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푸단대학

덤프버전 :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푸단대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교우회망.jpg
2023 중국교우회망 대학 순위
[ 펼치기 · 접기 ]

순위학교명종합점수성급레벨^(i)^
1베이징대학100^(ii)^8★세계일류대학
2칭화대학99.678★세계일류대학
3저장대학80.598★세계일류대학
4상하이교통대학80.368★세계일류대학
5화중과기대학77.198★세계일류대학
6난징대학77.138★세계일류대학
7푸단대학77.058★세계일류대학
8우한대학76.988★세계일류대학
9중국과학기술대학72.458★세계일류대학
10하얼빈공업대학72.32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1인민대학72.168★세계일류대학
12난카이대학72.14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3톈진대학72.09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4시안교통대학72.08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5산둥대학71.737★세계지명고수준대학
중산대학71.73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7베이징항공항천대학71.03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8쓰촨대학70.71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9퉁지대학70.12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0샤먼대학70.10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1둥난대학69.82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2지린대학69.80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3시베이공업대학69.79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4화난이공대학68.676★세계고수준대학
25베이징이공대학67.85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6중난대학67.84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7중국농업대학67.12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8다롄이공대학66.216★세계고수준대학
29란저우대학66.196★세계고수준대학
30전자과기대학65.986★세계고수준대학
^(i)^ 성급은 1성부터 9성까지 있다. 교우회 판단 기준으로 세계 0.01% 이상의 학교에 9성 세계최고대학(世界顶尖大学)칭호를 수여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9성인 중국 본토 대학은 없다.
^(ii)^ 1위인 베이징대학을 기준점수로 한다.



||
||
||
||
||
||
||
||
||
||
||
||
||
||



||





[ 펼치기 · 접기 ]

사업단참여대학
BEST Alliance [5]#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히토츠바시.png 히토츠바시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Risk Management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고베 대학 마크.png 고베대학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푸단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Joint Campus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파일:리츠메이칸 대학교 아이콘.png 리츠메이칸대학파일:광동외어대.png 광둥외어외무대학
파일:jun_symbol_logo_basic_color.jpg 리츠메이칸APU
Energy & Environment
Science & Technology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BESETO DDMP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Jus Commune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파일:인민대학.png 중국인민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TKT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파일:Tokyo_Institute_of_Technology.svg.png 도쿄공업대학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ENGAGE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SUAE Asia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파일:퉁지대.png 퉁지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NLIE Project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나가사키대학.png 나가사키대학파일:산둥대학 엠블렘.jpg 산둥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CAMPH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광동제약대 로고.png 광동제약대학
파일:오사카대학 엠블럼.svg 오사카대학파일:수정됨_천진중의약대.png 톈진중의약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
Design Leadership파일:연세미래.png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파일:치바대학 로고.png 치바대학파일:저장대학.png 저장대학파일:Seal_of_King_Mongkut's_University_of_Technology_Thonburi.svg.png 톤부리 킹몽꿋 기술대학교
파일:external/www.lib.shibaura-it.ac.jp/logo.png 시바우라공업대학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KGC Int'l. Co-work
& Joint MFA Project
of Animation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파일:도쿄예대.png 도쿄예술대학파일:Communication_University_of_China_logo.png 중국전매대학파일:180px-Silpakorn_University_Logo_02.png 실파콘대학교
Marine Science
& Technology ERASMUS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파일:도쿄해양대.png 도쿄해양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파일:말라야 대학교 문장.svg.png 말라야대학교
파일:상해해양대학.png 상하이해양대학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파일:Bogor_Agricultural_University_(IPB)_symbol.svg.png 보고르 농과대학교
AFIMA Leaders Program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나가사키대학 로고.jpg 나가사키대학파일:중국해양대학 엠블렘.jpg 중국해양대학파일:1920px-Logo_Rasmi_UMT.png 말레이시아 트랭가누대학교
A³I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야마나시대학 로고.jpg 야마나시대학파일: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 로고.jpg 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파일:UniMAP.svg.png 말레이시아 펄리스대학교
The ACE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rikkyo university logo.png 릿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MGLD[1]
through Asian-Model Dentistry Consortium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호쿠대학 엠블럼.svg 도호쿠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Sichuan_University_logo.png 쓰촨대학파일:471px-UI_Logo.svg.png 인도네시아 대학교
DPP-EPM[2]
Contributing to Solving Global-Scale Issues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파일:쓰쿠바대학 로고.jpg 츠쿠바대학파일:화둥사범대학 로고.png 화둥사범대학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파일:콘캔대학교 로고.png 콘캔 대학교파일:1280px-Institut_Teknologi_Bandung_logo.svg.png 반둥 공과대학교
ICHRDP[3]
in Asia to Foster Inclusive Minds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파일:히로시마대학 로고.png 히로시마대학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파일:Logo_Almamater_UPI.png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
파일:창춘대 로고.jpg 창춘대학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
FHR[4] for C-Zeroization in Asia Countries파일:KMOU_LOGO.png 한국해양대학교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종료된 사업단
Common Good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오카야마대학.png 오카야마대학파일:지린대학.png 지린대학
IGPTE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파일:학예대.png 도쿄학예대학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
Campus Asia CJK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1] Multimodal Global Leaders Development [2] Development Program for Professionals in Educational Policy Management [3] International Collabora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4] Fostering Humans Resources [5] 2023년 기준 복수학위, 교환학생, 교류행사 등 서울대, 히토츠바시, 북경대 3개교 간 적극 진행 중이며 캠퍼스아시아와 별개로 폐지설이 돌았으나 적어도 2025년까지는 변동 사항 없을 예정



