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양시/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개요
1.1. 도의회
1.2. 시의회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개요[편집]


파일:광양시 CI.svg 전라남도 광양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광양시 전역 + 순천시 일부, 곡성군, 구례군 전역
도의원광양시1광양읍
광양시2봉강면, 옥룡면, 옥곡면, 진상면, 진월면, 다압면, 광영동
광양시3중마동(일부)[1]
광양시4중마동(일부)[2], 골약동, 금호동, 태인동

1.1. 도의회[편집]



1.2. 시의회[편집]


파일:광양시 CI.svg광양시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1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2석
재적
14석




2. 개요[편집]


광양시의 정치 성향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광주광역시·전라남도에서 그나마 가장 보수적인 지역. 보수 정당 지지율이 다른 시/군과 눈에 띄게 차이난다. 이러한 이유는 이곳이 도시 개발 전까지는 농어업 기반의 시골이었다가 1980년대 광양제철소가 세워지고 타 지역에서 이주해 온 외지인들의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즉 원래 이곳에 살던 토박이가 많지 않기 때문에 보수 정당 지지율이 비교적 높게 나올 수 있는 것이다.[3] 그러한 영향으로 도시는 민주당계 정당, 시골은 보수정당 선호 현상을 보이는 전국적인 경향과는 달리, 광양시는 도시는 보수정당, 시골이 민주당계 정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4] 특히 포스코 사원 주택단지가 있는 금호동의 경우 호남 지역 모든 읍면동 통틀어서 보수 정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곳이다.[5] 금호동은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27.93%,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28.15%로 호남 전체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반대로 TK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곳은 역시 포스코 사원 주택단지가 있는 포항시의 효곡동, 제철동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보수 정당 지지율이 높다는 것이지 아직까지 보수 계열의 후보가 이곳에서 당선된 사례는 없다. 오히려 이웃한 순천시, 곡성군 또는 전라북도 군산시, 남원시에서 보수 후보가 당선된 적은 있다. 광양시의 보수세가 강하다는 것도 어디까지나 광주광역시·전라남도 한정이지, 그들이 당선될 만큼 유의미한 표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당장 옆동네인 하동군으로만 넘어가도 보수와 진보의 비율이 정반대로 뒤집어진다.

광양시는 젊은 노동자가 많다 보니 진보 단체의 활동이 활발하지만, 창원시, 울산광역시와 다르게 유의미한 득표율을 올리지는 못한다. 전라남도 자체가 다른 지역보다 진보 정당의 득표율이 눈에 띄게 높은 편으로, 특히 민주노동당 - 통합진보당 - 민중당 - 진보당으로 이어지는 NL세력의 힘이 강하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때 진보당이 광양시에서 3.16%를 기록했는데, 이것도 전국 평균보다 3배 가량 높기는 하나 이보다 더 높은 시·군이 6곳이나 되었다.

국회의원 선거구가 자주 바뀌는 곳으로 유명하다. 광양시 자체는 단독으로 선거구를 구성할 만한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주변의 곡성군, 구례군이 너무 애매한 위치에 있어[6] 두 지역이 상황에 따라 여기저기 끌려다니기 때문이다. 직선제 이후인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선거구 변화를 살펴보면, 광양군(13대)[7] → 동광양시 광양군(14대) → 광양시(15대) → 광양시·구례군(16대, 17대) → 광양시(18대) → 광양시·구례군(19대) → 광양시·곡성군·구례군(20대) →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21대)까지... 9번의 선거 무려 7번이나 선거구 이름이 바뀌었다. 2회 연속 같은 이름이 유지된 건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가 유일하다. 다만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동광양시가 잠시 분리된 적이 있어, 실질적으로 13대부터 15대까지는 이름만 바뀌었을 뿐 같은 선거구이다. 실제 경계가 이리저리 바뀌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에 들어와서다. 가장 최근인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때도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이라는 기괴한 선거구가 설정되었다. 순천시 단독 분구가 추진되다가 돌연 순천시 해룡면이 기존 광양시·곡성군·구례군 선거구와 붙어버렸기 때문이다. 단독 선거구도 구성이 가능한 광양시, 뜬금없이 해룡면만 뚝 떼서 광양시에 붙여야 했던 순천시 모두 불만을 드러냈다.

