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본프로야구/2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일본프로야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의 야구 리그
[ 펼치기 · 접기 ]

구분명칭
프로1군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 퍼시픽리그
2군일본프로야구 2군
이스턴리그 / 웨스턴리그
사회인도시대항야구대회
사회인야구일본선수권대회
지구연맹주최대회
전일본클럽야구선수권대회
독립일본독립리그야구기구 산하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규슈 아시아 리그
홋카이도 프런티어 리그
기타간사이 독립 리그
홋카이도 베이스볼 리그
일본해 오세안 리그
프로야구 마스터스 리그(중단)
대학전일본대학야구선수권대회
메이지진구야구대회
고교선발고등학교야구대회 /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 외 8개 대회




1. 개요
2. 양대 리그 및 소속 구단
2.1. 이스턴 리그
2.1.1. 역사
2.1.2. 시즌별 성적
2.2. 웨스턴리그
2.2.1. 역사
2.2.2. 시즌별 성적
3. 시즌 진행 방식(2017년 기준)
4. 팜 일본선수권(2군 일본시리즈)
4.1. 역대 시리즈 개최 결과
5. 프레시 올스타게임(올스타전)
6. 특징
8. 3군
9. 기타
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일본프로야구의 2군 리그는 딱히 통합된 개념이나 명칭이 존재하지 않는다. 1군처럼 양대리그로 구성되어 있으며, 2군을 구성하는 리그의 명칭은 각각 이스턴리그, 웨스턴리그로 나뉘게 된다. 또한 일본프로야구의 2군은 보통 팜(ファーム)이란 명칭으로 불린다.


2. 양대 리그 및 소속 구단[편집]



2.1. 이스턴 리그[편집]


파일:flag_eastern_l.gif
イースタン・リーグ
Eastern League, 약칭 EL

일본 동부 지역의 일본프로야구팀 2군이 참가하며, 2017년 현재 총 7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2.1.1. 역사[편집]


1954년, 센트럴리그 소속 구단의 2군끼리 모여 신일본리그(新日本リーグ)가 결성되었으며, 이 리그가 지금의 이스턴리그의 모태가 된다. 이듬해인 1955년 양대리그 2군 리그가 새로이 개편되어 동부 지역의 일본프로야구 2군이 모여 새로운 육성리그를 결성했으며, 이것이 바로 이스턴리그다.[1]

당시 리그 소속팀은 다음과 같다.
소속구단
요미우리 주니어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고쿠테츠 후레쉬 스왈로즈고쿠테츠 스왈로즈
타이요 주니어 훼일즈타이요 훼일즈
토에이 칙 플라이어즈토에이 플라이어즈
다이에이 주니어 스타즈다이에이 스타즈
마이니치 글리터 오리온즈마이니치 오리온즈
톤보 B 유니온즈톤보 유니온즈(타카하시 유니온즈)

그러나 선수부족, 흥행 방향성 문제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1956년~1960년까지 리그가 중단된다.

그 후 1961년부터 다시 이스턴리그가 재개되었으며, 당시 존속 중이었던 동부 지역의 5개 일본프로야구요미우리 자이언츠, 고쿠테츠 스왈로즈, 타이요 훼일즈, 토에이 플라이어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산하의 2군 구단이 이스턴리그에 참가한다.

이후 1979년, 웨스턴리그 소속이었던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세이부 그룹에게 매각되어 세이부 라이온즈로 개명하고 사이타마 현으로 연고이전하면서 새로이 이스턴리그에 참가하면서 소속구단이 6개로 늘어났고, 2005년 신구단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군 구단도 동부 지역에 터를 잡아 이스턴리그에 참가하게 되면서 소속구단이 7개로 늘어나 현재 총 7개팀의 2군이 소속되어 있다.

2024년부터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2]이 신규참가하면서 8개팀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2.1.2. 시즌별 성적[편집]


가독성 문제로 구단 표시는 약칭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팀명약칭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야쿠르트 스왈로즈고쿠테츠(1955~1964)
산케이(1965~1968)
아톰즈(1969)
야쿠르트(1970~)
치바 롯데 마린즈마이니치(1955~1957)
다이마이(1958~1963)
도쿄(1964~1968)
롯데(1969~)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타이요(1955~1992)
요코하마(1993~1999, 2011)
쇼난(2000~2010)
DeNA(201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토에이(1955~1972)
닛타쿠홈(1973)
닛폰햄(1974~)
타카하시/톤보 유니온즈(해체)톤보[3]
다이에이 스타즈/유니온즈(해체)다이에이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1979~2004, 2008)
인보이스(2005~2006)
굿윌(2007)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