파일:중국 국장.svg
중국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정책 대상 대학 (2기, 2022년)
[ 펼치기 · 접기 ]
화베이베이징칭화대학★·베이징대학★·중국인민대학·베이징외국어대학·베이징항공항천대학·베이징공업대학·베이징이공대학·베이징과기대학·베이징화공대학·베이징우전대학·중국농업대학·베이징임업대학·베이징셰허의학원·베이징중의약대학※·베이징사범대학·수도사범대학·베이징교통대학·중국전매대학·중앙재경대학·대외경제무역대학·외교학원·중국인민공안대학·베이징체육대학·중앙음악학원·중국음악학원·중앙미술학원·중앙희국학원·중앙민족대학·중국정법대학·중국광업대학(베이징)·중국지질대학(베이징)·중국석유대학(베이징)·화베이전력대학·중국과학원대학
톈진난카이대학·톈진대학·톈진공업대학·톈진의과대학·톈진중의약대학·허베이공업대학
허베이허베이공업대학
산시(산서)산시대학◎·타이위안이공대학
내몽골내몽골대학
둥베이랴오닝랴오닝대학·다롄이공대학·둥베이대학·다롄해사대학
지린지린대학·연변대학※·둥베이사범대학
헤이룽장하얼빈공업대학·하얼빈공정대학·둥베이농업대학·둥베이임업대학
화둥상하이푸단대학·퉁지대학·상하이교통대학·화둥이공대학·둥화대학·상하이해양대학·상하이중의약대학·화둥사범대학·상하이외국어대학·상하이재경대학※·상하이체육학원·상하이음악학원·상하이대학·중국인민해방군해군군의대학
장쑤난징대학·쑤저우대학·둥난대학·난징항공항천대학·난징이공대학·중국광업대학·난징우전대학·허하이대학·장난대학·난징임업대학·난징정보공정대학·난징농업대학·난징의과대학◎·난징중의약대학·중국약과대학·난징사범대학
저장저장대학·중국미술학원·닝보대학
안후이안후이대학※·중국과학기술대학·허페이공업대학
푸젠샤먼대학·푸저우대학
산둥산둥대학·중국해양대학·중국석유대학(화둥)
중난허난정저우대학·허난대학
후베이우한대학·화중과기대학·중국지질대학(우한)·우한이공대학·화중농업대학·화중사범대학※·중난재경정법대학
후난샹탄대학◎·후난대학·중난대학·후난사범대학·국방과기대학
장시난창대학
광둥중산대학·지난대학·화난이공대학·화난농업대학◎·광저우의과대학◎·광저우중의약대학·화난사범대학·남방과기대학
하이난하이난대학
광시광시대학
시난쓰촨쓰촨대학·시난교통대학·전자과기대학·시난석유대학·청두이공대학·쓰촨농업대학·청두중의약대학·시난재경대학
충칭충칭대학·시난대학
구이저우구이저우대학
윈난윈난대학
티베트티베트대학
시베이산시(섬서)시베이대학·시안교통대학·시베이공업대학·시안전자과기대학·창안대학·시베이농림과기대학·산시사범대학·중국인민해방군공군군의대학
간쑤란저우대학
칭하이칭하이대학
닝샤닝샤대학
신장신장대학※·스허즈대학
출처: 중국 교육부 | 학교 코드 기준으로 정렬
★: 일류학과 자율지정 대상 | ◎: 2기 신규 지정 | ※: 일류학과 건설 경고 혹은 취소 대상


