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주 FC/2023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광주 FC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광주 FC/2023년/K리그1
,
,
,
,
,
,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 역대 시즌
2022 시즌2023 시즌2024 시즌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 2023 시즌
대표이사노동일
단장
감독이정효
수석코치이정규
주장안영규
부주장이순민, 산드로[1]
결과
파일:K리그1 로고.svg
3위
38전 16승 11무 11패 47득점 35실점
2024-25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플레이오프 진출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8강 탈락
(3전 2승 0무 1패 3득점 5실점)
합산 성적[2]41전 18승 11무 12패 50득점 40실점
최다 득점[3]아사니 (7골)
최다 도움[4]두현석 (7도움)
관중 기록
(리그 한정)
구장광주축구전용구장
경기 수14경기
전체 관중 수56,690명
평균 관중 수4,049명
총 관중 순위12위

1. 시즌 전 전망
2. 유니폼 및 스폰서
3. 코칭 스태프 명단
4. 선수단
4.1. 군 복무 및 임대 선수
5. 이적 시장
5.1. 겨울 이적 시장
5.1.1. 영입
5.1.2. 방출
5.2. 여름 이적 시장
5.2.1. 영입
5.2.2. 방출
6. 프리시즌
6.1. 동계 전지 훈련
7. 정규 시즌
7.1.1. 정규 리그
7.1.2. 스플릿 라운드
7.2.1. 3라운드 VS 부산 아이파크 (홈, 2:1 승)
7.2.2. 16강 VS 서울 이랜드 FC (원정, 0:1 승)
7.2.3. 8강 VS 전북 현대 모터스 (원정, 4:0 패)
8. 총평



1. 시즌 전 전망[편집]


수많은 악재를 겪고 강등된 K리그2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1년 만에 K리그1으로 돌아왔다. 수많은 기록을 작성하며 왜 2부 리그의 최강자인지 증명한 광주는 다시 1부 리그의 도전자가 되어 얼마나 좋은 결과를 얻어내는 지가 중요해졌다. 2부에서 리더십과 능력을 증명한 이정효 감독이 1부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줄지 주목된다.


2. 유니폼 및 스폰서[편집]


2023 시즌 유니폼
필드골키퍼
파일:광주홈_2023.jpg
파일:광주어웨이_2023.jpg
파일:광주골홈_2023.jpg
파일:광주골어웨이_2023.jpg
원정원정
2023 시즌 스폰서
메인 스폰서용품 스폰서
파일:광주은행 로고.svg파일:켈미 로고.svg




3. 코칭 스태프 명단[편집]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광주 FC 코칭스태프 명단
[ 펼치기 · 접기 ]
광주 FC 코칭 스태프 명단
직책한글 성명로마자 성명국적생년월일
감독이정효Lee Jung Hy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5년 7월 23일
수석 코치이정규Lee Jeong Kyu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2년 7월 10일
필드 코치조용태Cho Yong Tae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3월 31일
골키퍼 코치신정환Shin Jung Hwa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6년 8월 18일
피지컬 코치김경도Kim Kyeong Do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스카우트정철호Jeong Cheol H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8년 12월 1일
트레이너이규성lee kyusu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0년 6월 8일
트레이너김민식Kim minsi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2월 18일
주치의이준영Lee Jun You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0년 7월 15일
통역나영훈Na Yeong H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1월 16일
주무조웅비Cho Woong Bee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3월 28일
전력분석관김진교Kim jin ky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2년 11월 15일