연도우승2위3위4위5위6위7위
1955[4]마이니치고쿠테츠요미우리톤보다이에이타이요토에이
1956~1960리그 중단[5]
1961요미우리, 토에이[6]없음[7]타이요다이마이고쿠테츠
1962다이마이토에이요미우리고쿠테츠타이요
1963다이마이고쿠테츠요미우리타이요토에이
1964도쿄고쿠테츠요미우리타이요토에이
1965요미우리타이요도쿄토에이산케이
1966요미우리토에이도쿄타이요산케이
1967요미우리토에이도쿄타이요산케이
1968타이요요미우리토에이산케이도쿄
1969요미우리롯데타이요아톰즈토에이
1970롯데요미우리타이요야쿠르트토에이
1971야쿠르트요미우리롯데타이요토에이
1972야쿠르트요미우리타이요롯데토에이
1973요미우리야쿠르트닛타쿠홈롯데타이요
1974요미우리타이요닛폰햄야쿠르트롯데
1975타이요요미우리야쿠르트닛폰햄롯데
1976요미우리야쿠르트타이요닛폰햄롯데
1977요미우리타이요야쿠르트닛폰햄롯데
1978요미우리타이요롯데야쿠르트닛폰햄
1979[8]야쿠르트요미우리세이부롯데닛폰햄타이요
1980닛폰햄롯데야쿠르트세이부타이요요미우리
1981세이부롯데요미우리닛폰햄야쿠르트타이요
1982타이요야쿠르트롯데세이부요미우리닛폰햄
1983세이부요미우리타이요야쿠르트롯데닛폰햄
1984세이부요미우리타이요롯데닛폰햄야쿠르트
1985세이부닛폰햄요미우리롯데야쿠르트타이요
1986요미우리롯데세이부닛폰햄타이요야쿠르트
1987요미우리야쿠르트타이요세이부닛폰햄롯데
1988요미우리야쿠르트롯데세이부타이요닛폰햄
1989요미우리세이부타이요야쿠르트롯데닛폰햄
1990요미우리세이부타이요야쿠르트롯데닛폰햄
1991요미우리타이요롯데세이부야쿠르트닛폰햄
1992요미우리세이부야쿠르트롯데타이요닛폰햄
1993요미우리롯데닛폰햄야쿠르트세이부요코하마
1994요미우리닛폰햄롯데야쿠르트요코하마세이부
1995요미우리세이부야쿠르트닛폰햄요코하마롯데
1996롯데요미우리세이부닛폰햄야쿠르트요코하마
1997닛폰햄세이부요미우리야쿠르트롯데요코하마
1998야쿠르트요미우리닛폰햄세이부롯데요코하마
1999닛폰햄요미우리세이부롯데요코하마야쿠르트
2000요미우리세이부야쿠르트쇼난롯데닛폰햄
2001세이부요미우리쇼난야쿠르트롯데닛폰햄
2002세이부닛폰햄요미우리쇼난롯데야쿠르트
2003닛폰햄쇼난야쿠르트요미우리롯데세이부
2004닛폰햄요미우리쇼난야쿠르트롯데세이부
2005[9]롯데인보이스쇼난라쿠텐닛폰햄요미우리야쿠르트
2006롯데야쿠르트요미우리라쿠텐쇼난인보이스닛폰햄
2007요미우리닛폰햄쇼난야쿠르트라쿠텐굿윌롯데
2008야쿠르트요미우리쇼난라쿠텐세이부롯데닛폰햄
2009요미우리롯데쇼난야쿠르트닛폰햄세이부라쿠텐
2010롯데요미우리쇼난라쿠텐야쿠르트닛폰햄세이부
2011닛폰햄요미우리라쿠텐야쿠르트세이부요코하마롯데
2012롯데DeNA라쿠텐요미우리세이부닛폰햄야쿠르트
2013야쿠르트롯데요미우리DeNA라쿠텐세이부닛폰햄
2014롯데DeNA야쿠르트라쿠텐세이부요미우리닛폰햄
2015요미우리DeNA세이부롯데라쿠텐닛폰햄야쿠르트
2016요미우리라쿠텐세이부롯데DeNA닛폰햄야쿠르트
2017요미우리라쿠텐야쿠르트롯데세이부닛폰햄DeNA


2.2. 웨스턴리그[편집]


파일:flag_western_l.gif
ウエスタン・リーグ
Western League, 약칭 WL

일본 서부 지역의 일본프로야구팀 2군이 참가하며, 2017년 현재 총 5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웨스턴 리그
팀명홈구장
오릭스 버팔로즈마이시마 베이스볼 스타디움
(舞洲ベースボールスタジアム)
주니치 드래곤즈나고야 구장
(ナゴヤ球場)
한신 타이거스한신나루오하마 구장
(阪神鳴尾浜球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타마홈 스타디움 지쿠고
(タマホーム スタジアム筑後)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유우 연습장
(広島東洋カープ由宇練習場)

2.2.1. 역사[편집]


1952년, 당시 간사이 지역에 있던 일본프로야구단 산하 2군끼리 모여 간사이 팜 리그(関西ファーム・リーグ)가 결성되었으며, 이 리그가 지금의 웨스턴리그의 모태가 된다. 그 뒤 1955년 양대리그 2군 리그가 새로이 개편되어 서부 지역의 7개 일본프로야구주니치 드래곤즈, 한신 타이거스[10], 한큐 브레이브스, 난카이 호크스, 니시테츠 라이온즈, 킨테츠 펄스, 히로시마 카프[11] 산하의 2군 구단이 모여 새로운 육성리그를 결성했으며, 이것이 바로 웨스턴리그다.