파일:universitas 21 투명 로고.png
U21 국제 대학연합
Bridging Leading Global Universities
||
[ 펼치기 · 접기 ]

 U21 개요 

* Universitas 21 (이하 U21)은 지난 1997년 멜버른 대학교의 주도로 호주에서 설립된 국제 대학협력체다.
* 설립 당시 11개 회원대학으로 출범했으며, 이후 19개국 27개 대학 규모의 연구협력체로 성장했다.
* 소속 대학들 간의 연구협력 및 재학생 육성정책 공유를 통한 교육 혁신이 주요 목표다.
소속 대학 목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고려대학교 원형엠블럼.svg
파일:Shield_of_the_University_of_Glasgow.png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버밍엄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노팅엄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원형 아이콘.png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고려대글래스고에든버러버밍엄노팅엄더블린와세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코네티컷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파일:UC Davis 아이콘.png
파일:멜버른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UNSW 원형 아이콘.png
파일:퀸즐랜드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시드니 대학교 아이콘.png
코네티컷메릴랜드UC 데이비스멜버른UNSW퀸즐랜드시드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UvA 아이콘.png
파일:Lunds_universitet_seal.png
파일:뢰번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취리히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몬테레이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맥마스터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요하네스버그 대학교 아이콘.png
암스테르담룬드KU 뢰번취리히몬테레이맥마스터요하네스버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파일:홍콩대학 문장.svg
파일:NUS 아이콘.png
파일:칠레 교황청립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델리 대학교 문장.png
파일:오클랜드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상해교통대학푸단대학홍콩대학NUS폰티피카델리오클랜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영국 - 중국 인문학 연구연합 (UKCHA)
UK - China Humanities Alliance
||
[ 펼치기 · 접기 ]

 UKCHA 관련 정보 

* UK - China Humanities Alliance (이하 UKCHA)는 양국의 인문학 연구 및 교육 협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지난 2016년 설립됐다.
* 본 연구연합의 영국측 책임 기관(UK lead university)은 엑시터 대학교이며, 중국측 책임 기관(China lead university)은 칭화대학이다.
* 본 연구연합의 창립 회원들에 대한 정보는 이 곳을, 2018년 확대 개편된 이후의 현재 회원들에 대한 정보는 이 곳을 참고하길 바란다.
파일:800px-University_of_Exeter_Crest.svg.png
파일:옥스퍼드 대학교 문장.svg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문장.svg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문장.svg
파일:493px-Shield_of_King's_College_London.svg.png
엑시터
University of Exeter
옥스퍼드
University of Oxford
케임브리지
University of Cambridge
유니버시티 칼리지
University College London
킹스 칼리지
King's College London
파일:SOAS 로고 배경제거.png
파일:1200px-University_of_Reading_shield.svg.png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Manchester.svg.png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Warwick.svg.png
파일:800px-Shield_of_Loughborough_University.svg.png
동양·아프리카학 대학
SOAS
레딩
University of Reading
맨체스터
University of Manchester
워릭
University of Warwick
러프버러
Loughborough University
파일:칭화대의 로고.svg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파일:우한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북경외국어대학 문장_배경제거.png
칭화대학
清华大学
북경대학
北京大学
복단대학
復旦大学
우한대학
武汉大学
북경외대
北京外国語大学
파일:홍콩중문대학 로고.svg
파일:The_Logo_of_Shanghai_International_Studies_University.png
홍콩중문대학
香港中文大學
상해외대
上海外国語大学




||
[ 펼치기 · 접기 ]