보수 세력이 지리멸렬한 호남에서 그나마 지지세를 견인하던 광양시이었지만 이것마저 무너진 때가 있었으니, 바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태였다. 당시 여당이었던 새누리당은 국정 농단 사태로 지지 기반이 완전히 와해되어,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보수 진영으로 나온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4.26%로 군소 정당 수준의 득표율이었고,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4.74%)의 표를 합쳐도 10%가 안 됐다. 그야말로 보수 진영이 호남 전체에서 궤멸하고 말았음을 증명한 꼴이다. 반면에 진보 진영은 완전히 승기를 잡았다. 광양시는 전라남도에서 순천시 다음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인 66.15%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전국 읍·면·동 가운데 가장 높은 득표율을 배출해냈다. 제철소가 인접한 태인동에서 74.37%가 나오면서 전국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항상 호남 전체에서 무주군과 꼴찌를 다투던 것과 정반대로, 이번에는 순천시와 더불어 민주당에 대한 지지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바뀌었다. 호남 표를 갈라먹었어야 하는 안철수 후보는 20.9%에 그치면서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득표율을 올렸다.

이후에도 더불어민주당의 독주는 계속되어,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정현복 전 시장이 개인기로 무소속 재선에 성공한 걸 제외하면 더불어민주당이 후보를 내는 족족 깃발을 꼽았다. 다시 여야가 바뀐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게 80% 이상을 몰아주며 독주가 이어졌다. 그러나 2017년 이전과 마찬가지로 광주광역시·전라남도에서 이재명 득표율은 가장 낮았고, 윤석열 득표율이 가장 높았다. 특히 제철소가 있는 금호동에서 이재명 68.55%, 윤석열 28.14%로 호남 읍면동 중 윤석열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높은 기록을 또 한 번 남겼다. 양대 진영 간 구도가 탄핵 이전으로 회귀한 셈이다.

국회의원 선거구가 굉장히 게리맨더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양시는 순천시와 생활권을 같이하거나, 넓게 보면 하동군과 함께하거나, 바다 건너 여수시 묘도동과 함께하는 경우가 많다. 아무리 인구수에 비례한다지만 같은 선거구와 묶여 있는 구례군, 곡성군은 인접 구역 빼고는 왕래도 안하는 상황. 심지어 해당 지역간 교통도 굉장히 불편하다. 현재 옆 지역구인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천하람 후보가 해당권역 헌법소원을 한 상황이다.

시장 선거는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이성웅 당시 시장이 무소속으로 3선에 성공한 이래로, 2022년 정인화 전 국회의원의 시장 당선까지 무려 4연속(...)으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고 있다. 여순광으로 함께 묶이는 여수시순천시도 같은 기간 무소속 후보가 두세번씩 시장에 당선되긴 했지만,[8] 중간에 민주당 후보도 당선이 되긴 했다는 것[9]을 감안한다면 이와 달리 광양의 압도적인 무소속 후보 강세는 이례적이라고도 볼 수 있는 것. 이러한 현상의 대표적인 희생자가 김재무전라남도의회 의장인데, 김 전 의장은 2014년부터 계속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광양시장 후보로 출마하고 있으나, 2022년까지 내리 3연속으로 낙선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광양시 CI.svg 역대 광양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민주당무소속
김옥현이성웅
201420182022
무소속
정현복정인화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김옥현 47.19%

2위:
ta-hash-start=w-05f4a93f01ab04dd57da4376e47b4b0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김영일 32.16%
3위:
무소속