이후 1979년,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12]세이부 그룹에게 매각되어 세이부 라이온즈로 개명하고 사이타마 현으로 연고이전하면서 이스턴리그로 소속을 옮기며 소속구단이 6개로 줄었고, 그 후 6개 구단 체제로 리그가 진행되다가 2004년, 오릭스 블루웨이브,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의 합병으로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는 해산, 양팀의 합병으로 오릭스 버팔로즈가 등장했고, 그 대안으로 새로이 창단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1/2군 전부 동부 지역을 연고지로 잡아 이스턴리그로 이동하며 소속 구단이 5개로 줄어들었고, 이렇게 하여 현재 총 5개팀의 2군이 소속되어 있다.

2024년부터 시즈오카현 연고의 하야테223[13]이 신규참가하면서 6개팀으로 늘어날 예정이다.[14]

2.2.2. 시즌별 성적[편집]


가독성 문제로 구단 표시는 약칭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팀명약칭
한신 타이거스한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난카이(1955~1988)
다이에(1989~2004)
소프트뱅크(2005~)
오릭스 버팔로즈한큐(1955~1988)
오릭스(1989~1999, 2009~)
서패스(2000~2008)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니시테츠/타이헤이요 클럽/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니시테츠(1955~1972)
타이헤이요 클럽(1973~1976)
크라운라이터(1977~1978)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해체)킨테츠

연도우승2위3위4위5위6위7위
1955한신난카이한큐주니치히로시마니시테츠킨테츠
1956주니치한신히로시마한큐니시테츠난카이킨테츠
1957한큐난카이니시테츠주니치한신킨테츠히로시마
1958주니치한큐킨테츠니시테츠한신난카이히로시마
1959한신니시테츠주니치킨테츠한큐히로시마난카이
1960히로시마주니치한신킨테츠니시테츠난카이한큐
1961한신주니치난카이한큐킨테츠니시테츠히로시마
1962난카이니시테츠한신한큐주니치히로시마킨테츠
1963한신주니치난카이니시테츠킨테츠한큐히로시마
1964한신[B]난카이[B]주니치니시테츠한큐킨테츠히로시마
1965한큐히로시마난카이한신주니치킨테츠니시테츠
1966한큐히로시마주니치니시테츠한신난카이킨테츠
1967히로시마한큐한신주니치니시테츠킨테츠난카이
1968히로시마한큐한신니시테츠킨테츠난카이주니치
1969주니치한신한큐주니치난카이킨테츠니시테츠
1970히로시마난카이한큐주니치킨테츠한신니시테츠
1971주니치한큐니시테츠난카이킨테츠한신히로시마
1972한신난카이한큐주니치니시테츠히로시마킨테츠
1973킨테츠난카이타이헤이요 클럽히로시마주니치한큐한신
1974주니치한큐히로시마킨테츠난카이한신타이헤이요 클럽
1975난카이킨테츠주니치히로시마타이헤이요한신한큐
1976히로시마주니치한큐난카이한신타이헤이요킨테츠
1977한큐히로시마킨테츠크라운라이터주니치한신난카이
1978한큐주니치히로시마킨테츠난카이크라운라이터한신
1979[15]킨테츠주니치한신한큐히로시마난카이
1980난카이주니치한큐킨테츠히로시마한신
1981난카이킨테츠한큐히로시마주니치한신
1982히로시마난카이킨테츠한큐주니치한신
1983주니치킨테츠히로시마난카이한신한큐
1984난카이히로시마한신한큐주니치킨테츠
1985히로시마난카이킨테츠한신주니치한큐
1986한신킨테츠히로시마난카이주니치한큐
1987주니치한신히로시마난카이킨테츠한큐
1988주니치킨테츠한큐한신히로시마난카이
1989오릭스주니치킨테츠다이에히로시마한신
1990주니치다이에한신킨테츠히로시마오릭스
1991히로시마오릭스한신다이에주니치킨테츠
1992주니치다이에오릭스한신킨테츠히로시마
1993주니치다이에한신오릭스히로시마킨테츠
1994오릭스주니치다이에킨테츠한신히로시마
1995킨테츠오릭스한신다이에히로시마주니치
1996킨테츠다이에히로시마오릭스주니치한신
1997오릭스킨테츠다이에주니치한신히로시마
1998한신주니치다이에오릭스킨테츠히로시마
1999한신주니치킨테츠다이에오릭스히로시마
2000주니치한신다이에킨테츠히로시마서패스
2001한신다이에주니치킨테츠서패스히로시마
2002한신히로시마다이에주니치킨테츠서패스
2003[C]한신
(전기 2위)
(후기 우승)
히로시마
(전기 우승)
(후기 2위)
킨테츠
(전기 3위)
(후기 3위)
주니치
(전기 4위)
(후기 4위)
다이에
(전기 5위)
(후기 6위)
서패스
(전기 6위)
(후기 5위)
2004[C][16]주니치
(전기 5위)
(후기 우승)
킨테츠
(전기 우승)
(후기 4위)
한신
(전기 4위)
(후기 2위)
히로시마
(전기 2위)
(후기 5위)
서패스
(전기 6위)
(후기 3위)
다이에
(전기 3위)
(후기 6위)
2005[17]한신주니치소프트뱅크히로시마서패스
2006한신서패스소프트뱅크주니치히로시마
2007주니치한신서패스소프트뱅크히로시마
2008소프트뱅크한신히로시마주니치서패스
2009주니치한신오릭스소프트뱅크히로시마
2010한신오릭스소프트뱅크주니치히로시마
2011주니치소프트뱅크한신오릭스히로시마
2012소프트뱅크오릭스히로시마한신주니치
2013소프트뱅크히로시마한신오릭스주니치
2014소프트뱅크히로시마한신오릭스주니치
2015소프트뱅크히로시마한신주니치오릭스
2016소프트뱅크주니치한신히로시마오릭스
2017히로시마주니치소프트뱅크오릭스한신