4. 선수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광주 FC 2024 시즌 스쿼드
파일:GwangjuFC_No1(2023).png
파일:GwangjuFC_No3(2023).png
파일:GwangjuFC_No4(2023).png
파일:GwangjuFC_No5(2023).png
파일:GwangjuFC_No6(2023).png
13456 (C)
김경민
KIM Kyeong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1.11.01
189cm, 81kg
이민기
LEE Ming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3.05.19
175cm, 71kg
김승우
KIM Seung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8.03.25
184cm, 70kg
티모
TIMO Letschert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3.05.25
188cm, 85kg
안영규
AHN Youngk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89.12.04
185cm, 79kg
파일:GwangjuFC_No7(2023).png
파일:GwangjuFC_No8(2023).png
파일:GwangjuFC_No9(2023).png
파일:GwangjuFC_No10(2023).png
파일:GwangjuFC_No11(2023).png
7891011
엄지성
EOM Jis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2.05.09
177cm, 69kg
이으뜸
LEE Euddeu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89.09.02
177cm, 73kg
허율
HEO Yoo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1.04.12
193cm, 87kg
김한길
KIM Hangi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5.06.21
177cm, 67kg
아사니
Jasir ASANI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 FW
1997.09.20.
176cm, 72kg
파일:GwangjuFC_No13(2023).png
파일:GwangjuFC_No14(2023).png
파일:GwangjuFC_No15(2023).png
파일:GwangjuFC_No16(2023).png
파일:GwangjuFC_No17(2023).png
1314151617
두현석
DOO Hyeons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5.12.21
169cm, 65kg
정호연
JEONG Hoy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0.09.28
180cm, 73kg
김경재
KIM Gyeong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3.07.23
185cm, 77kg
이희균
LEE Heeg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8.04.29
168cm, 66kg
신창무
SIN Changm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2.09.17
170cm, 67kg
파일:GwangjuFC_No18(2023).png
파일:GwangjuFC_No19(2023).png
파일:GwangjuFC_No20(2023).png
파일:GwangjuFC_No21(2023).png
파일:GwangjuFC_No22(2023).png
1819202122
이건희
LEE Geonh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8.02.17
187cm, 79kg
하승운
HA Seungw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8.05.04
180cm, 80kg
최준혁
CHOI Junhyu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4.09.05
187cm, 88kg
이준
LEE J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7.07.14
188cm, 78kg
이상기
LEE Sangg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6.05.17
179cm, 78kg
파일:GwangjuFC_No23(2023).png
파일:GwangjuFC_No24(2023).png
파일:GwangjuFC_No27(2023).png
파일:GwangjuFC_No28(2023).png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2324272829
정지훈
JUNG Ji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4.04.09
175cm, 62kg
이강현
LEE Kang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8.07.31
181cm, 75kg
김동국
KIM Donggo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3.12.10
178cm, 67kg
아론
AARON Calver
파일:호주 국기.svg | DF
1996.01.12
186cm, 76kg
여봉훈
YEO Bong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4.03.12
178cm, 70kg
파일:GwangjuFC_No31(2023).png
파일:GwangjuFC_No32(2023).png
파일:GwangjuFC_No33(2023).png
파일:GwangjuFC_No41(2023).png
파일:GwangjuFC_No44(2023).png
3132334144 (VC)
노희동
ROH Heed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2.06.03
192cm, 88kg
주영재
JOO Young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2.07.12
173cm, 60kg
박한빈
PARK Hanb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7.09.21
183cm, 80kg
김태준
KIM Taej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1.07.08
185cm, 80kg
이순민
LEE Soon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4.05.22
177cm, 70kg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파일:GwangjuFC_No75(2023).png
파일:GwangjuFC_No99(2023).png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517599
신송훈
SHIN Song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2.11.07
180cm, 80kg
오후성
OH Huse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9.08.25
173cm, 64kg
베카
BEKA Mikeltadze
파일:조지아 국기.svg | FW
1997.11.26
185cm, 78kg
구단 정보
대표이사: 노동일 / 감독: 이정효 / 홈구장: 광주축구전용구장
출처: 광주 FC 웹 사이트





4.1. 군 복무 및 임대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ffffff><rowbgcolor=#ffd24f><tablewidth=100%> 구단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신체 조건 || 비고 ||
|| 김천 상무 FC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 신송훈 || Shin Song-hoon || 2002.11.07 || 180cm, 80kg || 2023년 12월 12일 전역 ||
|| 김포 FC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 조성권 || Jo Sung-gwon || 2001.02.24 || 182cm, 75kg || 2023년 12월 만료 ||



