줄 알았는데 여자들이 이런 저질개그를 좋아할 줄은 몰랐다고[16].

거의 등장하지 않는 다카스기 신스케, 카무이 등이 인기투표 상위권에 있고 카구라, 츠쿠요를 제외한 여성 캐릭터들의 순위가 낮은 것은 이 때문이다. 여성팬이 많아 BL 동인지도 상당수이며, 애니메이션판가짜 DVD 재킷도 이런 현상의 일종의 패러디이다.

아예 본격적으로 여성향을 노린 만화도 아닌데 동인계에서 여성향으로 흥해버려서 아예 원작부터가 그쪽 성향인 줄 아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당연하게 원작은 물론이고 애니도 부녀자 계층이 좋아할 만한 BL요소는 없다고 봐도 좋다.[17] 심지어 국내 한정으로 은혼을 좋아하는 여성 팬들이 역으로 은혼을 좋아하는 남성 팬을 특이한 듯이 바라보는 경우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자들도 은혼 좋아하나요?"라고 물어보는 식이다.[18] 물론 여성팬이라고 해서 다 부녀자는 아닌지라 단지 은혼의 개그 분위기를 좋아해서 팬이 된 여성들도 많다.

만화 업계의 여성들에게도 인기가 있다. 고토게 코요하루는 은혼의 팬이라서 점프에 입사했다고 하며 토리야마 아키라의 딸이 은혼을 좋아해서 토리야마가 직접 소라치에게 알려줬다고.[19] 소라치는 "공주님이 봐주신다니 영광입니다."라고 답했다.[20]

한국의 여자 연예인들 중에서도 이 만화를 좋아한다고 밝힌 사람이 몇 명 있다.


7.2. 천운을 타고난 만화[편집]


작가는 이 만화가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것에 대해서 다 자신이 열심히 해서 그런 것이라고 말하지만[21] 사실 소년 점프에 처음 연재될 당시에는 도저히 점프에 맞지 않는 성인지향적 내용으로 인기 순위가 최하를 달려 연재 10주 뒤 잘릴 것으로 되어 있었다.[22] 그런데 10주가 다 되어가던 때에 기적이 일어났다. 최고의 인기를 자랑하던 《유희왕》이 작가의 건강 악화로 갑자기 연재가 종료된 것. 그 유희왕의 공백을 채우려고 갑자기 신규작품 3개 정도가 추가로 연재되었는데 그 신규작들이 인기가 바닥(...)이라 은혼의 인기가 갑자기 4계단이나 상승한 것이다.[23] 그렇게 해서 장기 연재에 들어갈 수 있었다.[24]

거기에다 원래 점프 편집부에선 이 만화가 발매 당시에 당시 최고 화제작 데스노트 1권과 동시에 발매되어 안 팔릴 줄 알고 초판을 매우 적게 찍었는데 수많은 사람들이 데스노트를 사러 갔다가 같은 위치에 꽂혀있던 은혼을 겸사겸사 사가는 경우가 발생하여 초판이 순식간에 매진되는 기적을 일으켰다.[25] 그 이후로 작가 자신의 개그 센스가 좋아짐과 동시에 단행본도 불티나게 팔리기 시작했다. 그야말로 '은혼스러운' 천운을 타고난 만화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선 이 만화가 1권만 기형적으로 많이 팔려 조사해보니 이렇게 데스노트 1권 사는 김에 같이 구입했던 사람들이 1권만 보고는 "낚였구나!" 해서 다음 권을 사지 않아 이렇게 된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에서도 반응은 비슷했지만 1, 2권 뒤에 들어간 단편이 더 재밌다는 이유로 단행본을 계속 사게 된 사람도 있다는 후문.[26]

비록 시작은 이랬지만 연재가 진행되면서 서서히 인기가 상승해, 마침내 소년 점프의 간판급 고참 장기 연재작이 되어버린 것도 개그.(...)

파일:원헌은.jpg
66권 작가의 말에 나온 긴토키의 대사. 66권 발매 시점 점프 연재작 중 은혼보다 더 오래 연재 중인 만화는 원피스헌터×헌터밖에 없었다. 현재 기점으로 완결된 점프 작품들 중 은혼보다 점프에서 더 오래 연재한 만화는 코치카메(40년), 나루토(15년), 블리치(15년) 단 세 작품뿐이며 은혼의 단행본 권수는 나루토(72권), 블리치(74권)를 뛰어넘는 77권. 그야말로 점프의 감초라 할 수 있었던 만화. 여담이지만, 은혼 최후반부 당시 이미지에 있는 곤이 나온 헌터x헌터는 작가의 허리 건강 문제로 인해 400화 남짓으로 자유연재를 하고 있었으니 실질적으로 선두에 달리고 있던건 루피영감 뿐이었다.