3. 시즌 진행 방식(2017년 기준)[편집]


기본적으론 팀당 108경기[18]를 치스는 제도지만 2005년 이후론 양 리그 다 소속 구단 수가 홀수인지라, 양 리그 전부 다른 팀들이 다 시즌 경기를 소화할 때 어느 한 팀이 경기를 치르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되어, 이런 팀끼리 때때로 교류전을 치른다. 그래서 시즌당 소화시합 개수는 팀마다 다 다르다. 또 시합 일정이 없는 경우엔 간혹 아마추어 야구팀/독립리그 팀과 연습경기 겸 교류경기를 치르기도 한다. 이 때엔 승패, 개인성적 둘다 통산성적엔 들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지명타자 제도(DH제도)를 양 리그 경기에서 각 팀별로 선택해 운영할수 있도록 했다. 그러니까 DH제도를 도입하지 않은 센트럴 리그의 2군팀도 2군팀 재량에 따라서 지명타자를 사용할수 있고, 반대로 DH제도를 도입한 퍼시픽 리그의 2군팀도 2군팀 재량에 따라서 지명타자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4. 팜 일본선수권(2군 일본시리즈)[편집]


ファーム日本選手権

일본프로야구 2군 버전 일본시리즈로, 198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원년인 1987년부터 1996년까진에는 주니어 일본선수권(ジュニア日本選手権)이란 명칭으로 불리우다가 1997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름에서 보듯이 이스턴리그 우승팀과 웨스턴리그 우승팀이 맞붙어 이해 시즌의 2군 최종 우승팀을 가리는 시리즈다. 다만 7전4승제의 일본시리즈와는 달리 단판승 제도를 채택했다. 즉 단 한 시합만 치르며, 이 시합에서 무조건 이겨야 2군 일본제일의 칭호를 얻을 수 있는 것.

홈 팀의 경우, 홀수 해엔 이스턴리그가, 짝수 해엔 웨스턴 리그가 홈 팀이 되며, 지명타자 제도는 원년인 1987년부터 2008년까진 홈 팀의 1군이 퍼시픽 리그 소속 팀일 때 지명타자 제도를 채용했으나, 2009년부터 규정이 바뀌어 시즌 때처럼 양팀 감독의 합의에 따라 자유롭게 지명타자 제도를 사용/미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또한 연장전은 이닝/시간 제한이 없다.

4.1. 역대 시리즈 개최 결과[편집]


연도우승팀패전팀스코어개최 구장MVP
1987요미우리 자이언츠주니치 드래곤즈9 - 0히라츠카 구장카모가와 시게하루
1988요미우리 자이언츠주니치 드래곤즈5 - 2니시쿄고쿠 구장마츠바라 야스시
1989요미우리 자이언츠오릭스 브레이브스3 - 0히라츠카 구장하시모토 키요시
1990주니치 드래곤즈요미우리 자이언츠6 - 4도쿄 돔[19]시미즈 마사지
1991요미우리 자이언츠히로시마 도요 카프8 - 7[20]히라츠카 구장루민스
1992요미우리 자이언츠주니치 드래곤즈3 - 2카와사키 구장스기야마 나오키
1993요미우리 자이언츠주니치 드래곤즈3 - 0후쿠이 현영 구장마츠타니 류지로
1994오릭스 블루웨이브요미우리 자이언츠6 - 4사가미하라 구장에비스 노부유키
1995요미우리 자이언츠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1 - 0도야마 시민구장
(알펜 스타디움)
몬나 테츠히로
1996미개최 킨테츠가 2군에서마저 콩라인이 되어버린 결정타
1997닛폰햄 파이터즈오릭스 블루웨이브1 - 0기노완 시립 야구장오오가이 야스후미
1998야쿠르트 스왈로즈한신 타이거스4 - 1기노완 시립 야구장이가라시 료타
1999한신 타이거스닛폰햄 파이터즈7 - 3우라소에 시민 구장하마나카 오사무
2000주니치 드래곤즈요미우리 자이언츠4 - 2우라소에 시민 구장츠츠이 소
2001세이부 라이온즈한신 타이거스5 - 0마츠야마 중앙공원 야구장
(봇짱 스타디움)
미츠이 코지
2002한신 타이거스세이부 라이온즈16 - 3마츠야마 중앙공원 야구장
(봇짱 스타디움)
후지와라 토오루
2003한신 타이거스닛폰햄 파이터즈3 - 0나가노 올림픽 스타디움하야카와 켄이치로
2004주니치 드래곤즈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4 - 3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21]츠치야 텟페이
2005[22]치바 롯데 마린즈한신 타이거스7 - 5스카이마크 스타디움츠지 토시야
2006한신 타이거스치바 롯데 마린즈6 - 0야마가타현 야구장나카무라 야스히로
2007주니치 드래곤즈요미우리 자이언츠7 - 2야마가타현 야구장요시미 카즈키
2008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5 - 1나가사키 빅N 스타디움이와사키 쇼
2009주니치 드래곤즈요미우리 자이언츠2 - 0도야마 시민구장
(알펜 스타디움)
스즈키 요시히로
2010치바 롯데 마린즈한신 타이거스6 - 5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호소야 케이
2011주니치 드래곤즈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4 - 3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마에다 아키히로
2012치바 롯데 마린즈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4 - 0마츠야마 중앙공원 야구장
(봇짱 스타디움)
헤이우치 히사오
2013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4 - 3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타노우에 히데노리
2014치바 롯데 마린즈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6 - 4KIRISHIMA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23]오오미네 쇼타
2015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요미우리 자이언츠2 - 0KIRISHIMA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이와사키 쇼
2016요미우리 자이언츠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6 - 2KIRISHIMA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오카모토 카즈마
2017히로시마 도요 카프요미우리 자이언츠5 - 2KIRISHIMA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사카쿠라 쇼고
2018한신 타이거스요미우리 자이언츠8 - 4KIRISHIMA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쿠마가이 타카히로
2019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6 - 3KIRISHIMA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니호 아키라
2020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6 - 4히나타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무라바야시 이츠키
2021한신 타이거스치바 롯데 마린즈3 - 2히나타 선마린 스티디움 미야자키엔도 조
2022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한신 타이거스8 - 2히나타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와타나베 요시아키