-1 ||<-2><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fff,#ddd 아시아}}}]]''' || ||<width=1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fff,#ddd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fff,#ddd 대만}}}]] ||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타이완대학|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몽골|{{{#fff,#ddd 몽골}}}]]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20]] [[방글라데시|{{{#fff,#ddd 방글라데시}}}]] ||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베트남|{{{#fff,#ddd 베트남}}}]] ||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fff,#ddd 인도}}}]] || [[공업경영대학교]]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0]] [[인도네시아|{{{#fff,#ddd 인도네시아}}}]] ||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fff,#ddd 일본}}}]] ||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fff,#ddd 중국}}}]] ||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태국|{{{#fff,#ddd 태국}}}]] ||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fff,#ddd 필리핀}}}]] ||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 ||<-2> '''[[아메리카|{{{#fff,#ddd 아메리카}}}]]'''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fff,#ddd 미국}}}]] ||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fff,#ddd 브라질}}}]] ||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fff,#ddd 캐나다}}}]] || [[퀸스 대학교(캐나다)|퀸스 대학교]] || || [[파일:UN기.svg|width=20]] [[유엔|{{{#fff,#ddd 유엔}}}]][br]{{{-2 ([[코스타리카|{{{#fff,#ddd 코스타리카}}}]])}}} || [[평화대학교]] || ||<-2> '''[[오세아니아|{{{#fff,#ddd 오세아니아}}}]]''' ||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fff,#ddd 뉴질랜드}}}]] ||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fff,#ddd 호주}}}]] ||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ffffff 대륙-홍콩-마카오 법학교육연맹
内地与港澳法学教育联盟
Mainland-Hong Kong-Macau Law Education Alliance }}}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기.svg 대륙북경대칭화대학중국인민대학
우한대학푸단대학샤먼대학
중국정법대학중산대학지난대학
화둥정법대학선전대학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홍콩대학홍콩중문대학홍콩쉐얀대학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마카오대학마카오과학기술대학
대륙-홍콩-마카오 법학교육연맹은 2017년 6월 1일 북경에서 설립되었다. 16개의 대학에서 80명이 넘는 학교 당국, 법대 선두자, 대만, 홍콩, 마카오의 장관, 전문가와 교수님들이 주최식에 참석했다. 대륙-홍콩-마카오 법학교육연맹은 중국정법대학과 홍콩중문대학, 마카오대학이 공동운영한다. 이 연합은 중국 대륙과 홍콩, 마카오 간의 교류와 협력을 추진하고 혁신적인 법률전문가들과 현지 법률업무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비전도 갖춘 정치 인재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홍콩중문대학이 이 연합의 부위원장을 맡고있다.
Mainland-Hong Kong-Macau Legal Education Alliance





復旦大学
푸단대학 | 복단대학
Fudan University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대학 정보
정식 명칭復旦大学
모토중국어博学而笃志,切问而近思[1]
한국어박학이간지, 절호이근사
영어Rich in knowledge[생략]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소속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설립 연도1905년 (119주년)
분류국립대학
소재한단(邯郸) 캠퍼스
상하이시 양푸구 한단로 220번지
장완(江湾) 캠퍼스
상하이시 양푸구 쑹후로 2005번지
펑린(枫林) 캠퍼스
상하이시 쉬후이구 동안로 131번지
장장(张江) 캠퍼스
상하이시 푸둥신구 장헝로 825번지
설립자마샹보(馬相伯), 위유런(于伯循)
총장진리(金力)
당위서기치우신(裘新)
재학생학부14,100명 (2022년)
대학원14,800명 (2022년)
교직원교원2,700명 (2022년)
직원5,800명 (2022년)
링크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한단 캠퍼스
장완 캠퍼스
펑린 캠퍼스
장장 캠퍼스