7.3. 오리콘 차트 순위와 판매량[편집]


다음은 은혼의 역대 오리콘 차트 순위와 판매부수 일람.

은혼 23권: 01주차 191,108권 (04위) 02주차 120,625권 (04위)
은혼 24권: 01주차 187,304권 (02위) 02주차 171,218권 (02위)
은혼 25권: 01주차 243,164권 (04위) 02주차 100,483권 (08위)
은혼 26권: 01주차 270,743권 (04위) 02주차 097,810권 (06위)
은혼 27권: 01주차 306,488권 (04위) 02주차 094,457권 (05위)
은혼 28권: 01주차 229,223권 (04위) 02주차 157,792권 (04위)
은혼 29권: 01주차 204,432권 (04위) 02주차 138,670권 (02위)
은혼 30권: 01주차 288,225권 (03위) 02주차 130,932권 (04위)
은혼 31권: 01주차 264,895권 (01위) 02주차 083,337권 (02위)
은혼 32권: 01주차 311,062권 (02위) 02주차 060,460권 (08위)
은혼 33권: 01주차 191,268권 (03위) 02주차 138,370권 (05위)
은혼 34권: 01주차 223,675권 (05위) 02주차 136,297권 (04위)
은혼 35권: 01주차 280,185권 (05위) 02주차 089,800권 (09위)
은혼 36권: 01주차 283,625권 (03위) 02주차 066,280권 (08위)
은혼 37권: 01주차 188,618권 (04위) 02주차 134,298권 (04위)
은혼 38권: 01주차 203,471권 (02위) 02주차 122,237권 (02위)
은혼 39권: 01주차 314,393권 (01위) 02주차 066,475권 (07위)
은혼 40권: 01주차 315,082권 (02위) 02주차 062,554권 (05위)
은혼 41권: 01주차 182,509권 (02위) 02주차 137,427권 (02위)
은혼 42권: 01주차 202,976권 (03위) 02주차 114,261권 (04위)
은혼 43권: 01주차 209,760권 (04위) 02주차 119,986권 (04위)
은혼 44권: 01주차 270,460권 (04위) 02주차 074,080권 (09위)
은혼 45권: 01주차 260,286권 (02위) 02주차 073,161권 (04위)
은혼 46권: 01주차 229,133권 (02위) 02주차 082,638권 (06위)
은혼 47권: 01주차 233,890권 (07위) 02주차 059,100권 (13위)
은혼 48권 01주차 245,087권 (03위) 02주차 052,616권 (09위)
은혼 49권: 01주차 197,973권 (04위) 02주차 083,176권 (04위)
은혼 50권: 01주차 223,483권 (03위) 02주차 086,353권 (06위)
은혼 51권: 01주차 211,088권 (03위) 02주차 067,611권 (05위)
은혼 52권: 01주차 202,666권 (04위) 02주차 065,603권 (13위)
은혼 53권: 01주차 203,161권 (01위) 02주차 066,292권 (03위)
은혼 54권: 01주차 132,742권 (07위) 02주차 107,882권 (09위)
은혼 55권: 01주차 123,836권 (06위) 02주차 089,636권 (07위)
은혼 56권: 01주차 137,264권 (05위) 02주차 089,174권 (08위)
은혼 57권: 01주차 234,518권 (04위) 02주차 046,798권 (13위)
은혼 58권: 01주차 141,197권 (07위) 02주차 097,500권 (09위)
은혼 59권: 01주차 188,853권 (04위) 02주차 081,312권 (08위)
은혼 60권: 01주차 223,596권 (08위) 02주차 064,105권 (19위)

파일:은혼판매량.png
파일:은혼판매순위.png


8. 비판 및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은혼/비판 및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미디어 믹스[편집]



9.1. 애니메이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은혼(애니메이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 소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3학년 Z반 긴파치 선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3. 게임[편집]






9.3.1. 크로스오버 계열[편집]




9.4. 실사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은혼 실사화 시리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5. 공식 캐릭터북[편집]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8925835495_f.jpg파일:external/image.aladin.co.kr/8925891395_f.jpg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816Y6O2xy0L.jpg
파일:일본 국기.svg 2006년 04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년 10월 1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9년 05월 0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3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10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10. 이벤트[편집]