5. 프레시 올스타게임(올스타전)[편집]



역대 프레시 올스타에 등장했던 일본프로야구의 스타들을 다룬 프로그램 영상.

프레시 올스타게임(フレッシュオールスターゲーム)[24]이라는 2군 올스타전도 개최되고 있다. 2군 올스타전은 각 2군리그 소속팀 끼리 맞붙는 데 2005년과 2006년에는 이례적으로 1군팀 소속리그로 나누어 경기가 진행되었다. 참고로 스즈키 이치로, 아오키 노리치카 등도 2군 올스타전 MVP 수상 경력이 있다.

팬투표는 존재하지 않으며 100% 감독 추천선수로 선발한다. 7팀이 소속된 이스턴에서는 각팀별로 3명씩, 5팀이 소속된 웨스턴은 전년 리그 우승팀에서 5명, 그 이외의 팀에서 4명을 선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각구단별 사정상 약간씩 조정이 가능하다. 선수 추천에는 개최지 출신 선수나 드래프트 상위 지명자, 고시엔 우승 경험 등 화제성이 있는 선수가 우선적으로 선정된다.

2014년 기준으로 웨스턴리그 27승, 이스턴리그 19승, 센트럴리그 1승[25], 무승부 6번으로 웨스턴 리그가 앞서고 있다.


6. 특징[편집]


  • 한때 마이너리그처럼 2군의 경우 팀명을 다르게 적는 경우도 존재했다.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2군이었던 팀은 서패스고베(サーパス神戸)였으며[26]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 2군팀은 쇼난 시렉스(湘南シーレックス)라는 이름으로 불렸다.[27]

7. 교육리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3군[편집]


1967년 긴테츠 버팔로즈가 일본프로야구 최초로 3군을 구상하였으나 좌절되었고, 최초의 3군 정식 창설은 1990년의 요미우리 자이언츠. 주로 신인 선수 + 재활 선수로 팀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아무래도 3군까지 선수단을 구성하고 경기를 편성하고 훈련하는 데에는 시설면에서나 재정면에서나 부담스러운 일이고, 선수 풀이 넓지 않은 팀의 경우는 3군을 구성할만큼의 선수가 모자라는 경우도 있다. 상황이 이러하다보니 여러 팀에서 3군의 창설과 폐지가 반복되고 있는게 현실.

2020년 시즌 기준 3군을 운영하는 팀은 소프트뱅크 호크스(2013년 도입), 요미우리 자이언츠(2016년 도입),[28] 세이부 라이온즈(2020년 도입)[29] 등 세 팀이다. 특히 소프트뱅크는 가장 적극적으로 3군을 운영하는 중이고,[30] 이러한 적극적인 팜 투자는 2010년대의 호크스가 리그를 수차례 제패하는 데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자극을 받았는지 오릭스 버팔로즈 역시 2021년에 3군제를 도입할 예정[31]이다.

한편 재활군만을 일컬어 3군이라고 부르는 팀이 몇 존재하는데, 히로시마 도요 카프(1996년 도입)나 한신 타이거즈(2003년~2005년)가 그 예. 사실 세이부 3군도 재활군에 한정된 느낌이라 이쪽으로 보는 게 맞다.