5. 이적 시장[편집]



5.1. 겨울 이적 시장[편집]



5.1.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신창무MF강원 FC완전이적
아사니FW키스바르다 FC완전이적
토마스FW샤페코엔시완전이적
티모DF륑뷔 BK완전이적
조성권DF울산대학교우선지명
정지훈MF유성생명과학고자유선발
주영재FWFC 목포임대복귀
이건희FW서울 이랜드 FC완전이적
김경재DF제주 유나이티드 FC완전이적
김동국DF제주 유나이티드 FC완전이적
김태준GK청주대학교자유선발
김한길MF전남 드래곤즈완전이적
오후성MF대구 FC완전이적


5.1.2. 방출[편집]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후 구단방식
헤이스FW제주 유나이티드 FC계약해지
마이키FW클루비 지 헤가타스 브라지우계약해지
정종훈FW춘천시민축구단계약해지
김현훈DF수원 FC자유계약
문상윤MF충북 청주 FC자유계약
박준강DF천안 시티 FC자유계약
이찬동MF촌부리 FC자유계약
이한샘DF충북 청주 FC자유계약
장동찬FW계약해지
김종우MF포항 스틸러스완전이적


5.2. 여름 이적 시장[편집]



5.2.1. 영입[편집]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전 구단방식
베카FW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 FC완전이적
여봉훈MFFC 충주소집해제

5.2.2. 방출[편집]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후 구단방식
산드로FW마니사 FK계약해지
김재봉DF미정계약해지

6. 프리시즌[편집]



6.1. 동계 전지 훈련[편집]


광주 FC 2023 시즌 동계 전지훈련
차수지역전지훈련 개시전지훈련 종료
1차광주광역시2022년 12월 19일2022년 12월 31일
2차태국 치앙라이2023년 1월 3일2023년 1월 31일
3차제주 서귀포2023년 2월 3일2023년 2월 18일


7. 정규 시즌[편집]



7.1. K리그1[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리그1 시즌에 대한 내용은 광주 FC/2023년/K리그1 문서
광주 FC/2023년/K리그1번 문단을
광주 FC/2023년/K리그1#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 정규 리그[편집]


파일:K리그1 40주년 엠블럼.svg하나원큐 K리그1 2023
정규리그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12월 25일원정수원 삼성 블루윙즈 0 - 1아사니(89')
23월 5일FC 서울 0 - 2-
33월 12일원정전북 현대 모터스 2 - 0-
43월 18일인천 유나이티드 FC 5 - 0아사니(8', 68', 71'), 엄지성(19'), 이희균(49')
54월 1일수원 FC 2 - 0이민기(5'), 박한빈(36')
64월 8일원정포항 스틸러스 2 - 0-
74월 16일원정대구 FC 4 - 3김한길(18'), 산드로(43'), 허율(59'), 하승운(86')
84월 23일강원 FC 0 - 0-
94월 26일제주 유나이티드 FC 0 - 1-
104월 30일원정울산 현대 2 - 1이강현(81')
115월 6일대전 하나 시티즌 0 - 0-
125월 9일원정FC 서울 3 - 1허율(50')
135월 13일대구 FC 0 - 2-
145월 20일원정인천 유나이티드 FC 1 - 1안영규(8')
155월 28일원정수원 FC 0 - 2티모(75'), 아사니(83')
166월 3일포항 스틸러스 4 - 2오베르단(25', OG), 두현석(55'), 엄지성(64'), 안영규(81')
176월 7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2 - 1토마스(68', 90')
186월 10일원정대전 하나 시티즌 1 - 1정호연(40')
196월 24일전북 현대 모터스 2 - 0이순민(19'), 이건희(90')
207월 2일울산 현대 0 - 1-
217월 7일원정강원 FC 1 - 1티모(90+1')
227월 11일원정제주 유나이티드 FC 0 - 0-
237월 15일대구 FC 1 - 1주영재(16')
247월 22일원정수원 FC 0 - 1두현석(43')
258월 4일대전 하나 시티즌 3 - 0김한길(7'), 정호연(12'), 이건희(62')
268월 13일원정포항 스틸러스 1 - 1티모(68')
278월 18일원정인천 유나이티드 FC 2 - 2아사니(79'), 이건희(90+3')
288월 27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4 - 0이희균(18'), 아사니(37'), 엄지성(46', 51')
299월 3일원정울산 현대 0 - 2이건희(17'), 베카(54')
309월 17일원정FC 서울 0 - 1허율(4')
319월 24일전북 현대 모터스 0 - 1-
3210월 1일원정제주 유나이티드 FC 1 - 2엄지성(64'), 하승운(90+4')
3310월 8일강원 FC 1 - 0김한길(49')

