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택파주고속도로

덤프버전 :






파일:Expressway_kor_17.svg평택파주고속도로
平澤坡州高速道路
Pyeongtaek–Paju Expressway
||
파일:imgj_17update.jpg
노선 번호
17번
기점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 428-2[1] (오성IC)
종점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 산104-1임[2](명목상)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 내포IC(실질적)
연장
117.69 km
개통일
2009. 10. 29.오성IC~서오산JC~봉담IC
2016. 4. 29.봉담IC~남광명JC
남광명JC~소하IC(지선)
2020. 11. 7.행주산성JC~내포IC
남고양IC~봉대산JC(지선)
2024. 3. 26. (예정)남광명JC~88JC
미정. (예정)산단JC~도라산IC
관리 기관
오성IC~봉담IC경기고속도로(주)
봉담IC~남광명JC수도권서부고속도로(주)
남광명JC~88JC서서울고속도로(주)
북로JC~내포IC서울문산고속도로(주)
산단JC~도라산IC한국도로공사
왕복 차로 수
2차로산단IC - 내포IC
4차로정남IC - 봉담IC(~6차로)[3]
봉담IC - 남군포IC
남광명JC - 소하IC
북로JC - 봉대산JC
남고양IC - 봉대산JC
북고양(설문)IC - 산단IC
6차로오성IC - 정남IC
남군포IC - 남광명JC
88JC - 북로JC
봉대산JC - 북고양(설문)IC
구조
나들목 18개소[4] 분기점 7개소[5]
터널 12개소[6][7] 휴게소 1개소
주요 경유지
평택화성(수원) ↔ 광명(서울) ↔ 파주

1. 개요
2. 노선번호
3. 역사
4. 노선
4.1. 본선
4.1.1. 계획중인 구간
4.2. 지선1 (남광명-소하)
4.3. 지선2 (남고양-봉대산)
4.4. 지선3 (산단-문산)
6. 기타



1. 개요[편집]


경기도 평택시파주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노선번호는 17번으로 익산평택고속도로와 같다.

현재 개통된 구간은 평택~광명(평택화성, 수원광명고속도로)과 서울(강서)~문산 구간(서울문산고속도로)이며, 광명~서울(강서) 구간(광명서울고속도로)은 공사 중이다.

2022년 1월 29일 나온 국토교통부 고속도로 건설계획에서는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익산평택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를 한 노선으로 묶어서 남북2축-통일간선 고속도로로 분류하고 있다. 남북축 고속도로 중 통일간선 고속도로로 묶인 노선은 남북2축(평택파주), 남북8축(중앙고속도로), 남북10축(동해고속도로) 세개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서부구간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2. 노선번호[편집]


고속도로 노선번호는 17번이다. 그런데 서해안고속도로 목감IC 이후로는 평택파주고속도로가 서해안고속도로보다 더 서쪽에 있다. 익산평택고속도로와 노선번호를 공유한다. 서해안고속도로와 분기점이 없는 이유는 동시흥JC(평택파주고속도로)과 목감IC(서해안고속도로) 사이에 제3경인고속화도로를 끼고 간접분기를 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의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따르면, 통일주간선고속도로로 지정된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익산평택고속도로, 즉 17번 고속도로 전 구간을 통합한 이후 호남고속도로와 직결하는 것으로 돼 있다.

한편 양재고양고속도로AH1 명칭으로 경부고속도로와 해당 고속도로 서울 ~ 문산 구간을 잇는 노선으로 추진중이라서, 서울 ~ 문산 구간 노선을 AH1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생겼다.


3. 역사[편집]


  • 2009년 10월 29일: 오성IC~봉담IC 구간이 개통되었다.[8]
  • 2016년 4월 29일 : 봉담IC~남광명JC, 남광명JC~소하IC 구간이 개통되었다.[9]
  • 2018년 1월 12일: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를 ‘평택파주고속도로’로 통합했다.[10]
  • 2018년 12월 2일: 문산~도라산 구간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가 통과되었다.[11]
  • 2020년 11월 7일: 북로JC~내포IC, 남고양IC~봉대산JC 구간이 개통되었다.[12]
  • 2022년 2월 14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 511-4(내포IC)에서 군내면 백연리 산104-1임(가칭 도라산IC)으로 종점이 변경되었다.[13]
  • 2023년 2월 10일: (가칭)산단JC~내포IC 구간이 지선3으로 분리되었다.[B]
  • 2024년 3월 26일: 남광명JC~88JC 구간이 개통 예정이다.


