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BB 람피리데

덤프버전 :

분류

파일:메셔슈미트로고.png
[ 메서슈미트 항공기 목록 ]

민항기
연락기Bf 108
경주기Bf 209V
군용기
전투기Bf 109Bf 209A람피리데
쌍발 전투기Bf 110Bf 109ZMe 210Me 410
수송기Me 323
폭격기Me 264
제트기Me 109TLMe 262Me P.1101
로켓전투기Me 163
헬리콥터Bo-105
정찰기Bf 108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파일:external/www.hitechweb.genezis.eu/lampyridae_MBB_manned_tunnel_model_stealth_2.jpg
파일:external/www.hitechweb.genezis.eu/lampyridae_MBB_manned_tunnel_model_stealth_1.jpg
[1]

1. 개요
2. 개발과정과 중단, 그리고 가능성
3. 외부 링크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독 정부의 '소련의 방공망을 돌파할 수 있는 전투기'라는 의뢰를 메서슈미트 뵐코브 블롬(MBB)이 받아 개발한 프로토타입 스텔스 전투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전투기로 이름 높았던 메서슈미트가 전후 처음으로 개발을 시도한 전투기이다.


2. 개발과정과 중단, 그리고 가능성[편집]


각종 풍동시험과 RCS 측정시험 끝에 실기 모형이 완성되자 미 공군 고위인사들을 초청해서 공개했는데, 당시 F-117은 1급 기밀로 분류되어 존재조차 공개되지 않았음에도 그와 똑같은 방식의 형상스텔스를 적용한 기체가 나타나자 미 공군 장성들은 경악을 금치 못하였다고 한다.

람피리데 전투기의 시제품은 당시 미국이 극비리 개발중이던 스텔스 공격기 F-117보다 공기역학적으로 더 안정되었으면서도 스텔스 성능은 오히려 더 뛰어났다. 시제품 성능이 워낙 탁월했기 때문에 MBB의 연구자들은 람피리데 전투기가 곧 독일공군의 주문을 받아 대량생산단계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2] 그러나 세계최초 스텔스 전투기 타이틀을 빼앗길것을 우려한 미국의 각종 수많은 압력에 의해 개발이 중단되었고,[3] 시제품은 뮌헨에 있는 독일 박물관(Deutsches Museum)에서 전시되어 있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30a2dbebc83e16c0485c16d630ddb0d6.jpg

하지만 몇 년 뒤 독일 통일 후 군사 부문이 겪은 예산감축크리를 감안 한다면 개발이 무사히 이뤄졌을 가능성은 낮았을 것으로 보인다. 개발소요시간은 최소한 6~7년은 더 걸렸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람피리데의 개발이 끝나는 시점은 1990년대 초반에서 중후반이 되었을 것이다. 이 시기 독일은 통일후유증으로 인해 경제사정이 좋지 않았고 람피리데 외에도 DASA의 AT-2000 MAKO 훈련기/경공격기[4] 프로젝트나 도르니에의 LA-2000[5]도 줄줄이 취소되었다.[6]


3. 외부 링크[편집]


링크1
링크2
링크3


4.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1] 사진의 것은 축소형으로 실기체의 1/4정도 크기이다.[2] F-104 등 구형기체들의 대체물량이 수 백 기에 달했으므로 실제 양산에 들어갔다면 최소한 백 여기 이상은 생산되었을 것이다.[3] 관련 기술이 동독과 소련에 유출될 가능성을 거론하며 중단을 강요했다.[4] 독일-이탈리아 합작사업으로 시작했지만 이탈리아가 M-346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빠졌다. 이후 DASA 중심으로 개발했고 이후에 관련되는 자국 및 외국업체들의 경우 하청의 형태로 참여했다. EADS가 설립되고 DASA가 그 산하로 들어간 이후 EADS Mako/HEAT로 변경되어 개발되던 중 취소되었다. 기체 크기나 지향하는 바가 T-50 골든이글과 거의 같아서 계획대로 나왔으면 한국입장에서는 수출에 적신호가 켜졌을 확률이 매우 높았다. 겉은 4세대 기체인 T-50에 비해 Mako/HEAT의 경우 스텔스 기체의 태가 확실히 드러났고, 성능도 보다 고성능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독일도 옛날부터 미국제 전투기들을 면허생산하였고 파나비아 토네이도, 알파 제트, X-31, A380 등의 개발사업에 뛰어든 덕분에 스스로 전투기를 개발하여 생산할 수 있는 항공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물론 독일군 월급 챙겨주는 것도 벅찬 지금 재정상황으로는 전투기 단독 개발은 꿈도 못꾼다. 당장 징병제하던 시절과는 비교도 안되게 인건비를 주고 있지만 징병제 시절과 비교하면 해체 수준인 현재 독일군 장병들에게 예산을 겨우겨우 지급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덕분에 중장비 가동율은 바닥을 치고 있다. 통일 직전과 직후 육군력과 공군력으로는 미국과 소련을 제외한 나머지 유럽 국가들과 싸워도 이길 만 했던 과거와 비교를 한다면...[5] 미국의 A-12 Avenger와 유사한 컨셉이었으며 프로젝트의 결말도 같았다.[6] 통일 이후 독일의 기조는 군축이었으며 세대교체가 필요하다거나 운 좋게 개발이 거의 끝난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부 취소당했다. 군축의 칼날은 독일군의 핵심인 지상전력 역시 비켜가지 않았으며, 단적인 예로 기갑세력의 중추인 레오파르트2 역시 정말 필요한 공/수/주의 능력만 M1A2 전차들과 교전할 수 있는 수준으로만 맞춰놓고 내부 전자장비는 내버려 두었다. H&K G11이 취소되고 H&K G3AK-74를 교체하느라 H&K G36을 채택한 것도 이 시기의 이야기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13:14:14에 나무위키 MBB 람피리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