정채기 10.35%
4위:
무소속

박양표 10.28%
1998년1위:
ta-hash-start=w-099682086d358f6ee4b41c665484b678[[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김옥현 57.81%

2위:
ta-hash-start=w-fdae1b43d72411791ca6145b2a88d10a[[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현옥 42.18%
2002년1위:
ta-hash-start=w-bd4fca5e22cc738b38eefec088eec2a6[[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성웅 43.70%

2위:
무소속

김옥현 21.14%
3위:
무소속

이강사 19.47%
4위:
ta-hash-start=w-68b7007a76d2190b9caaadc01b20b157[[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현옥 15.67%
2006년1위:
ta-hash-start=w-3e11739fbf2f870de4ed022a57e6f255[[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이성웅 49.70%

2위:
ta-hash-start=w-d4493ea4e96a36cac56784cf549befd8[[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서종식 25.38%
3위:
무소속

박필순 13.62%
4위;
ta-hash-start=w-8905690b24c2e915b417ce5f6b16ac66[[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정태 11.19%
2010년1위:
무소속

이성웅 46.61%

2위:
ta-hash-start=w-ef88fef8e09264936d52c7caefc5cc1f[[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서종식 39.29%
3위:
ta-hash-start=w-3001ef257407d5a371a96dcd947c7d93[[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박형배 14.08%
2014년1위:
무소속

정현복 36.53%

2위:
ta-hash-start=w-6977ef734c71570520a63229a66bf63e[[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재무 30.54%
3위:
무소속

정인화 22.97%
2018년1위: 정현복 54.15%
2위: 김재무 41.02%
2022년1위: 정인화 54.59%
2위: 김재무 40.82%



3.1. 지방선거[편집]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양시 개표 결과
전라남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영록이정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7,884
(71.16%)
15,322
(22.77%)
+ 32,562
(△48.39)
54.58%
골약동66.88%27.22%△39.6651.71%
중마동70.29%22.91%△47.3845.74%
광영동71.33%23.75%△47.5851.22%
태인동80.22%14.60%△65.6261.80%
금호동60.56%34.93%△25.6353.53%
광양읍73,81%19.83%△53.9852.32%
봉강면70.43%22.37%△48.0660.21%
옥룡면72.11%21.89%△50.2263.23%
옥곡면74.10%20.44%△53.6655.02%
진상면77.68%17.17%△60.5164.93%
진월면74.36%20.01%△54.3562.99%
다압면70.74%23.09%△46.6563.01%
후보김영록이정현격차
거소·선상투표70.37%23.81%△46.56
관외사전투표70.59%23.78%△46.81

광양시장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김재무정인화(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7,670
(40.82%)
37,005
(54.59%)
- 9,335
(▼13.77)
54.58%
골약동33.95%62.11%▼28.1651.71%
중마동40.25%55.88%▼15.6345.74%
광영동46.52%49.47%▼2.9551.22%
태인동[10]77.33%19.48%△57.8561.80%
금호동30.73%64.23%▼33.5053.53%
광양읍38,72%56.05%▼17.3352.32%
봉강면36.82%59.13%▼22.3160.21%
옥룡면[11]28.58%68.66%▼40.0863.23%
옥곡면40.00%56.00%▼16.0055.02%
진상면47.43%47.30%△0.13[12]64.93%
진월면46.86%48.54%▼1.6862.99%
다압면53.64%40.61%△13.0363.01%
후보김재무정인화격차
거소·선상투표52.63%32.10%△20.53
관외사전투표45.76%48.99%▼3.23


3.2. 대선[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양시
광양시 일원
정당
ta-hash-start=w-cf448785aa1c13df776bcacc836b16e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a7daf4aadedc09d48eb9902ad787c90f[[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2,91874,467
득표율14.72%84.88%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12,866
투표 수88,097
무효표 수365
투표율78.05%