2020년 현재 일본프로야구 3군은 주로 아마추어 팀이나 독립리그 팀과의 연습경기 등으로 돌아가고 있다.[32][33] 또한 별의별 촌구석 구장에 1, 2군에 비해 더 많이 가는 경향이 있으며, 소프트뱅크 3군의 경우는 아예 KBO 리그에 교류전 형식으로 가기도 한다.

2022년 소프트뱅크는 4군 창설을 발표했다. 이정도면 진짜 루키-A-AA-AAA-메이저인 미국리그와도 견줄만한 규모.

9. 기타[편집]


  • KBO 리그 2군 구장들과 비교하면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장이나 나고야 구장, 타마스타 치쿠고 등 일부 구장을 제외하면 정말 열악한 수준이다. 다만 1군과 2군의 격차를 두기 위해 구장에 투자를 안 하는 것일 수 있다[34]…고 할 수 있지만, 대부분이 돈 문제 때문이다. 게다가 관중 동원도 1군에 비하면 형편없으니, 딱히 신경쓰지 않는 것도 있다.

  • 1군에 비해서 선수들에 대한 대우도 확실히 떨어진다. 원정경기를 가면 보통 비즈니스 호텔에 머물거나, 1군 선수들이 주로 가는 고급호텔에 가면 1군 선수들이 혼자 쓸 방을 여러명이 쓰게 하는 식이라고 한다. 거기다가 원정경기 때 최고급 호텔에서 매끼 뷔페를 특별제공하는 1군 선수들과 달리 2군 선수들은 비즈니스 호텔 기본 조식을 먹는다고 한다.[35] 또한 물이나 음료수도 냉장고에서 맘대로 꺼내먹는 1군과 다르게 학원야구마냥 종이컵에 담아서 나눠주는대로 마셔야 한다.[36] 거기다가 스프링캠프 등에서 신인들은 매일 아침 빨랫감 분류도 해야 한다. 심지어 이것도 신인이 1군 스프링캠프를 가게 되면 면제다. 다만 비행기를 탈 때는 1군 선수들도 빼박 뒤쪽 이코노미 클래스에 태운다고 한다.[37][38] 또한 일본프로야구 2군은 유니폼 등을 전부 스스로 빨래해야해서 선수들이 매일매일 빨래를 한다고 한다. 다만 그래도 마이너리그보단 확실히 좋다.[39][40] 참고로 스타플레이어가 재활 차 2군에 와도 이런 차별은 얄짤없다고 한다. 심지어 2군 코칭스태프도 출퇴근 시간 및 원정 시 숙박, 교통편 등의 대우는 선수와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41]

  • 일반적으로 2군 시설이 제일 좋은 곳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이며, 제일 나쁜 곳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꼽힌다. 그 다음으로 안좋다고 평가받는 곳은 한신 타이거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나머지 7팀 중에서는 치바 롯데 마린즈를 제외하면 호크스만큼은 아니지만 꽤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롯데의 2군 시설은 딱 중간이라는 듯.[42]

  • KBO 퓨처스리그처럼 NPB 공홈에서 표창선수라는 이름 하에 일부 기록은 수상을 한다. 투수는 다승왕, 승률왕, 최우수 방어율, 세이브왕을 수상하며 타자는 수위타자(타격왕), 홈런왕, 타점왕, 도루왕, 최고출루율을 수상한다. 또한 우수선수상과 특별상 등도 수상. 이때 우수선수상은 MVP 개념이 아니라서 선수 여럿이 선정되며[43], 특별상은 사이클링 히트, 노히트 노런 등을 했을 때 수상한다.

  • 아시아 프로야구 리그 2군 중 유일하게 홀드를 기록하지 않는다. 대만과 한국은 2군에서도 홀드를 기록.