도쿄에 있는 료고쿠 국기관에서 개최한다. 여러 코너들이 준비 되며, 성우들이 현장에서 시리어스/개그 에피소드 명장면 후시녹음 등을 하거나, 오프닝과 엔딩을 부른 아티스트들을 초대하여 라이브도 한다. 주요 성우진인 스기타 토모카즈, 사카구치 다이스케, 쿠기미야 리에, 치바 스스무, 나카이 카즈야, 스즈무라 켄이치[31], 오오타 테츠하루, 이시다 아키라, 타카하시 미카코는 매회 레귤러 출연. 장편 에피소드의 후시녹음도 있으며, 그 때 출연한 게스트 성우진이 서프라이즈 게스트로도 등장. 엔딩에 항상 나오는 소라치의 편지가 대미를 장식한다.


11. 기타[편집]
















12. 관련 문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은혼/관련 문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은혼이란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문서.

은혼 안에 들어가 있는 각종 서브컬처 관련 네타는 실로 방대한 수준으로, 뒤늦게 오타쿠웨이에 들어선 오타쿠들이 100% 즐기기가 상당히 까다로운 작품이다. 비슷한 케이스였던 선배격 작품인 개구리 중사 케로로가 그나마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울트라맨 시리즈,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등 나름대로 네타가 한정되어 있었던 것과는 큰 차이.

때문에 은혼 관련 데이터를 검색하다가 자연스럽게 위키를 이용하게 되는 케이스가 전 세계적으로 속출하는 중이며, 엔하위키 시절부터 본 문서에는 은혼과 관련된 컨텐츠들의 내부 링크를 따로 분류하고 있었다. 나무위키 시점에서는 그 양이 방대해져 따로 분리했다.


13. 외부 링크[편집]