1. 개요
2. 역사
2.1. 교명의 유래
3. 학부, 학과와 연구 기관
4. 캠퍼스
5. 서원(书院) 제도
6. 유학생 입시
7. 한국인 유학생
7.1. 출신 유학생
7.2. 송년의 밤
7.3. 복단대 커뮤니티
8. 상하이의학원
9. 여담



1. 개요[편집]


파일:푸단대학 캠퍼스 1.jpg
▲ 푸단대학 한단캠퍼스
파일:푸단대학 캠퍼스 2.jpg
▲ 푸단대학 장완캠퍼스
▲ 푸단대학 소개 영상

푸단대학(复旦大学) 혹은 복단대학[2], 영어 교명(Fudan University)의 약칭 FDU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중국의 국립종합대학이며 세계적인 명문대학이다.#

푸단대학의 '푸단'은《상서대전 우하전(尙書大傳 虞下傳)》 중에서 "일월광화 단복단혜(日月光華, 旦復旦兮) (해와 달이 빛남이여, 환하고 또 환하도다)"라는 명언에서 따왔으며, 옛 중화민국의 국가인 경운가의 가사에도 등장하는 구절이다. 1905년에 푸단공학(复旦公学)이라는 이름으로 중국 근대 교육자인 "마상보"가 개교하였으며, 창립 당시 이사장은 중국의 국부 쑨원이다. 1917년에 현재의 푸단대학이 되었다. 중국인이 중국에 세운 첫번째 대학이다. 상해의과대학의 전신은 1927년 설립된 국립제4중산대학의학원이다. 2000년, 푸단대학은 상하이의과대학과 합병하게된다. 현재 철학부, 경제학부, 법학부, 교육학부, 문학부, 역사학부, 자연과학부, 공학부, 의학부, 경영학부, 미술학부의 11개 학부로 이루어져있으며, 2009년 인재육성과 과학연구 등의 분야에서 협력과 상호보완을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중국의 구교연맹에 포함되어 있고, 2017년 중국고등교육 영역의 211공정985공정에 이은 쌍일류(双一流) 시책의 중점학교로 지정된 중국 최고의 종합연구형 대학중 하나다.

푸단대학은 35개의 직속학원과 76개의 학과, 17개(4개는 건설중)의 부속병원을 가지고 있다. 1급 학과 박사학위 수권소[3] 37개, 1급 학과 석사학위 수권소 43개(1급 학과 박사 학위 수권소 포함), 박사 전공 학위 수권소 4개, 석사 학위 수권소 32개로, 재학중인 학부생 13,623명, 대학원생 22,610명, 유학생 3,672명, 교원과 연구원 3,110명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과학원, 중국공정원 원사[4] 47명, 문과걸출(杰出)교수[5] 1명, 문과자심(资深)교수 13명 등의 교원도 포함된다.

2023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세계 34위 및 중국 3위 대학이다. ESI 세계 상위 1%에 드는 학과 수는 19개로 학문영향력은 중국 본토 대학 공동 2위에 올라 있으며 화학, 재료과학, 임상의학, 약리학이 글로벌 1위에 올랐다. QS 세계 학과 랭킹에서는 10개 학부가 세계 100위 안에 들었고 이 숫자는 중국 3위이다. 또한 5대 학과[6]가 모두 세계 100위 안에 들었으며, 이는 중국 본토에서는 2개 대학만이 포함된 우수한 성과다. U.S.News 세계학과 순위에서 4개 학과가 세계 50위 안에 들었고, THE 세계 학과 순위에서 1개 학과 50위 안에 포함된다. 중국 4차 1등급 학과 평가에서 5개 학과가 A+를 받았고, 평가받은 학과의 60%가 A를 받았다. 이 밖에 상하이시 최고 학과에 14개 학과가 선정됐다.
평가기관국제 랭킹 종류202220212020201920182017
QSQS World University Rankings31위34위40위44위40위43위
QS Asian University Rankings7위6위7위6위7위11위
THETHE World University Rankings70위109위104위116위155위
THE Asian University Rankings11위17위17위16위16위

중국교우회넷(中国校友会网)에서 발표한 2020년 중국 본토 대학교 순위에서 베이징대학칭화대학 다음가는 입결과 순위를 가지며, 상하이에서는 상하이교통대학과 전통적인 경쟁관계이다.[7] 중국 입시생들은 이 네 학교의 앞글자를 따서 칭베이푸자오(清北复交•청북복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편집]