4. 노선[편집]


||
[ 펼치기 · 접기 ]

익산평택고속도로(계획중) - (공사중)
평택파주고속도로오성IC - 평택JC(파일:Expressway_kor_40.svg) - 어연IC - 북평택TG - 양감IC - 향남IC - 서오산JC(파일:Expressway_kor_171.svg·파일:Expressway_kor_400.svg)1 - 정남IC1 2 -
화성JC(파일:Expressway_kor_400.svg)1 2 - 봉담IC2 - 금곡IC - 동안산·당수IC - 남군포IC - 동시흥JC -
(공사중) - 봉대산JC - 흥도IC - 고양TG/고양SA - 고양JC(파일:Expressway_kor_100.svg) -
사리현IC - 북고양·설문IC - 금촌IC - 월롱IC - 산단IC - (계획중)
남광명-소하 지선남광명TG - 성채IC/소하IC - 소하JC
남고양-봉대산 지선남고양IC - 봉대산JC
월롱-문산 지선산단TG - 내포IC
1: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2: 309번 지방도와 중첩되는 구간.





4.1. 본선[편집]



소재지번호이름접속
노선
비고중복
노선
경기평택시1오성IC
38


43

2평택JC파일:Expressway_kor_40.svg
3어연IC
302

TG
북평택TG
화성시4양감IC파일:Cityroad_kor_10.svg
5향남IC
82


315

오산시6서오산JC파일:Expressway_kor_171.svg
파일:Expressway_kor_400.svg
파일:Expressway_kor_400.svg
화성시정남IC
309

309

화성JC파일:Expressway_kor_400.svg
봉담IC
43


309

수원시
권선구
1금곡IC
309

2동안산·당수IC
42

군포시3남군포IC
47


(파일:Expressway_kor_50.svg)
시흥시4동시흥JC
330

광명시남광명JC공사중
가학IC공사중
SA
광명양방향
공사중
광명JC파일:Expressway_kor_110.svg공사중
부천시동부천IC공사중
강서IC
6

공사중[14]
서울강서구
TG
강서TG공사중[15]
88JC파일:Expressway_kor_130.svg
파일:Cityroad_kor_88m.svg
공사중[16]
경기고양시
덕양구
북로JC
77

행주산성JC파일:Cityroad_kor_79.svg
1봉대산JC파일:Expressway_kor_17.svg
2흥도IC파일:Cityroad_kor_79.svg[17]
TG
고양TG
SA
고양양방향
3고양JC파일:Expressway_kor_100.svg
고양시
일산동구
4사리현IC
363

5북고양(설문)IC
98

[18]
파주시6금촌IC[19]
파주JC파일:Expressway_kor_400.svg공사중
7월롱IC[20]
8산단IC
파일:Cityroad_kor_11.svg
산단JC파일:Expressway_kor_17.svg계획중
(문산-도라산)


4.1.1. 계획중인 구간[편집]



나들목과 분기점 명칭은 모두 가칭으로 발표된 자료에 기반한다.[21]

소재지번호이름접속
노선
비고
경기파주시산단JC파일:Expressway_kor_17.svg계획중
탄현IC계획중
도라산IC계획중

2022년 2월 14일 본선으로 추가 지정된 구간으로 현재 건설이 계획 중이다.[C]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4.2. 지선1 (남광명-소하)[편집]


소재지번호이름접속
노선
비고
경기광명시5남광명JC파일:Expressway_kor_17.svg
TG
남광명TG
6성채IC
소하IC
파일:Cityroad_kor_94m.svg



4.3. 지선2 (남고양-봉대산)[편집]


소재지번호이름접속
노선
비고
경기고양시
덕양구
남고양IC
1봉대산JC파일:Expressway_kor_17.svg


원래 계획에서는 강서로와 연결되는 교량인 강서대교를 신설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이쪽이 본선이었으나, 공사비 절감을 위해 강서대교 건설이 취소되고 방화대교를 공유하도록 바뀌면서 지선으로 바뀌었다.


