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정 고무신/등장인물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검정 고무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검정 고무신/주변인물
, 검정 고무신/단역인물
,
,
,
,



1. 개요
2. 내레이션
3. 기영이네 가족
3.8. 이기만[1]
3.10. 이지현
4. 기영이네 셋방
4.1. 똥퍼 아저씨(성시경)
4.2. 성근석&성삼례
5. 기영이네 친가
5.1. 이육만
5.2.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
5.3. 큰할아버지
6. 기영이네 외가
6.1. 춘식
6.3. 이상원
6.4. 당숙[2]
6.5. 춘심의 언니들


1. 개요[편집]


검정 고무신의 등장인물들을 정리해둔 문서.

2. 내레이션[편집]


1~3기 강구한[3], 4기 홍진욱.

3. 기영이네 가족[편집]



3.1. 이기영[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기영(검정 고무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이기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기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춘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춘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이말룡[편집]


파일:기영이아빠1.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말룡#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이오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오덕(검정 고무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이득촌/이또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득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언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언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이기만[4][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기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땡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땡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이지현[편집]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34402942953_b49585a0d2_o.png

사진 오른쪽이 지현이. 왼쪽은 할머니 춘심이다.

성우는 어머니 경주, 큰아버지 이기철과 동일한 오인실.

기영이와 경주의 무남독녀 외동딸이자 기철이와 오덕이의 조카.[5] 4기 26화에서 개그 콘서트봉숭아 학당(연변총각) 코너를 보고 할머니한테 연변이 환상과 모험의 나라라고 말하였다.

나이가 나이인지라 할머니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는다. 이야기를 마치고 고모인 오덕이가 아니라고 하자 고모는 모른다고 반박한다.

작중 연변총각(강성범이 연기)이 방영되는 점, 검정고무신의 시대적 배경이 1960년대 후반임을 감안할 때, 이지현이 나온 이 에피소드의 작중 시점은 2002년 ~ 2003년 때로 추정되니, 출생은 1994년~1995년생으로 추정된다. 2023년 기준으로는 현재 만28~29살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기영이네 셋방[편집]


셋방을 놓게 된 계기가 보릿고개 시련기와 약간 연관이 있는데[6], 원래는 기영이와 기철이가 같이 쓰던 방이었지만, 보릿고개의 여파로 세를 놓기 위해 두 형제의 방은 셋방이 되고 형제는 할아버지, 할머니와 같이 방을 쓰게 된다. 첫 세입자로 올려던 사람이 술집 여자여서 할머니의 강력한 반대로 안 들어왔고, 그 다음으로 똥퍼 아저씨가 셋방을 보러 왔고 여기서 "다른 곳은 애 딸린 홀아비라며 밥도 안 줬다"며 동정심을 사게 해서 그 후부터 기영이네 집에서 세입자로 들어오게 된다.


4.1. 똥퍼 아저씨(성시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똥퍼 아저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성근석&성삼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성근석&성삼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영이네 친가[편집]


대부분 1회성 출연이며 애니판 기준 출연 순서대로 서술했다.


5.1. 이육만[편집]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34423887083_735ec4625b_o.png

성우는 오세홍.[7]

기영이 아버지의 남동생이며, 기영 삼남매의 작은아버지. 이역만리 서독[8]에서 광부 근로자로 파견가서 그곳에서 번 월급들 중 1달 분으로 TV를 사서 기영이네에 보낸다. 마침 기영이가 위조 만화표[9]를 쓰다 만화방 주인에게 걸려 집안에 난리가 나는 바람에 기철이와 기영이가 크게 혼나던 직후였기에 매우 적절한 타이밍이었다.


5.2. 증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편집]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35172079906_18dd91b49e_o.png

증조할아버지: 멈춰라, 이 요망한 것!

검정고무신 1기 09화 조상님의 묘 중에서

할아버지와 큰할아버지의 아버지, 어머니이며 작중에서는 이미 고인. 복장과 시대상, 등장인물들의 연령 등에서 유추해 보면 대략 19세기 중반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0]. 사실상 동학 농민 운동세대이다(!). 기영이 아버지가 구미호에게 홀려 따라가자 춘심의 에 나타나 여우 고기가 먹고 싶다며 깨워 구미호를 쫓게 만들었고, 기영이의 꿈에서 기영이 가족이 이 분들의 묘를 이장하러 선산에 왔다가 구미호[11]에게 간을 빼먹힐 뻔한 것을 멈춰라, 이 요망한 것!!!! 라는 대사로 폭풍간지를 선보이며 등장했으며 동시에 늑대들[12]을 데려와 구미호를 말 그대로 뼈만 남겼다. 다음 날 가족들이 무덤에 찾아가 보니 늑대들이 없었고 그 때문에 여우들이 파헤쳐 무덤은 난장판이 되었으나, 아무튼 유골을 수습해서 이장은 마친 듯. 성우는 이종구, 김정애.