7.1.2. 스플릿 라운드[편집]


파일:K리그1 40주년 엠블럼.svg하나원큐 K리그1 2023
파이널 라운드 A
||

7.2. 대한축구협회 FA컵[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2023 하나원큐 FA CUP
||
라운드날짜홈/원정상대 팀점수득점자
3라운드4월 12일부산 아이파크 2 - 1박한빈(14'), 이건희(89')
16강5월 24일원정서울 이랜드 FC 0 - 1허율(90+1')
8강6월 28일원정전북 현대 모터스 4 - 0-

7.2.1. 3라운드 VS 부산 아이파크 (홈, 2:1 승)[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3 하나원큐 FA컵 3라운드
2023년 4월 12일 (수요일) 19:00
광주축구전용구장 (광주)
주심: 최규현
관중: 610명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2 : 1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 블루.svg
광주 FC부산 아이파크
14' 박한빈
89' 이건희 (A. 허율)
파일:득점 아이콘.svg87' 프랭클린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K리그1으로 승격하여 올해는 3라운드부터 시작하며, 첫 상대는 FC 안양을 4:1로 꺾고 올라온 부산 아이파크로 확정됐다.

7.2.2. 16강 VS 서울 이랜드 FC (원정, 0:1 승)[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3 하나원큐 FA컵 16강
2023년 5월 24일 수요일 19:00
목동종합운동장 (서울)
주심 : 채상협
관중 : 788명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0 : 1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서울 이랜드광주 FC
-파일:득점 아이콘.svg90+1' 허율 (A. 박한빈)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경기 막판에 교체 투입된 허율의 극장골로 6년만에 다시 8강 무대를 밟게 되었다.


7.2.3. 8강 VS 전북 현대 모터스 (원정, 4:0 패)[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3 하나원큐 FA컵 8강
2023년 6월 28일 수요일 19:00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
주심 : 미정
관중 : -명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4 : 0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광주 FC
56' 송민규
62' (PK) 조규성
66' 아마노 준 (A. 송민규)
88' 조규성 (A. 이동준)
파일:득점 아이콘.svg-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공교롭게도 이 경기 4일 전 K리그1 에서 맞붙어 승리하였다. 비록 객관적인 전력은 열세이지만 그 기세를 살려서 승리를 가져올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 다만 이정효감독은 19R 리그 경기 인터뷰에서 주말에 있을 리그전에 대비해 FA컵에서는 로테이션을 돌릴것을 예고하였다.

8. 총평[편집]


시즌 시작 전, 강등권 클럽이 어느 구단이 될것인가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과 팬들의 예상으로, 제일 먼저 손 꼽혔던 구단이다. 일단 2부리그에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하고 올라오긴 했으나, 승격 동기인 대전에 비해 구단의 투자가 현저히 적고, 무엇보다 1부에만 올라오면 죽을 쑤는 광주 FC의 이미지도 한 몫 했을 것이다. 또한 이정효 감독의 전략 및 전술이 2부에서는 통할지 몰라도, 강팀들이 즐비한 1부에서는 잘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하지만 시즌이 시작된 후 광주의 모습은 기존 광주가 K리그 1부 무대에서 보여주던 약팀의 모습과는 완전히 달랐다. 이정효 감독 특유의 높은 라인, 빠른 역습, 쉬지않는 압박과 끊임 없는 스위칭 포지션 전술은 1부 팀들에게 정면으로 도전하기에 충분했고, 오히려 압도하기까지 하는 놀라운 모습을 연달아 보여주었다. K리그에서는 이례적인 선진전술을 구사해내는 감독과 선수들에게 국내 축구팬들은 열광했으며, 시즌 초, 중반이나 중, 후반 잠깐 슬럼프에 빠진 것을 제외하면 도저히 승격팀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시즌을 보냈다.