[1] 주간 소년 점프[2] 점프 GIGA[3] 은혼 공식앱[4] 시무라 신파치가 맡았다. 개그 에피소드에서 종종 다른 내용으로 패러디된다.[5] 번역본에서 위와 같이 가독성이 떨어지는 폰트를 쓴 건 일부러 그렇게 한 것. 작가인 소라치가 엄청난 악필이라 단행본에 작가의 말을 자필로 실으면 당최 알아보기 힘들 정도인데, 그걸 반영해서 번역본의 폰트도 읽기 힘든 폰트를 쓴 것이다.[6]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대형 잡지사나 대형 애니메이션 기획사에선 주로 왕도적이고 심의를 지키려는 작품이 주를 이루던 시기였고, 그렇지 않는 작품들은 비메이저로 빠지거나 심야에 방영되던 시기였다.[7] 다만, 일상 편과 시리어스 편은 칼 자르듯 분리된 내용이 아니며 같은 시점과 시공간 안에서 발생한 내용이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국 일상 편과 시리어스 편을 병행해야 한다.[8] 소라치 히데아키의 인터뷰에서 등장인물들의 대사에 가장 신경을 많이 쓴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9] 작가는 이에 대해서 금메달 때문에 보다 높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자긴 그렇지 않다는 말을 했다.[10] '이 만화에서 배운 일본어를 절대 써서는 안 된다'라는 말이 떠돌 정도. 심지어 간의 성관계가 간접적으로 나오기도 했다![11] 각종 저질 개그들로 여성팬들이 적을 것 같지만, 미형이고 개성적인 캐릭터들로 인기가 많다.[12] 다만, 권수빨이라는 말에 해당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권당부수는 100만부도 안된다. 점프의 간판급 히트작들 중에서는 적은 편에 속한다.[13] 2009년 순위.[14] 이들의 공통점은 여성들이 빠져버릴 정도의 외모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 문제는 그 훌륭한 외모에 어울리지 않는 기행에, 바보짓들을 하고 다니는 통에 좋지못한 평가를 듣는다는데 있다(...).[15] 예를 들어 히지카타 토시로는 마요네즈에 환장한 중증 마요네즈 중독자, 오키타 소고는 악명높은 뺀질이에다 새디스트, 가츠라 코타로는 쓸데없이 자기 이름 정정하는데 열심인 선생 기질이 있다. 여기에 주인공인 사카타 긴토키는 귀차니스트.[16] TVA판만 봐도 시모네타가 거의 기본적으로 등장한다. 게다가 이것도 나름대로 은근하게 수위가 높은 편이다.[17] 예외가 있다면 망년회 에피소드에선 긴토키가 하세가와랑 진짜 했다(...)만 부녀자들이 하세가와를 좋아할 리 만무해서 노리고 만든 것보단 평소대로 막장 개그를 한 것에 가깝다.[18] 물론 원작 자체는 아저씨 개그에 시모네타 투성이인 소년만화. 이런 현상은 은혼이 성별을 가리지 않고 인기를 끌고 있다는 증거라고도 할 수 있다.[19] "내 딸이 드래곤볼은 안보는데 소라치 선생의 은혼은 좋아하더라. 근데 은혼에 내 작품의 패러디가 많이 나와서 내 딸이 패러디를 이해하려고 내 작품을 보게 됐다. 고맙다."[20] 소라치가 드래곤볼의 엄청난 빠이고 소라치 세대의 만화가들에게 드래곤볼이 바이블처럼 여겨지는 것을 생각하면 참 재밌는 부분. 따님이 건담도 보셔야겠네[21] 물론 진짜로 자기 과시 목적으로 그런 게 아니라, 작가 성향 상 어느 정도 과장해서 농담성으로 한 말이다. 다만 그래도 인기가 쭉 이어진 건 확실히 작가 본인이 실력을 쌓은 덕분이긴 하다.[22] 그런데 은혼이 인기를 얻고 나서는 점프의 개그 만화 신작들이 하나같이 은혼의 영향을 받았다. 히로인이 추한 모습으로 토한다든지, 음담패설 발언을 한다는 등. 이상한 쪽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23] 아이러니한 것은 은혼을 구원해낸 유희왕도 초반에는 인기가 없어서 은혼과 비슷하게 생존하다가 특별한 계기를 통해 전환점을 겪고 인기를 얻어 장기 연재를 얻어낸 작품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유희왕과 은혼은 사두용미 만화의 대표들로 거론되고 있다.[24] 만약 이때 잘렸다면 은혼은 잠시 나왔다 사라지고 마는 수많은 조기 완결작 중 하나에 불과했을 것이다.[25] 2권에서 작가 왈, '1권은 편집부, 서점이 완전히 우습게 본 탓에 재고 부족으로 많은 분께 불편을 끼친 것 같은데, (중략) 잘못은 악의 소굴 집영사와 담당자 온치치 오니시니까 불평 편지를 많이 보내주세요.'(...)[26] 참고로 현재 일본에서 은혼 1권 초판은 상당한 레어 품목으로 통상보다 고가로 거래된다.[27] 双六일본의 주사위로 하는 보드게임.[28] 읽는 법은 '긴타마 무소 로쿠'가 아닌 '긴타마노 스고로쿠'이다 無=NO라고 말장난을 친 것. 대놓고 낚으려고 만든 제목이다보니 PV에서도 일부러 제목은 말하지 않지만 타이틀 밑에 보면 'GINTAMA NO SUGOROKU'라고 써 있다.[29] 발음은 그대로다.[30] TVA는 방영 시기가 시기인지라 은혼 난무로 바뀌었다. 그리고 역사는 반복되었다[31] 2017년 하나마츠리에서는 아쉽게도 다른 스케쥴로 불참하였다.[32] 여담이지만 이때 마지막 밤부 공연이 끝나고 나서 밖에는 비가 내리고 있었다. 트위터에서는 맑음 축제가 끝나니 비가 내린다고 신기해하는 반응들이 많았다.[33] 고환의 일본어가 '킨타마'이다. 작품 특성상 대놓고 노리고 만든 제목. 한국어로 치면 '부알'이나 '물알'쯤 될 듯. 부활이어도 나쁘지 않았을것 같다 마치 '이것은 아저씨의 금구슬!'을 연상케 한다(...).[34] 10년간의 양이전쟁, 긴토키의 어릴 적 모습 등[35] 렌호편에서 엘리자베스가 사라지고 1년이 지났다는 언급을 하지만 여전히 사자에상 시공이라 등장인물 중 아무도 변화가 없다.[36] 참고로 암살교실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소라치가 암살해버린다고 했다. 작가가 독자 암살하는 만화[37] '네가 촌장에 대해 뭘 알아! 촌장은 그런 사람이 아니야!'라든지, 마리오의 동생 루이지를 컴플렉스 가득한 동생이라고 언급한 즈라에게 긴토키가 '말 조심해! 네가 루이지에 대해 뭘 알아!'라고 대답한다든지.[38] 쉽게 말하면 1000원은 너무 적고 5000원은 너무 많아서 적당히 중간 가격 준 거라고 보면 된다(...)[39] 金魂迷場面セレクション. '미장면셀렉션'이라는 건 '명장면셀렉션'과 발음이 동일하단 걸 이용한 다자레이다.[40] 이 태그가 달리면 은혼 태그를 달지 않는 불문율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