1905년 개교 당시의 명칭은 복단공학(復旦公學)으로, 당대의 교육자 마샹보(馬相伯)와 위유런에 의해 창립되었다. 마샹보는 이전에도 프랑스인 선교사와 함께 진단학원(震旦學院)을 설립, 운영한 바 있다. 진단학원 시절, 마샹보는 선교사와 반(反)기독교 학생 양측 모두와 갈등을 빚다 학교문을 닫는다. 낙담해있던 마샹보를 설득한 사람이 위유런이다. 훗날 중화민국의 정치인이 되는 위유런은 따로 상하이교통대학을 설립하기도 한다. 초대 이사[8]는 후에 손중산이라 불리게 되는 쑨원(孫文)이 맡게 된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충칭(重庆)으로 이전하며, 4년 뒤인 1941년 국립대학으로 전환된다. 이후 전쟁이 끝난 1946년 상하이로 돌아오게 된다.

1952년 대학제도 개편 이후 문이과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었으며, 1959년 전국 중점 대학으로 지정된다.

2000년 상하이의과대학(上海医科大学)과 합병하여 현재의 푸단대학(复旦大学)으로 개편된다.

2021년 4월 29일에 헝가리와 중국이 부다페스트에 푸단대학 캠퍼스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6월에 접어들면서 헝가리 현지에서 반대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주요 쟁점은 푸단대 부다페스트 캠퍼스 설립을 위해 헝가리가 중국에서 1조 7,800억원 규모의 차관을 끌어오고 중국 건설업체, 자재, 인력만이 사용되는 것으로 인한 경제 예속화를 비롯해, 본래 해당 부지에 건설되기로 했던 학생 도시 프로젝트의 백지화 등 여러가지가 있다. 결국, 계획을 철회했다.#

2.1. 교명의 유래[편집]


푸단(復旦)이란 교명은 위에서 보았던 『상서대전』에서 취하였으며, 해와 달이 빛나 뜨고 또 뜨는 것을 두고 자강불식의 의미로써 해석하여 학교명으로 붙인 것이다. 학교 내의 건물 및 도로 중에는 광화루(光华楼)라든지, 르웨루(日月路)와 같이 위 구절의 일부를 따서 붙인 명칭이 많다. 한국에서는 '복단대'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나, 저 문장의 의미를 음미해 본다면 사실은 '부단대'로 읽는 것이 맞을 것이다. 하지만 이미 '복단대'라는 명칭이 널리 퍼져서 이것은 어쩔 수 없기도 하고 복단대라는 호칭이 아예 잘못된 것도 아니다.

3. 학부, 학과와 연구 기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푸단대학/학부, 학과와 연구 기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캠퍼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푸단대학/캠퍼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서원(书院) 제도[편집]


푸단대학은 1학년 신입생들을 학부와는 별개로 서원(书院)이라는 제도로 나눈다.

  • 지덕서원(志德书院) : 상징색은 초록색, 대학 창시자인 마상보(马相伯)를 기린다.
  • 등비서원(腾飞书院) : 상징색은 빨간색, 23년간 교장으로써 활약한 리덩후이(李登辉)를 기린다.
  • 극경서원(克卿书院) : 상징색은 파란색, 상하이의학원 창시자인 옌푸칭(颜福庆)을 기린다.
  • 임중서원(任重书园) : 상징색은 주황색, 해방 후 첫번째 교장인 천왕다오(陈望道)를 기린다.
  • 희덕서원(希德书院) : 상징색은 보라색, 유명 여성교육가이자 교장을 역임한 씨에시더(谢希德)를 기린다.

총 5개가 있다.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가장 쉽게 설명하는 방법은 해리 포터 시리즈에 나오는 4개의 기숙사에 비유하는 것이다. 서원별로 1학년 기숙사도 따로 있다. 각 기숙사 건물 앞에 각 서원의 이름을 적은 현판과 상징이 걸려있고, 서원복도 검은색 베이스에 깃과 소매, 가슴의 문양이 각 서원의 색으로 되어 있다. 각 서원에서는 특색있는 여러 활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덕서원은 매월 7일을 독서의 날로 지정해두어서, 서원 내 학생은 독서 후 지식을 나눌 수 있다.

