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WF_Light_Heavyweight_Championship.jpg
타이틀 명칭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마지막 챔피언엑스팍
챔피언 등극2001.8.19
이전 챔피언타지리
단체WWF
소속 브랜드-[1]
벨트 창설일1981년 3월 26일
벨트 폐지일2001년 11월 30일
공식 홈페이지
【 기록 펼치기 · 접기 】
초대 챔피언페로 이구아요
마지막 챔피언엑스팍
최다 획득 챔피언페로 이구아요
비야노 lll
7회
최장기간 챔피언비야노 lll826일
최단기간 챔피언페로 이구아요
스카티 투 하티
8일
최고령 챔피언페로 이구아요
최연소 챔피언에사 리오스
최중량급 챔피언오타니 신지로107kg
최경량급 챔피언그레이트 사스케82kg

1. 역사
2. 역대 챔피언 목록



1. 역사[편집]


파일:external/www.wwe.com/WWE_Light_Heavyweight_Championship.png

크루저웨이트 타이틀처럼 100kg 이하의 경량급 선수를 위해 만들어진 벨트로 원래는 신일본 프로레슬링 시절에 창설된 벨트였으나, 이후 97년부터 WCW의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과 경쟁하기 위해 WWF(현 WWE)가 합의 하에 가져왔다. 이후 신일본 프로레슬링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신설했다.

허나 처음부터 WCW 견제용 타이틀이었고 빈스의 빅맨 지상주의때문에 처음부터 존재감 없던 이 타이틀은 TV 데뷔전에서 챔피언 먹는 선수가 생기는가 하면 히트같은 B급 방송 메인이벤트 용으로나 쓰이는 푸대접을 받은 뒤 엑스팍에 의해 크루저웨이트 타이틀과 통합되어 사라지는 불운을 겪게된다.

빈스 맥마흔은 체급 자체에서 느낀 호불호와는 관계 없이 "라이트 헤비웨이트"라는 이름 자체를 별로 안 좋아했다는데, 꼭 햄버거 이름 같아서였다고.

WWE는 33대 챔피언인 타카 미치노쿠 이후의 기록만 인정하고 있다.


2.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및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영문 위키를 따라 신일본에서의 기록도 같이 기재.



2.1. 신일본 프로레슬링[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1페로 아구아요1회1981년 3월 26일 (183일)라이브 이벤트[2]
2피쉬맨1회1981년 9월 25일 (15일)라이브 이벤트
3페로 아구아요2회1981년 10월 10일 (8일)라이브 이벤트
4크리스 아담스1회1981년 10월 18일 (56일)라이브 이벤트
5페로 아구아요3회1981년 12월 13일 (129일)라이브 이벤트
6그랜 하마다1회1982년 4월 21일 (130일)라이브 이벤트
7페로 아구아요4회1982년 8월 29일 (203일)라이브 이벤트
8비야노 lll1회1983년 3월 20일 (140일)라이브 이벤트
9페로 아구아요5회1983년 8월 7일 (254일)라이브 이벤트
10그랜 하마다2회1984년 4월 17일 (33일)라이브 이벤트
11비야노 lll2회1984년 5월 20일 (826일)라이브 이벤트
12피쉬맨2회1986년 8월 24일 (122일)라이브 이벤트
13페로 아구아요6회1986년 12월 24일 (130일)라이브 이벤트
-공석-1987년 5월 3일N/A[3]
14비야노 lll3회1987년 6월 17일 (109일)라이브 이벤트[4]
15람보1회1987년 10월 4일 (281일)라이브 이벤트
16비야노 lll4회1988년 7월 11일 (399일)라이브 이벤트
17상그레 치카나1회1989년 8월 14일 (62일)라이브 이벤트
18페로 아구아요7회1989년 10월 15일 (49일)라이브 이벤트
19상그레 치카나2회1989년 12월 3일 (175일)라이브 이벤트
20비야노 lll5회1990년 5월 27일 (280일)라이브 이벤트
21페가수스 키드1회1991년 3월 3일 (560일)라이브 이벤트
22비야노 lll6회1992년 9월 13일 (110일)라이브 이벤트
23엘 시그노1회1993년 1월 1일 (563일)라이브 이벤트
24비야노 lll7회1994년 7월 18일 (167일)라이브 이벤트
-공석-1995년 1월N/A[5]
25에어로 플래쉬1회1995년 6월 16일 (282일)라이브 이벤트[6]
26그레이트 사스케1회1996년 3월 24일 (90일)라이브 이벤트
27엘 사무라이1회1996년 6월 22일 (43일)라이브 이벤트
28그레이트 사스케2회1996년 8월 4일 (68일)라이브 이벤트[7]
29울티모 드래곤1회1996년 10월 11일 (85일)라이브 이벤트
30수신 라이거1회1997년 1월 4일 (183일)레슬링 월드
31엘 사무라이2회1997년 7월 6일 (35일)라이브 이벤트
32오타니 신지로1회1997년 8월 10일 (87일)라이브 이벤트[8]
-공석-1997년 11월 5일-[9]


2.2. WWF[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33TAKA 미치노쿠1회1997년 12월 7일 (315일)WWF 인 유어 하우스 19: 디 제네레이션 X[10]
34크리스찬1회1998년 10월 18일 (30일)WWF 인 유어 하우스 25: 저지먼트 데이[11]
35길버그1회1998년 11월 17일 (453일)RAW is WAR[12]
36에사 리오스1회2000년 2월 13일 (29일)선데이 나이트 히트
37딘 말렌코1회2000년 3월 13일 (35일)RAW is WAR
38스카티 투 하티1회2000년 4월 17일 (8일)RAW is WAR
39딘 말렌코2회2000년 4월 27일 (322일)스맥다운
40크래쉬 할리1회2001년 3월 13일 (47일)선데이 나이트 히트
41제리 린1회2001년 4월 29일 (37일)선데이 나이트 히트
42제프 하디1회2001년 6월 5일 (20일)스맥다운
43엑스팍1회2001년 6월 25일 (42일)RAW is WAR
44타지리1회2001년 8월 6일 (13일)RAW is WAR
45엑스팍2회2001년 8월 19일 (91일)WWF 섬머슬램(2001)[13]
-폐지-2001년 11월 30일N/A[1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3:13:22에 나무위키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에는 브랜드 분할이 되지 않았던 시절이다.[2] 그랜 하마다를 꺾고 토너먼트에서 우승.[3] 논란으로 인해 공석 처리.[4] 페로 아구아요와의 경기에서 승리.[5] 비야노 lll의 PROMEL 프로모션과의 계약으로 인해 공석 처리.[6]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우승.[7]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열린 J-Crown 토너먼트에서 승리.[8] 신일본에서 마지막으로 열렸다.[9] 오타니가 타이틀을 WWE로 반납하면서 공석.[10]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브라이언 크리스토퍼를 꺾고 우승.[11] 방송 데뷔전[12] WWF 체제에서의 최장 보유.[13] 당시 엑스팍은 WCW 크루저웨이트 타이틀도 가지고 있었다.[14] 이후 엑스팍에 의해 WCW 크루저웨이트 타이틀과 통합되어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