4.4. 지선3 (산단-문산)[편집]


소재지번호이름접속
노선
비고
경기파주시산단JC파일:Expressway_kor_17.svg계획중
TG
산단TG
9내포IC

2023년 2월 10일 본선에서 지선으로 새롭게 분리된 구간이다.[B] 이는 추후 산단 JC에서 분기하여 도라산까지 연장이 되면 그 구간이 본선이 될 예정이기 때문.


5. 구간별 역사/특징[편집]





6. 기타[편집]



[1]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77호, 2023-02-10, 국토교통부[2]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77호, 2023-02-10, 국토교통부[3] 양방향 가변차로 시행[4] 평택~광명: 오성IC, 어연IC, 양감IC, 향남IC, 정남IC, 봉담IC, 금곡IC, 동안산당수IC, 남군포IC, 성채IC
서울~문산: 남고양IC, 흥도IC, 사리현IC, 북고양(설문)IC, 금촌IC, 월롱IC, 산단IC, 내포IC
전 나들목 경기도내 소재.
[5] 평택~광명: 평택분기점 (평택제천고속도로), 서오산분기점(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 동시흥분기점(제3경인고속화도로), 남광명분기점(평택파주고속도로(광명-파주))
서울~문산: 행주산성분기점(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권율대로), 봉대산분기점 (봉대산~남고양 지선), 고양분기점(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6] 평택~광명: 봉담지하차도, 금곡지하차도, 구봉산터널, 수리산1~3터널, 성채터널
서울~문산 봉대산터널, 봉대산지하차도, 성라산터널, 견달산터널, 금촌터널.
[7] 최장터널: 성채터널(광명방면: 3,260m, 수원방면: 3,292m).[8] 봉담∼동탄,평택∼화성 고속도로 오늘 개통, 파이낸셜뉴스. 2009-10-28[9] 수원-광명 고속도로 오늘 개통, 한국방송공사, 2016-04-29[1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8호 도로 노선의 지정 및 변경, 국토교통부, 2018-01-12[11] 도로 남북경협도 속도낸다…남북잇는 고속도로 경제성조사 면제, 연합뉴스, 2018-12-02[12] 서울∼문산 고속도로 내일 개통…통일로 이용 때보다 40분 단축, 연합뉴스, 2020-11-06[13]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65호, 국토교통부, 2022-02-14[B] A B C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77호 도로 노선의 변경 고시(고속국도 및 일반 국도), 국토교통부, 2023-02-10[14] 부천시 고강동과 강서구 외발산동 경계에 지어지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북인천IC처럼 지어질 예정이다.[15] 바로 옆으로 강서IC의 톨게이트와 나란히 설치된다. 방화터널 직전까지 봉담IC~금곡IC간 처럼 방화대로 지하로 통과한다.[16] 방화터널 출입구 부근 올림픽대로 진입로에서 분기하여 추가 램프를 설치하여 방화대교와 연결할 예정.[17] 평택 방면 진출입로 한정 요금소 설치[18] 대부분의 네비게이션과 지도 플렛폼이 명칭을 잘못 표기하는 나들목 중 하나. 정확한 나들목 명칭은 북고양(설문)IC이다. 그와 달리 정확한 톨게이트 명칭은 북고양설문톨게이트이다. 나들목 명칭에는 괄호가 있고, 톨게이트 명칭에는 괄호가 없으니 주의.[19] 문산방향 진입불가, 서울방향 진출불가[20] 문산방향 진입불가, 서울방향 진출불가[C] A B 고시 참조 [21]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전략영향평가 번복, 무슨 일 있었나, 한겨레,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