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교육청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시 교육청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로고.svg파일:부산광역시교육청 로고.svg파일:대구광역시교육청 로고.svg파일:인천광역시교육청 로고.svg
파일:광주광역시교육청 로고.svg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로고.svg파일:울산광역시교육청 로고.svg파일: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로고.svg
도 교육청
파일:경기도교육청 로고.svg파일: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로고.svg파일:충청북도교육청 로고.svg파일:충청남도교육청 로고.svg
파일:전라북도교육청 로고.svg파일:전라남도교육청 로고.svg파일:경상북도교육청 로고.svg파일:경상남도교육청 로고.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로고.svg





전라남도교육청
全羅南道敎育廳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파일:전라남도교육청 로고.svg
소재지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어진누리길 10
교육감김대중 (초선)[1]
진보


슬로건함께 여는 미래 탄탄한 전남교육
웹 사이트파일:전라남도교육청 심볼.svg 전라남도교육청 홈페이지

1. 개요
2. 조직
2.1. 지역교육지원청
2.2. 직속 기관
3. 역대 전라남도교육감
4. 소규모 학교 선호 성향



1. 개요[편집]


전라남도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

청사는 설립 이후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 위치해 있었으나 남악신도시를 개발하고 전남의 주요 기관이 이전하면서 교육청 역시 남악신도시로 이전했다. 매곡동의 옛 부지는 광주예술고등학교가 2021년에 이전했다.


2. 조직[편집]



2.1. 지역교육지원청[편집]




2.2. 직속 기관[편집]


  • 전라남도교육연구정보원
  • 전라남도교육연수원
  • 전라남도학생교육원
  • 전라남도학생교육문화회관
  • 목포공공도서관
  • 나주공공도서관
  • 전라남도과학교육원
  • 전라남도자연탐구수련원
    • 월출학생수련장
    • 유달학생수련장
    • 백운학생수련장
    • 송호학생수련장
    • 지리산학생수련장
    • 나로도학생수련장
  • 전라남도유아교육진흥원
  • 전라남도광양평생교육관
  • 전라남도고흥평생교육관
  • 장성공공도서관
  • 전라남도교육시설감리단
  • 전라남도국제교육원


3. 역대 전라남도교육감[편집]


파일:전라남도교육청 엠블럼.svg
전라남도교육감
[ 펼치기 · 접기 ]

초대
박형렬
제2대
안용백
제3대
성동준
제4대
최정기
제5대
노희원
제6대
이대순
제7대
고재종
제8대
김낙운
제9대
전병곤
제10대
이양우
제11대
오영대
제12대
정동인
제13대
정영진
제14·15대
김장환
제16·17대
장만채
제18대
장석웅
제19대
김대중
파일:전라남도교육청 가로형슬로건.jpg




대수이름임기비고
관선
초대박형렬1964년 2월 4일 ~ 1964년 9월 23일
2대안용백1964년 9월 24일 ~ 1968년 9월 23일
3대성동준1968년 9월 24일 ~ 1971년 6월 20일
4대최정기1971년 6월 21일 ~ 1975년 6월 22일
5대노희원1975년 6월 23일 ~ 1979년 6월 22일
6대이대순1979년 6월 23일 ~ 1980년 12월 29일
7대고재종1980년 12월 30일 ~ 1982년 8월 17일
8대김낙운1982년 8월 18일 ~ 1985년 10월 18일
9대전병곤1985년 10월 19일 ~ 1989년 10월 24일
10대이양우1989년 10월 25일 ~ 1993년 10월 24일
간선
11대오영대1993년 10월 25일 ~ 1997년 10월 24일초선
12대정동인1997년 10월 25일 ~ 2000년 8월 1일초선
13대정영진2000년 8월 2일 ~ 2001년 10월 24일초선
14대김장환2001년 10월 25일 ~ 2009년 10월 24일초선
15대재선
권한대행노일숙2009년 10월 25일 ~ 2010년 6월 30일
직선
16대장만채2010년 7월 1일 ~ 2018년 3월 15일초선
17대재선
권한대행이기봉2018년 3월 16일 ~ 2018년 6월 30일
18대장석웅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초선
19대김대중2022년 7월 1일 ~ 현재초선

참조/위키


4. 소규모 학교 선호 성향[편집]


학급당 학생 수를 타 지역에 비해 적게 할당하며 평준화 고등학교의 경우 1학급 당 23~24명으로 전국에서 학급당 학생수가 가장 적은 지역이다.

전라남도교육청은 소규모 학교를 살리기 위해 농어촌학교 유학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2023년 폐교 기준을 전교생 30명에서 전교생 10명으로 줄였다.

반대로 고등학교를 신설할 때 대규모 학교가 있으면 안된다는 이유로 비정상적으로 작게 지으며 이로 인해 애꿎은 학생들이 타 지역 고등학교로 튕겨져 나가는 실정이다.



[1] 민선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