5.3. 큰할아버지[편집]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35172080096_aa7300fa3a_o.png

할아버지의 형이자 아버지(말룡)의 큰아버지. 대략 1890년 전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3]

기영, 기철 형제가 여름방학에 방문했을 때 천자문을 가르쳐 주었다.[14] 기영이는 빨리 잘 외우고 영특해서 금방 나가서 놀 수 있었지만, 기철이는 심각한 돌머리인지라 도통 못 외워서 자꾸 혼만 났다. 그래서 기철이가 한문 공부를 빨리 마치려고 하루 만에 천자문을 다 외자 나라의 인재라고 논어, 맹자 등을 가르치려고 하자 기겁한 기철이는 줄행랑을 쳤다.[15] 성우는 문관일.

기영이 당숙의 아버지인 듯.


6. 기영이네 외가[편집]


기영, 기철 형제가 겨울방학에 방문했다. 애니판에서는 충청북도 영동군에 살고 있으며[16][17], 가족 구성원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외삼촌 부부와 그 아들인 춘식. 나중에 서울로 돌아갈 때 외할머니가 암탉을 챙겨주었는데, 그 암탉 덕분에 기영, 기철 형제가 불량배에게 당할 위기에서 벗어난다. 외할아버지의 머리가 기영이와 판박이인 것으로 보아 기영이의 특이한 헤어(?)스타일은 아마도 이 분에게서 격세로 유전된 듯. 이후 생각쟁이에서도 연재가 되었다.

외할아버지, 외할머니는 원작 만화책에서 친할머니, 친할아버지처럼 손주 바보인 면이 많이 부각된다. 다만, 외할아버지는 손주들이 이웃 친구들과 도박을 했다는 걸 알고 격노하며 회초리로 때리는 등 불같은 모습도 보인다. 그리고 애니화된 에피소드[18]의 마무리 부분에서 기철이와 기영이가 밥을 더 달라 하는 부분에서 식충이들이라고 까기도 한다.[19]

성씨는 나오지 않지만 기영이의 엄마 이름이 심이고, 사촌형은 식이니 춘씨 집안일 가능성이 있다.


6.1. 춘식[편집]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35172080946_0ab1fcb2ea_o.png

기영, 기철 형제의 외사촌. 나이는 기영이보다 많고 기철이보다 어리며[20] 연날리기를 잘한다. 코믹스에서는 실눈으로 나오지만 애니판에서는 초롱초롱한 둥근눈으로 나온다.

원작 만화책에서는 외갓집 에피소드가 애니메이션보다 조금 더 많아 다양한 면모가 부각된다. 이웃집 과채밭에서 서리하거나 기철이와 기영이와 함께 이웃집 닭을 훔치거나 동네 아이들과 도박(...)을 한다던지, 곱하기를 못해서 기영이한테는 놀림을 받고 엄마[21]에게 농사나 지으라는 소리를 듣고 서러워하는 등 애니메이션보다 아이같은 모습이 많이 보인다.


6.2. 외삼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외삼촌(검정 고무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이상원[편집]


5.18 만화에서 나오는 외삼촌의 외아들. 이후 도청을 지키다가 살해당한 듯 하다. 이름을 잘 생각해 보면 어떤 사람이 생각날 수 있다.


6.4. 당숙[22][편집]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35046963262_8df2058ab7_o.png

성우는 이종구로 추정.

기영이 아버지의 사촌이자 기영이 할아버지의 조카. 당시 시대상 상당한 기업체를 운영하는 부자다. 할아버지와 할머니까지 혀를 찰 정도로 구두쇠이다. 거기다 치사하게 희망고문을 한다.[23] 기영이네 집에 찾아왔을 때 용돈으로 1원만 주려다[24] 기영이와 친구들, 그리고 기철이까지 재롱을 떨어서 벌벌 떨며 거금 10원씩, 도합 20원을 내놓고야 만다.