10.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5:26:12에 나무위키 일본프로야구/2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런데 당시 신일본리그도 멀쩡히 운영 중인 상태이긴 했다. 그러나 경영+리그일정 소화문제로 인해 시합이 개최되지 않았고 결국 이해 시즌 종료후 신일본리그는 해산되었다.[2] J리그 소속 알비렉스 니가타가 운영하는 야구팀으로, 2023년까지는 독립야구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 참여하고 있었다. 알비렉스 니가타는 야구와 축구 외에도 농구, 육상, 스키 등 다양한 종목의 팀을 운영하고 있다.[3] 정식 명칭은 타카하시 유니온즈이며 톤보 유니온즈는 1955년 한정으로 톤보의 네이밍스폰서를 받으면서 쓴 명칭이나, 이 명칭을 쓰면서 이스턴리그 원년에 참가한 뒤 리그 중단 기간이었던 1956년에 구단이 다이에이 스타즈에 합병되면서 해체되었다.[4] 이 해엔 몇몇 팀이 기존 리그였던 신일본리그에 소속된 채로 경기를 치르기도 한 때라서, 이 해의 기록은 경우에 따라 공식기록에서 빼는 경우가 꽤 많다.[5] 이 기간 중 1956년 타카하시 유니온즈다이에이 스타즈에 합병되면서 해체되고, 다이에이가 타카하시를 합병하며 생긴 다이에이 유니온즈조차도 1957년 마이니치 오리온즈에 합병되면서 해체되었다. 참고로 해체한 계기가 매우 자업자득인데, 일본프로야구/과거의 팀들의 다이에이 항목과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항목을 보면 안다[6] 당시 성적이 29승 27패(토에이는 2무 포함) 승률 .518로 공동 승률 1위를 기록했기에 이해 시즌의 공동 우승팀으로 인정되었다.[7] 상술했듯이 요미우리와 토에이가 공동 우승하면서 2위 자리가 아예 없어졌다.[8] 이 해 시즌부터 세이부 라이온즈 2군이 이스턴리그 참가[9] 이 해부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이 이스턴리그 참가[10] 당시 2군 명칭은 한신 재규어스[11] 당시 2군 명칭은 히로시마 그린즈[12]니시테츠 라이온즈[13] 도쿄에서 금융업과 벤처 기업 투자 사업을 하는 하야테 그룹이 모기업이다. 223은 고로아와세후지산을 뜻한다.[14] 하야테223은 원래 이스턴 리그 참가를 희망했으나, 지역 균형 및 홀수 구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NPB의 권고로 웨스턴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B] A B 승률은 공동 1위였으나, 이 때문에 두 구단이 맞붙어 우승을 결정짓는 우승결정전에서 한신이 2승 1패, 난카이가 1승 2패를 기록하면서 한신이 이해 웨스턴리그 우승팀이 되고 난카이는 2위에 머물렀다.[15] 이해 시즌부터 세이부 라이온즈 2군이 이스턴리그로 이동[C] A B 이해 시즌은 전후기리그 체제로 치러졌으며, 전/후기 우승팀이 우승결정전을 치러, 여기서 우승한 팀을 이해 우승팀으로 인정하고, 2위 이하는 전/후기 통합 시즌 승률로 순위를 결정지었다.[16] 이해 시즌 종료 후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오릭스 블루웨이브에 흡수합병되는 형태로 해산[17] 이해 시즌부터 오릭스와 킨테츠가 합병한 오릭스 버팔로즈가 참가하며, 신구단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는 1/2군 모두 연고지로 동부 지방을 택하며 2군이 이스턴리그에 참가해 구단수가 5개로 감소[18] 이스턴리그는 팀당 16경기, 웨스턴리그는 팀당 27경기[19] 원래는 9월 18일 오사카 구장에서 개최되었으나, 3회 도중 우천으로 인해 노게임 선언이 되었고, 결국 10월 7일 도쿄 돔으로 장소를 옮겨 결판을 내야 했다. 여담으로 요미우리에겐 아쉬운 시리즈가 되었는데, 노게임 선언 시점에서 요미우리가 6 - 0 으로 주니치를 압살하고 있었기 때문(...) 즉 노게임 선언만 안됐으면 이해 2군 일본시리즈 우승팀은 요미우리가 되었을 것이고, 요미우리는 2군 일본시리즈 7연패를 찍었을 것이다. 비록 야만없이라지만...[20] 본래는 9월 20일에 시합이 개최되었는데, 7회 도중 우천으로 인해 강우 콜드게임이 선언되었다. 이때 당시 양측 다 5 - 5 로 무승부 상태였기에 다음 날 같은 구장에서 재시합을 치렀고, 이 재시합에서 요미우리가 승자가 되었다.[21] 원래는 같은 미야자키 현의 아이비 스타디움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개최구장이 이 구장으로 변경되었다.[22] 사상 최초로 1/2군 일본시리즈 진출팀이 일치한 사례다. 비록 둘다 한신이 깨졌지만 2군은 1군처럼 33-4가 안 나왔고 1년 뒤 복수에 성공한 걸 다행으로 여겨야 할 듯 하다[23] 위의 선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와 동일 구장이다.[24] 1963년 창설당시에는 주니어 올스타게임(ジュニアオールスターゲーム)이라 불렸고 1993년에 프레쉬 스타게임(フレッシュスターゲーム), 1994년에 다시 주니어 올스타(ジュニアオールスター)로 불리다 1998년부터 프레시 올스타게임으로 사용되고 있다. 