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쿄도 제16구

덤프버전 :


도쿄도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도쿄도 제16구
東京都第16区
||
파일:shuinsen_Tokyo16.svg
선거인 수465,115명 (2021)
상위 도도부현도쿄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에도가와구 일부
코이와사무소, 카미잇시키 1~3초메,
혼잇시키 1~3초메, 오키노야마쵸를
제외한 전역
국회의원

오니시 히데오




1. 개요[편집]


도쿄도에도가와구 북부 일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오니시 히데오.


2. 상세[편집]


자민당세가 강한 도쿄도 동부의 선거구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지만, 옆 지역구와는 달리 야당 후보가 당선된 적이 한 번 있고 보수 성향의 무소속 후보가 자민당 후보를 제치고 당선된 적도 있다.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입헌민주당 후보가 석패율제로 당선된 만큼 비자민당 지지세도 나름 있는 선거구다.

처음 당선된 시마무라 요시노부 전 농림수산대신을 제외한 나머지 3명 모두 중의원의원이 되기 이전에 도쿄도의회 의원을 지냈다. 시마무라는 태평양전쟁이나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극우적 망언을 한 적도 있다. 2005년 농림수산대신 재직 중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우정개혁안에 반대해 파면당했다.[1]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마무라 요시노부77,753표1위


38.99%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사토 나오코[2]64,942표2위


32.56%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이노우에 가즈오28,805표3위


14.4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베 야스노리27,923표4위


14.00%낙선
유효표 수199,423표투표율
51.59%
선거인 수396,286인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우다가와 요시오72,825표1위

무소속

32.0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마무라 요시노부69,543표2위


30.63%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츠카와 히로사토53,897표3위


23.7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베 야스노리30,772표4위


13.55%낙선
유효표 수227,037표투표율
56.36%
선거인 수417,198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마무라 요시노부80,015표1위


35.34%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츠카와 히로사토70,189표2위


31.00%비례당선
無所会우다가와 요시오58,250표3위
무소속회

25.7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베 야스노리17,985표4위


7.94%낙선
유효표 수226,439표투표율
54.27%
선거인 수432,954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마무라 요시노부145,439표1위


56.9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츠카와 히로사토84,564표2위
33.1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아베 야스노리25,328표3위
9.92%낙선
유효표 수255,331표투표율
60.36%
선거인 수439,858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쓰시카 아키히로128,400표1위
47.3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마무라 요시노부113,634표2위
41.9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와이 규이치223,385표3위
8.6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코지마 이치로5,763표4위
2.13%낙선
유효표 수271,182표투표율
61.94%
선거인 수454,045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니시 히데오95,222표1위
[3]38.04%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나카츠카와 히로사토46,537표2위
18.59%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우에다 레이코43,179표3위
17.25%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하쓰시카 아키히로27,525표4위
[4]10.99%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콘노 가즈요시22,741표5위
[5]9.0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마나카 카요코15,145표6위
6.05%낙선
유효표 수250,349표투표율
57.52%
선거인 수452,248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니시 히데오98,536표1위
[6]46.25%당선
파일:유신당 로고.png하쓰시카 아키히로56,701표2위
[7]26.6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타 아사코36,976표3위
17.36%낙선
파일:차세대당_투명.png이시이 요시아키11,484표4위
5.39%낙선
오카모토 타카시9,334표5위
4.38%낙선
유효표 수213,031표투표율
49.06%
선거인 수455,218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니시 히데오84,457표1위
[8]40.91%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하쓰시카 아키히로71,405표2위
34.59%비례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다무라 겐지50,568표3위
24.50%낙선
유효표 수206,430표투표율
47.49%
선거인 수462,216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16구
에도가와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니시 히데오88,758표1위
[9]38.67%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미즈노 모토코68,397표2위
29.80%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나가쓰가와 히로사토39,290표3위
17.1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타 아야카26,819표4위
11.68%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다나카 겐6,264표5위
2.73%낙선
유효표 수229,528표투표율
51.18%
선거인 수465,115인

현역 자민당 오니시 히데오 의원이 만 75세의 고령이지만, 선수가 비교적 낮고 꾸준하게 지역구 활동을 개인페이지에 업데이트 하는 것으로 보아 재출마가 예상되었고, 공천을 받았다. 만 73세를 넘었기에 자민당 내규상 비례대표로 중복 입후보하지는 못하고, 지역구에서 패배하면 비례대표 부활없이 그대로 낙선한다.

입헌민주당은 하쓰시카 아키히로 의원이 여성 강제추행 혐의를 받고 의원직을 사퇴했기에 대타로 미즈노 모토코 도쿄대학 공공정책대학원 겸임교수를 지역구 총지부장으로 임명했고, 이후 미즈노 모토코 후보를 공천했다.

공산당은 26세의 젊은 여성 정치신인인 오타 아야카 후보를 공천했다. 이전에 이 지역구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었던 나카츠가와 히로사토 후보도 일본 유신회 후보로 출마한다. NHK당도 후보를 냈다.

투표 결과, 자민당 오니시 히데오 후보가 승리했다. 비록 고령이지만, 다선 의원이 아니고 지역구 관리를 착실히 한 덕을 봤다.[10] 게다가 입헌민주당 미즈노 모토코 후보는 예전 의원이 강제추행 혐의로 정계를 떠나자 대타로 투입된지 얼마되지 않아서 지역 기반이 약했다. 게다가 공산당과 단일화도 이뤄지지 않아서 야권표가 분열되었고, 이는 자민당에게 유리한 결과로 이어졌다.

낙선한 입헌민주당 미즈노 후보는 1년 뒤 2022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가나가와현 선거구에 출마해 참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의 선거구가 5석이나 증가함에 따라 선거구가 조정되면서 스미다구만 남아 인구가 부족해진 14구에 일부분을 더 분할하여 넘겨줬다.

자유민주당에서는 70대 후반에 접어들긴 하지만 오니시 히데오 의원이 이번에도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시바타 가즈유키 변호사를 공인 후보로 내정했다.

일본유신회에서는 나카쓰가와 히로사토 전 의원이 다시 출마한다. 참정당에서는 직장인인 아리타 마사토시 후보가 공인 예정이다.

[1] 보통 물의를 일으킨 장관도 자진사퇴하도록 유도하지, 파면은 흔치 않다.[2] 테니스 선수 출신 정치인이다.[3] 추천[4] 추천[5] 추천[6] 추천[7] 도쿄도 연합 추천[8] 추천[9] 추천[10] 그렇지만, 의원 재직 시절 암환자는 일 안해도 된다는 망언을 하여 문제가 된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