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항의 압둘라

덤프버전 :





1. 개요
2. 즉위
3. 재위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9년 1월 31일 부터 재위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양 디페르투안 아공(국왕)이자 파항술탄.

1959년 7월 30일생(64세). 임기는 2024년까지다.


2. 즉위[편집]


말레이시아는 각 주의 군주(술탄, 라자 등)들 중 한 명이 5년씩 국왕으로 재위하는 선거군주제이기 때문에 원래대로라면 2016년 즉위한 전임 국왕 무하맛 5세가 2021년까지 재위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 러시아 매체가 미스 모스크바 출신의 러시아 모델 옥사나 보예보디나와 무하맛 5세가 2018년 11월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렸다고 폭로하는 스캔들이 터지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찌라시의 가짜뉴스라고 일축해버릴 수도 있었지만, 무하맛 5세가 하필이면 11월달에 건강 문제를 이유로 휴가를 냈었기 때문에 수습할 수 없는 상황이 된 데다가 국왕으로서 업무 태만 논란까지 불거졌다.

말레이시아 각 주의 군주들은 외국인이 왕비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분노하여 예정에 없던 회의를 소집해서 무하맛 5세에게 퇴위를 종용했다. 결국 2019년 1월 6일 말레이시아 역사상 최초로 국왕 무하맛 5세가 임기 5년을 다 채우지 못하고 재위 도중에 퇴위했다. 퇴위사유는 공식적으로는 비공개였지만 러시아 모델 사이에서 벌어진 스캔들 문제 때문에 압박을 받아 반강제로 퇴위했음이 명백했다.

말레이시아의 왕위 승계방식에 따르면 퇴위 이후에는 각 주의 군주들이 모여 새로운 국왕을 선출하지만,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 주의 군주를 돌아가면서 선출함이 관례로 이때는 파항주의 술탄이 새로운 국왕으로 선출될 차례였다. 그러나 당시의 파항주 술탄 아흐맛 샤가 90에 가까운 노령이었기 때문에 건강 문제가 있어[1] 왕위가 파항이 아닌 페락이나 조호르의 술탄에게 넘어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오랜만에 국왕을 배출할 기회를 놓치게 생긴 파항 주에서는 황급히 술탄 자리를 세자 압둘라에게 재빨리 양위시켰고, 결국 파항주 술탄을 양위받은 압둘라가 1월 24일 말레이시아의 새 국왕으로 선출되어 1월 31일 정식으로 국왕에 즉위했다.


3. 재위[편집]


  • 2019년 1월 31일에 정식으로 즉위했다. 2020년 1월 31일 기준으로 재위 1주년이다.




4. 여담[편집]


  • 2021년 8월부터 제네시스 G90L을 의전차량으로 활용하고 있다.
  • 2명의 비(妃)의 사이에 4남 5녀를 두었다.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레소토
빌럼알렉산더르하랄 5세마르그레테 2세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말레이시아 모나코
벤다하라 가문
앙리한스아담 2세파항의 압둘라알베르 2세
모로코 바레인 바티칸 벨기에
모하메드 6세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프란치스코필리프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하사날 볼키아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안도라 에스와티니
우르헬 주교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에마뉘엘 마크롱음스와티 3세
영국 영연방 오만 요르단
찰스 3세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압둘라 2세
일본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노로돔 시아모니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통가
라마 10세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0:55:28에 나무위키 파항의 압둘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9년 중순에 결국 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