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줄 이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12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おくる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유의자
4. 상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貽(줄 이)는 '주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주다
중국어표준어
광동어ji4
민동어ì
민남어î
일본어음독
훈독おくる
베트남어di
유니코드는 U+8CBD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月金戈口 (BCI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조개 패)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 (기쁠 이)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2.1. 단어[편집]


  • 이해(貽)


2.2. 고사성어/숙어[편집]




2.3. 인명[편집]




2.4. 지명[편집]




2.5. 창작물[편집]




2.6. 기타[편집]




3. 유의자[편집]




4. 상대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돈대 대)
  • (창 사)
  • (비로소 시)
  • (풀무 야)
  • (기쁠 이)
  • (땅 이름 이)
  • (미련스러울 이)
  • /𥹋(엿 이)
  • (옥돌 이)
  • (쟁기 이)
  • (줄 이/속일 태)
  • (김맬 치)
  • 𣅿(눈여겨볼 치)
  • (다스릴 치)
  • (새김질할 치)
  • (거의 태)
  • 𧉟(검은 조개 태)
  • (기울어질 태)
  • (둔마 태)
  • (매질할 태)
  • (밟을 태)
  • (복어 태)
  • 紿(속일 태)
  • /(아이밸 태)
  • (비웃을 해)
  • (알 찬 조 활)
  • 𩇚
  • 𩿡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4:33:5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