18대 대선 전남 광양시 개표 결과
정당
ta-hash-start=w-b0fae80dbb4cabab2a00827fd7389f2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918
(14.72%)
74,467
(84.88%)
-61,549
(▼70.16)
78.05%
광양읍10.05%89.71%▼79.6677.42
봉강면11.19%87.59%▼76.4078.03
옥룡면11.61%87.55%▼75.9477.22
옥곡면9.60%89.35%79.7577.65
진상면10.62%88.05%▼77.4377.32
진월면13.51%85.06%▼71.5574.94
다압면15.31%83.89%▼68.6876.85
골약동10.84%88.36%▼77.5277.97
중마동15.17%84.66%▼69.4977.47
광영동18.26%81.35%▼63.0972.62
태인동11.98%87.19%▼75.2175.84
금호동27.93%71.71%▼43.7884.20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28.02%71.12%▼43.10
국내부재자투표18.47%80.91%62.44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광양시
광양시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63,5444,10020,0803,1454,553
득표율66.15%4.26%20.90%3.27%4.74%
순위1위4위2위5위3위
선거인 수120,767
투표 수96,384
무효표 수335
투표율79.81%

19대 대선 전남 광양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3,544
(66.15%)
4,100
(4.26%)
20,080
(20.90%)
3,145
(3.27%)
4,553
(4.74%)
+43,464
(△45.25)
79.81%
광양읍68.37%2.87%21.83%2.19%4.07%△46.5076.95
봉강면60.86%4.12%28.45%2.36%2.78%△32.4174.18
옥룡면62.95%3.88%28.42%1.31%2.13%△34.5375.74
옥곡면67.81%2.51%23.86%2.21%2.31%△43.9578.0
진상면71.74%3.49%20.82%1.03%2.05%△50.9277.17
진월면64.37%4.91%25.64%1.98%2.19%△38.7372.84
다압면66.20%8.01%20.11%2.05%2.79%△46.0976.60
골약동69.66%4.57%21.11%1.98%1.91%△48.5578.36
중마동67.44%4.27%19.17%3.49%5.13%△48.2777.69
광영동63.83%5.70%23.22%2.35%4.17%△40.6172.70
태인동74.37%3.55%16.94%1.74%2.82%57.4376.87
금호동58.18%8.16%22.25%5.46%5.54%△35.9385.85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52.32%5.63%31.46%3.31%3.31%△20.86
관외사전투표63.83%4.21%18.20%5.76%7.33%45.63
재외투표63.31%2.33%18.35%3.36%12.14%△44.96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남 광양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81,441
(81.35%)
15,843
(15.82%)
65,598
(▲65.53)
광양읍
86.01%11.15%▲74.86
봉강면
86.79%10.21%▲76.58
옥룡면
87.26%10.30%▲76.96
옥곡면
84.87%12.28%▲72.59
진상면
87.77%8.27%▲79.50
진월면
85.12%10.89%▲74.23
다압면
80.66%14.93%▲65.73
골약동
80.73%16.71%▲64.02
중마동
80.63%15.84%▲64.79
광영동
80.60%15.88%▲64.72
태인동
86.95%11.25%▲75.70
금호동
68.21%28.15%▲40.40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64.29%18.00%▲46.29
관외사전투표
71.85%23.01%▲58.84
국외부재자투표
69.04%17.57%▲51.47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13][A][14]83.84%13.59%▲70.2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광양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서동용정인화(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3,643
(60.59%)
25,164
(28.42%)
+ 28,479
(△32.17)
89,635
(68.19%)
골약동[15]68.07%26.23%△41.8571.94%
중마동60.50%27.95%△32.5562.04%
광영동57.02%31.00%△26.0360.34%
태인동69.23%23.37%△45.8570.33%
금호동57.38%26.69%△30.7075.14%
광양읍61.11%30.54%△30.5764.09%
봉강면50.50%42.92%△7.5869.76%
옥룡면[16]44.73%47.38%▼2.6471.67%
옥곡면50.24%42.76%△7.4969.21%
진상면59.20%33.78%△25.4168.56%
진월면52.79%39.14%△13.6667.52%
다압면56.27%31.66%△24.6169.26%
후보서동용정인화격차
거소·선상투표57.41%22.25%△35.16
관외사전투표68.44%16.94%△51.50
재외투표75.00%10.52%△64.47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951
(6.86%)
51,831
(59.82%)
8,572
(9.89%)
4,077
(4.70%)
6,580
(7.59%)
+ 43,259
(△49.93)
89,639
(68.17%)
골약동5.57%67.17%7.64%3.58%6.85%△59.5271.94%
중마동7.25%58.65%10.61%4.89%7.95%△48.0362.04%
광영동8.38%60.39%9.90%4.05%6.02%△50.4860.32%
태인동3.49%70.37%6.60%3.42%7.15%△63.2270.33%
금호동15.20%49.53%11.07%8.03%7.69%△34.3375.13%
광양읍4.28%64.60%9.30%3.98%7.46%△55.3064.09%
봉강면5.57%61.22%8.23%4.52%7.51%△52.9969.76%
옥룡면4.87%63.03%9.43%3.51%5.71%△53.5971.67%
옥곡면4.91%64.52%8.96%2.71%5.67%△55.5669.21%
진상면6.39%65.33%6.57%2.57%5.79%△58.7668.52%
진월면5.84%62.95%7.26%2.76%5.90%△55.6967.52%
다압면8.68%61.21%7.97%2.82%3.43%△52.5369.26%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8.72%44.76%13.08%7.55%7.84%△31.69
관외사전투표6.45%54.90%10.65%5.33%9.27%△44.26
재외투표15.47%44.04%4.76%13.09%13.09%△28.57