하지만, 해리 포터 시리즈와는 다르게 2학년이 되면 서원간의 구분은 없어진다.

6. 유학생 입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푸단대학/유학생 입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한국인 유학생[편집]


복단대는 중국 최대 유학생 수를 보유한 대학교중 하나이다. 따라서 중국 내 유학생 중 가장 수가 많은 대학 중 하나인 복단대에 한국인이 적을리가 없다. 다만 2010년대부터 한국인 입시가 매우 어려워지고 있기도 하여 한인 학생수가 줄고 있고 학령인구 감소도 영향이 있다.


7.1. 출신 유학생[편집]



7.2. 송년의 밤[편집]


복단대 한국 유학생들의 가장 큰 행사이며, 보통 매년 12월 초중순경에 개최된다. 송년의 밤이라는 이름대로 연말에 열리는 송년회 행사이며, 행사의 기획과 운영은 복단대 한국인 유학생회가 맡고 있다.

7.3. 복단대 커뮤니티[편집]


푸단대학 한국 유학생들의 홈페이지로 쓰이고 있는 네이버 카페이다. 카페의 이름은 복단대 커뮤니티이지만, 사실상 상해 전체 지역 한국인 유학생들의 소통의 장으로도 쓰이고 있었다. 복단대 커뮤니티의 운영과 관리는 푸단대학 한국인 유학생회에서 총괄한다. 과거에는 해당 홈페이지를 통한 교류와 소통이 활발한 편이었으나 중국 정부에서 네이버 카페를 인터넷 검열 목록에 추가해 차단해 버린 이후로는 예전처럼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인 유학생수 감소 영향도 있다.

8. 상하이의학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푸단대학 상하이의학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편집]


푸단대(복단대)는 중국의 TOP3 대학이고 지리적으로 금융업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타 대학들에 비해 금융권 취업이 비교적 용이하다.물론 금융권 취업 자체가 진입장벽이 높다.

2021년에 중국대학중 동문기부금을 6번째로 많이 모았다.

2010년 6월에 푸단대가 캐나다 총독 미셸 장을 초청한 적이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6:53:36에 나무위키 푸단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博览群书并广泛学习,坚守自己的志向,恳切的询问请教,多多思考当前的问题"라는 뜻으로, 논어에 나오는 문장이다. 한국어로는 "여러 방면을 심도있게 공부하고, 자신의 지향을 가지며, 많은 이들에게 질문을 하며 도움을 받고, 눈앞의 일을 생각한다."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 [생략] and tenacious of purposes, inquiring with earnestness and reflecting with self-practice[2] 한국에서는 주로 한국식 한자음독으로 복단대학교라고 부른다.[3] 박사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학과라는 뜻이다.[4] 원사는 어떤 나라가 설립한 과학기술 분야의 최고 학술 칭호로 일반적으로 평생의 영예이다. 중국에서 원사는 흔히 중국과학원 원사나 중국공정원 원사를 말한다.[5] 2003년 중국 교육부는 '철학 및사회과학번영 프로그램'을 시행해 해당분야 걸출교수, 자심교수직을 설립하고 자연과학과 공과대학의 원사에 상응하는 대우를 할 수 있도록 장려하자고 제안했다. 이후 베이징대학, 푸단대학, 우한대학 등 국내 일부 문과 전통의 대학에서 인문계 자심교수와 1급 교수직제가 잇따라 실시됐다. 중국사회과학원은 2006년 학부제를 만들어 첫 학부위원과 명예학부위원을 선출했고, 그 지위도 중국과학원 원사에 해당한다.[6] 미술인문학부, 공정기술학부, 생명/의과학부, 자연과학부, 사회과학/경영학부[7] 중국 입시 커뮤니티에는 푸단대와 상해교통대의 관계를 互黑라고 표현하는데, 서로 라이벌 의식으로 장난스럽게 까는 것을 의미한다.[8] 개교 당시 개인 자본으로 건립된 사립대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