단 2000년 2군 올스타전은 프레쉬 2000(フレッシュ2000)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25] 1군 소속 리그로 진행된 2006년 결과. 동일한 방식이었던 2005년에는 무승부를 기록했다.[26] 2000년~2009년까지 사용한 팀명. 이후 오릭스 버팔로스라는 1군 팀명과 같은 이름으로 변경되었다.[27] 2000~2010[28] 1990~91년 동안 운영 후 재도입. 2011년부터 '제2의 2군'을 도입하다가 2016년부터 3군제를 정식 도입.[29] 1992년 한 해동안 운영 후 재도입.[30] 3군을 가장 지속적으로 오래 운영하고 있는 팀이며 KBO 퓨처스리그에도 코로나 사태 전까지 번외팀 자격으로 참여했다.[31] 관련 기사[32] 다만 쿄진과 호크스 한정. 다른 팀들은 3군은 재활군의 이미지가 강해서 굳이 경기를 해도 2군 경기에 참여하는 식이다.[33] 이렇게 연습경기를 많이 하는 쿄진과 호크스의 3군은 대부분 육성선수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도 특징. 물론 육성선수가 아닌데 3군에서 뛰는 경우도 있다.[34] 일본 최고의 2군 구장인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장의 경우 일부 요미우리의 OB들이 구장 시설이 너무 좋아 2군 선수들이 이악물고 뛰지 않는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5] 가까운 원정이라도 어지간하면 다 호텔에 보내는 1군과 달리(1군에서 선수들이 원정 경기를 위해 통근하는 경우는 요미우리-야쿠르트 간 경기가 유일하다.), 가까우면 2, 3연전이라고 해도 그냥 홈에서 왕복시킨다. 롯데 2군 기준 야쿠르트, 세이부, 닛폰햄, 요미우리의 경기는 저렇게 통근을 한다. 특히 카나가와인 쿄진 홈이랑 서부 사이타마에 위치한 세이부 홈이 가장 힘들다고 한다. 그런데 말입니다. 세이부 2군구장은 그냥 무사시노선 따라서 가면 끝나는 거 아닌가... 카나가와 가는 거보단 가까울 거 같은데 롯데 기준으로 통근을 하는 원정경기는 전부 KBO식으로 버스 통근이라 그런 것일지도.[36] 참고로 롯데의 경우는 1군은 경기 중 덕아웃 냉장고에 아이스크림도 가득 있어서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2군은 역시 배급으로 보인다. 거기다가 1군은 음료수가 물, 차, 스포츠음료 여러 종류로 다양하게 준비되어있는데 2군은 물과 포카리스웨트뿐. 거기다가 1군은 특정 음료를 몇 회 끝나는 타이밍에 준비해달라고 부탁하면 구단 스태프가 그렇게 해 줄 정도로 배려해준다고 한다. 물론 롯데 기준이고 타 팀은 조금 다를지도.[37] 이건 돈 문제도 있지만 그것보단 비행기에 자리가 없기 때문. 구단명의로 전세기를 굴리는 MLB와 달리 NPB는 전세기가 아니라 일반 고객들도 타야 하는데 선수단은 수십명에 코칭스태프까지 50명이 넘는 인원이 비즈니스석을 다 차지하면 일반 고객의 불만이 폭증하게 된다. 닛폰햄 등 일부 구단의 경우는 구단에서 정해주는 일부 선수(주로 스타플레이어)는 비즈니스석이나 앞자리에 탈 수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또한 롯데의 경우는 자비로 차액을 내면 자리가 남아있는 한 누구든지 앞자리나 비즈니스석에 갈 수 있다. 다만 자리가 모자라면 가장 후배부터 자른다고 한다. 다만 후쿠우라 카즈야는 40대가 넘도록 항상 뒷자리 일반석을 고수했다고 한다. 반대로 이구치 타다히토사토자키 토모야는 무조건 돈을 더 내고라도 앞자리로 갔다고 한다. 사토자키는 본인 유튜브에서 닛폰햄의 방식보다는 롯데의 방식이 자기가 보기엔 더 낫다고 말했다.[38] 신칸센을 탈 때는 1군은 그린샤(특실), 2군은 그냥 지정석이란 차이가 있다.[39] NPB 내에서도 2군이 열악한 롯데의 구단 유튜브 영상을 보면 어느 날 저녁 식사로 밥, 이탈리안 치즈 햄버그, 달걀부추볶음, 채소우동, 무말랭이조림, 샐러드, 후식인 과일이 나왔다. 또한 차, 주스, 요구르트 등도 제공되었다. 짠돌이 롯데조차도 이렇게 제대로 식사를 챙겨 주는 것을 보면 식빵에 땅콩버터, 좀 올라가봤자 잼이나 스팸 정도만 더 주는 마이너리그랑 달리 기본적으로 필요한 대우는 팍팍 해주는 편이라는 것. 모기업이 식품기업인 닛폰햄의 경우도 한 끼에 고기반찬이 2개 이상에 조림류 두 종류 등이 나오며, 여기는 한술 더 떠서 모든 메뉴가 뷔페식으로 나온다.(롯데, 요미우리의 경우는 밥, 샐러드 등 일부만 자율배식에 반찬은 식당 직원이 정해진 만큼 담아주는 식.) 그 외에도 짠돌이 히로시마도 육류 반찬 2개 포함 반찬이 6개씩 나오는 걸 보면 마이너리그보단 KBO 리그에 좀더 가까운 느낌.[40]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출신 우에다 츠요시(선수로는 백업을 전전했으나 재일교포 4세 한국인이라서 한국에서도 아는 사람이 좀 있다.) 는 식사는 그래도 1, 2군이 큰 차이가 없다고 인터뷰했다. 물론 이런 건 팀마다 다르지만 타 팀 2군 식당 취재영상을 보면 다들 잘 나오기 때문에 미국과는 확실히 다른 듯.[41] 이 때문에 1군 스타플레이어들은 2군 코치를 꺼리는 경우가 좀 있다. 이는 일본보다 평균적인 2군 시설이 좋다는 한국도 마찬가지.[42] 사실 2019년까지는 세이부도 안 좋았으나 2020년부터 완전히 신인 기숙사를 새로 지어서 확 달라졌다.[43] 정확히는 팀별 1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