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구시인

덤프버전 :

인구시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인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바시키르인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아바르인모르드바인카자흐
아제르바이잔인다르긴인우드무르트인마리인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쿠미크인야쿠트인레즈긴인
벱스인독일계 러시아인우즈벡투바인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타지크부랴트인
칼미크인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아슈케나짐몰도바인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키르기스코미인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스페인계 러시아인폴란드계 러시아인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투르크멘사미족루툴인
아굴인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세투인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쇼르인케레크압하스인나나이족
아시리아인아랍계 러시아인나가이바크돌간인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니브흐우디인인도계 러시아인샵수그인
위구르인케트인세르비아인이텔멘족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울치족텔레우트인타트인
탈리시인,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슬로바키아인카라칼파크인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소요트일본계 러시아인이탈리아계 러시아인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영국계 러시아인스웨덴계 러시아인아일랜드계 러시아인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포르투갈계 러시아인스위스계 러시아인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파일:8293A4DB-F13B-4ABD-AE3A-5223DB514097.jpg
1. 개요
2. 상세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언어별 명칭】
체첸어·인구시어ГӀалгӀай (Ġalġaj)
러시아어Ингуши́ (Inguší)
영어Ingush

인구시인은 러시아 북캅카스 연방관구 체첸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북오세티야 공화국에 거주하는 민족이며, 체첸인과 혈통적으로 가까운 민족이다. 인구는 70만여 명으로 이 중 45만여 명이 러시아 연방에 거주한다. 러시아와 체첸의 전쟁 와중에 터키와 시리아, 요르단으로 이주 정착한 인구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원래는 체첸과 같은 민족이었고 소련 말기까지만 해도 체첸인구시 ASSR라는 한 자치단위로 묶여있었지만, 끝까지 러시아 제국에 저항하면서 반러 성향이 계속 유지되었던 체첸과는 달리 인구시는 반러가 완화되어 이념적 이유로도 1992년 12월 10일 별개의 단위인 체첸 공화국인구시 공화국으로 갈라졌다. 다만 그 이후에도 서로 간의 왕래는 지금도 있는 편이고, 여전히 서로에 동질감을 느낀다. 언어도 역시 사실상 같은 나흐어족에 속한다. 인구시인과 체첸인들은 서로의 언어를 거의 다 알아들을 수 있다고 한다.[1] 종교 역시 둘다 순니 이슬람으로 같다.

2. 상세[편집]


파일:ingush tower.jpg

이들을 지칭하는 러시아어 표현인 '인구시'는 북오세티야에 위치한 타르스코예(Тарское)라는 마을의 옛이름이자 체첸어·인구시어 표현이었던 안구시트(Ангушт, Angušt)에서 유래되었다. 인구시인들 스스로는 '탑을 쌓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갈가이(ГӀалгӀай, Ġalġaj)'[2]라고 한다. 중세 말 몽골 제국 군대가 캅카스 지역을 침략하고 약탈을 행하자 인구시인들의 조상들은 산악 지대로 피신해서 주거와 방어 겸용 목적으로 탑을 쌓아 기거한 것이 시초이다.

주거용 탑은 가로세로 길이 8~10m로 하여 사면에 돌벽을 쌓는 방식으로 2~4층까지 쌓았다. 보통 아래층은 닭과 염소를 키우는 가축 우리로 사용하고 위층은 사람이 거주했다. 인구시인들의 주거용 탑은 옷과 무기를 가구 속에 넣어놓지 않고 벽에 걸어놓는 구조로 해놓아 유사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방어용 및 대피용 탑은 이것보다 더 커서 5~6층 높이에 달했다 한다. 오늘날에는 주거 상의 불편함 때문에 더 이상 탑에 거주하는 사람은 없고 민속촌 관광 문화재로서 보존되고 있다 한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0:47:13에 나무위키 인구시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출처 : 민족의 모자이크 유라시아 / 한국외대 출판부[2] 체첸어·인구시어 발음은 '[ˈʁəlʁɑj\](걸가이)'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