[1] 법정동 중동에 해당되는 지역.[2] 법정동 마동에 해당되는 지역.[3] 순천, 여수시도 산업 단지 개발로 외지인이 많이 이주해왔지만, 이 둘은 산업화 전부터 생긴 오랜 도시이기 때문에 토박이 비중이 높다.[4]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기준으로 박근혜, 윤석열 후보 모두 도시 지역인 중마동, 광영동, 금호동에서는 선거비 보전이 가능한 15% 이상이 나온 반면, 정작 봉강면, 옥룡면, 진상면 같은 농촌에서는 10% 내외에 그쳤다.[5] 다만 투표소 단위까지 내려가면, 호남에서 가장 보수 정당 지지세가 강한 곳은 소록도다. 이곳은 놀랍게도 제13대 대통령 선거부터 제20대 대통령 선거까지 한 번도 민주당계 정당이 승리하지 못한 불모지이자 보수 정당의 철옹성이다. 여기도 외지(특히 경상도)에서 온 환자가 많고 육영수, 박근혜 등이 이곳에 자주 왕래했기 때문이다.[6] 둘을 합쳐도 단독 선거구 구성을 못할 만큼 인구가 적은데다, 전라북도, 경상남도와 인접하여 마땅히 붙일 만한 선거구가 없다. 두 지역의 문화권은 전라북도 남원시인데, 다른 도라서 지역구를 붙일 수가 없다.[7] 임기 도중인 1989년에 동광양시로 승격되어 동광양시 광양군이 됐다.[8] 여수 - 2010년 김충석, 2018년 권오봉, 순천 - 2010년, 2022년 노관규, 2012년 ~ 2014년 조충훈.[9] 여수 - 2014년 주철현, 2022년 정기명, 순천 - 2018년 허석.[10] 김재무 당시 후보의 고향[11] 정인화 당시 후보의 고향[12]2표 차이였다.[13] 순천시 해룡면, 광양시 일원, 곡성군 일원, 구례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14] 지역구 국회의원 :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초선).[15] 서동용 후보의 고향.[16] 정인화 후보의 고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