4기 6화에서도 재등장했는데, 설정이 당숙으로 바뀌었다. 다만, 기영이가 외당숙을 보고 누구냐고 물어본 것으로 보아 캐릭터 디자인만 재탕했을 뿐 설정상 위의 구두쇠 당숙과는 별개의 인물이거나 4기에서 흔하게 발생한 설정 오류 일수도 있다. 이쪽은 구두쇠인 위의 당숙과 다르게 기영이에게 아이스케키라도 사먹으라며 후하게 10원(현재 돈으로 약 7천원)이나 주었다.

여름방학 편에 나오는 큰할아버지의 아들인 듯 하다. 사촌동생, 작은 아버지, 그리고 본인의 아버지도 머리카락이 있는데 왜 이 사람만 다 벗겨진 건지 의문


6.5. 춘심의 언니들[편집]


춘심 위로 첫째와 둘째가 있으며, 원작에서만 등장한다. 기영 형제들한테는 이모들. 하지만 안타깝게도 둘째 또남은 회충약 과다복용으로 인해서 현재 고인이 되었다.


7. 주변 인물[편집]


검정 고무신/주변인물 문서 참고.


8. 단역 인물[편집]


검정 고무신/단역인물 문서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원작에서만 등장. 현재 실종된 상태.[2] 부모의 4촌을 뜻하는 말. 촌수로 5촌이다.[3] 당시 할아버지 역과 동시에 다수의 단역들도 맡았다.[4] 원작에서만 등장. 현재 실종된 상태.[5] 크림빵 에피소드에서 기영이랑 닮은 남자아이와 코믹스 검정고무신 2부에서는 경주와 닮은 여자 아이가 등장한다. 아마 지현이의 동생인 듯.[6] 셋방 놓는 에피소드가 아예 보릿고개 바로 다음 에피소드이자 3기 마지막 에피소드다.[7] 형과 중복이다.[8] 작중 시대만 하더라도 독일동독과 서독으로 나뉘어 있었다. 독일 통일은 약 21년 후의 일.[9] 만화책 한 권 빌릴 때마다 한 장씩 받으며, 열 장을 모으면 만화방에서 TV를 볼 수 있다. 근데 기철이가 기영이와 도승이와 성철이의 만화표들을 나중에 갚는다며 모조리 뺏고 tv를 보는데 쓴다. 그러다 우연히 만화방 주인이 만화표 만들때 쓰는 도장을 보고 만화표를 똑같이 집에서 만들었다. 즉 기영이는 기철이가 만들어준 위조 만화표를 쓰게 된 것이다.[10] 1894년생인 할아버지 위에 형이 있는 것으로 보아 최소 1890년경에 결혼을 했다는 소리가 된다. 조혼이 만연하던 시대임을 감안해도 1870년대 초반생 정도가 한계다.[11] 선산을 관리하는 산지기의 딸이 구미호였다고 나오는데... 물론 기영이의 꿈이었지만, 마지막에는 꼬리를 보이며 뒷산으로 사라지면서 진짜로 구미호라는 것이 확인이 된다.[12] 이름이 늑돌이, 늑순이다.[13] 한문 공부를 시킬 때 천자문을 내놓는 것만 보면 확실.[14] 여름방학 시작 전 손자들이 한자 신문을 너무 못 읽어서(...) 할아버지가 부탁한 것.[15] 사실은 본인의 실력이 아니라 큰할아버지의 정자관 위에 천자문을 적어서 붙여놓는 치사한 부정행위를 한 것이었다. 그나마 안 들켰으니까 망정이지 만일 들켰으면...[16] 원작에서는 전라남도 목포시로 나온다.[17] 여기서 옥의 티가 있는데, '외갓집 여행 하'편 시작할 때 배경으로 바다 같은 게 보인다. 일단은 '서울 오는 길' 편에서 영동역대전역이 나오는 걸로 봐서 아무래도 영동이 확실히 맞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알다시피 충청북도는 남한에서 유일하게 바다에 인접하지 않은 대표적인 내륙 지역이다.[18] 외갓집 여행(하). 연을 갖고 놀거나 기영이가 시골 소녀인 돌순과 노는 에피소드이다.[19] 물론 손자들이 귀여워서 그렇게 표현한 것이겠지만.[20] 12~13세 정도로 추정된다.[21] 기철이, 기영이한테는 외숙모[22] 부모의 4촌을 뜻하는 말. 촌수로 5촌이다.[23] 1000원짜리를 주고 100원짜리로 바꿔오라고 하고 갔다오니 다시 10원짜리로 바꾸라고 한다음에 1원짜리라고 바꿔오라고 한다. 그냥 한번에 시키지 솔직히 나중에 보면 거지 형제보다도 더 암걸릴 것 같다.[24] 현재 돈으로 계산하면 700원정도 주는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