이정효 감독의 돌풍은 광주에게 있어서도 여러가지의 긍정적인 영향들을 낳았다. 광주는 야구의 압도적인 인기에 비해 축구는 불모지 취급받는 도시였으며, 광주가 승격을 세 번이나 해낼 정도로 하위권 구단 중에서는 꽤나 저력을 갖고 있는 구단임에도, 언제나 광주월드컵경기장은 텅텅 비어있었다. 이 현실은 광주축구전용구장으로 홈 구장을 옮겼을 때 또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구단의 호성적과 이정효 감독의 캐릭터성이 더해져서 이제 광주는 나름의 관중 동원이 가능해진 구단이 되었다.[5] 어째서 프로구단의 호성적이 많은 관중 동원으로 이어지는지 가장 직관적으로 보여준 구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모든 게 2023 시즌 구단의 호성적을 위해 달렸던 감독과 코칭스태프, 그리고 선수들의 노력의 결실이였다.

2023 시즌이 끝난 지금, 이정효 감독의 전술능력에 의문부호를 갖는 국내 축구팬은 사실상 거의 없다고 봐야 하며, 광주 팬들은 당연히 지금까지와의 구단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준 코칭 스태프와 선수들에게 열광하고 있다. 광주의 1부 무대에서의 각종 기록들을 모조리 갈아치웠으며, 내로라하는 명문구단 및 강팀들을 누르며 3위로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플레이오프 무대에 당당히 진출해냈다. 시즌 전의 예상과는 전혀 다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를 만들어낸 것이다.

아챔에 진출했고, 주요 핵심 선수들을 잘 지켜낸 후, 프런트와 강기정 시장이 약속했던 것처럼 시설 개선, 연봉체계 조정, 홍보 및 마케팅 전략 수정,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이정효 감독과의 장기체제 구축까지 달성해낸다면[6], 지금까지의 약체 이미지에 갇혀있던 광주에서 완벽하게 새로운 구단으로 탈바꿈해내는 것도 더 이상 광주팬들의 한여름 밤의 꿈은 아닐 것이다.

끝으로 열악한 구단 환경과 몸값이 높은 선수, 개인기량이 월등하게 특출난 선수가 없어도 우수한 감독과 성실한 선수들이 있으면 어디까지 올라갈수 있는지 잘 보여준 시즌이라고 할 수 있다.



[1] 2023년 05월 19일 무면허 운전으로 인한 계약해지[2] 합산 성적에 프리 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3] 다만 구단 내 최다 득점에 프리 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4] 다만 구단 내 최다 도움에 프리 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5] 추가로 본래 야구의 인기가 절대적이던 광주를 연고지로 삼은 KIA 타이거즈의 감독 김종국이 거듭된 삽질을 연이어 저지르면서 "김종국의 야구를 볼 바에 이정효의 축구를 보겠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야구팀에 대한 여론이 험악해져서 광주FC가 어느 정도의 반사이익을 얻은 것도 없잖아 있었다.[6] 광주fc는 이정효 감독을 필두로 장기적인 개혁에 들어간다고 프런트가 오피셜로 발표했다. 즉, 이말은 이정효 감독과 최고대우의 장기계약을 맺고,세부적인 모든 시스템을 완전히 뒤바꾼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정효 감독은 본인에게 기회를 준 광주 구단에 애착이 매우 강하며,광주fc를 개혁해내는것에 대해 강하게 의욕을 갖고 있는 상태이다. 실제로 2023년 12월 13일, 이정효 감독과 3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이정효 감독의 개혁가적 기질이 얼마나 강한지 느껴지는 부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