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정연(군인)

덤프버전 :

파일:haijun.png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41414><bgcolor=#003399> 파일:대한민국 해군 대장.svg ||
||<width=20%> 초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손원일 ||<width=20%> 2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박옥규 ||<width=20%> 3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정긍모 ||<width=20%> 4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용운 ||<width=20%> 5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성호 ||
|| 6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이맹기 || 7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함명수 || 8대
김영관 || 9대
장지수 || 10대
김규섭 ||
|| 11대
황정연 || 12대
김종곤 || 13대
이은수 || 14대
오경환 || 15대
최상화 ||
|| 16대
김종호 || 17대
김종호 || 18대
김철우 || 19대
김홍열 || 20대
안병태 ||
|| 21대
유삼남 || 22대
이수용 || 23대
장정길 || 24대
문정일 || 25대
남해일 ||
|| 26대
송영무 || 27대
정옥근 || 28대
김성찬 || 29대
최윤희 || 30대
황기철 ||
|| 31대
정호섭 || 32대
엄현성 || 33대
심승섭 || 34대
부석종 || 35대
김정수 ||
|| 36대
이종호 ||<bgcolor=#e0ffdb,#202210>37대
양용모|| || ||
||<-5><bgcolor=#003399>
초대: 해방병단장/조선해안경비대총사령관 · 1대~2대: 해군총참모장 · 2대~현재: 해군참모총장
※ 27대: 예비역 신분 박탈
||
||<-5> ||


대한민국 제11대 해군참모총장
황정연
黃汀淵 | Hwang Jeongyeon
파일:황정연 제독.jpg
본관장수 황씨(長水)[1]
출생1928년 3월 11일
경상남도 마산부
사망2012년 2월 29일 (향년 83세)
경기도 수원시
묘소국립대전현충원 장군 2묘역-198호
가족배우자 우복숙
장남 황상진[2], 차남 황상용[3], 딸 황혜진[4]
학력서라벌고등학교 (졸업)
군사 경력
임관해군사관학교 (3기)
복무대한민국 해군
1950년 ~ 1979년
최종 계급대장
최종 보직해군참모총장
주요 보직제6전단사령관
통제부사령관
한국함대사령관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군인.

2. 생애[편집]


1928년 3월 11일 경상남도 마산부(현 창원시)에서 아버지 황의섭(黃義燮) 슬하의 5형제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서라벌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47년에 해군사관학교 3기로 입학해 1950년에 졸업했다.

졸업 후 임관해 대한민국 해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참전해 313함 기관장, PT-26함 함장을 역임하면서 전공을 올려 충무무공훈장을 두 차례 수여받았다.

이후 경남함장, 제6전단 사령관, 통제부사령관, 해군대학 총장, 한국함대사령관[5]을 거쳐 YTL30호 침몰 사건으로 경질된 김규섭 대장에 이어 1974년 제11대 해군참모총장에 취임했다. 1979년 예편한 뒤에는 원양어업협회 회장, 재향군인회 고문 등을 역임했다.

사족으로 울산급 호위함이 처음 건조되기 시작했을 때, "주포가 0-1 데크 위에 설치된 전투함이 어디 있느냐"고 힐난했던 해군참모총장이 바로 이 사람이다. 이에 대해 당시 조함과장이던 엄도재(1937~2004) 제독[6] 이 "그럼 구축함이 간첩선을 잡는 경우는 어디 있습니까?"라고 반박하자 잠시 말없이 가만히 있다가 품의서를 결재해 줬다고 한다.

2012년 2월 29일 경기도 수원시에서 별세했다. 그의 유해는 2012년 3월 3일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2묘역에 안장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2:26:12에 나무위키 황정연(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호군공계(護軍公系) 23세 연(淵) 항렬.[2] 黃相軫.[3] 黃相龍.[4] 黃惠塡.[5] 1986년에 명칭이 바뀌어 현재는 해군작전사령관이다.[6] 밀성고등학교(2회)를 졸업하고 해군사관학교(14기)와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를 거쳐 해군본부 조함과장, 조함실장 등 조함부서에서 잔뼈가 굵은 조함 분야의 전문가다. 해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