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궈치판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감독주샤오룽
Loong
코치뤄빈
Rashomon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차우슈탁
YSKM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웬웨이
We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중국 국기.svg 궈치판
Tianzhen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중국 국기.svg 위안청웨이
Cryi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안산예
Ahn
파일:중국 국기.svg 뤄스하오
xiaoyueji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crwn.png 파일:중국 국기.svg 쟝루이
Wink
LPL 참가팀 로스터




파일:IG_Tianzhen_2023_Split_2.png
Invictus Gaming
Tianzhen
궈치판 (郭棋凡[1] | Guo Qi-Fan)
출생2004년 9월 13일 (19세)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

ID이보한병 #
포지션정글
소속Invictus Gaming
(2020.12.17 ~ 2025.11.18예정)
[2]

1. 개요
2. 선수 경력



1. 개요[편집]


중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PLInvictus Gaming 소속 정글러.


2. 선수 경력[편집]


IG 유스 출신 2004년생 정글러. 2023년 스프링 IGY의 2부리그 호성적을 이끌고 기드온 대신 서머 시즌 1군에 콜업되었으나, 시즌 초중반 내내 팀의 구멍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이사항으로는 렝가 장인 출신으로, 프로 데뷔 이후로도 종종 저격밴을 당할 정도로 숙련도가 있다. 어지간히 널리 퍼진 사실인지 23 서머 시즌 들어 드문드문 밴하는 팀이 생기더니, 5~6주차에 이르러서는 강팀, 약팀 관계없이 IG를 상대한 모든 팀이 처음 밴 페이즈에서 렝가 밴을 시전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그나마도 BLG가 딱 1번 2픽 밴을 한 걸 빼면 나머지는 죄다 1픽 렝가 밴을 박고 시작했다(...)

물론 23 서머 기준으로는 렝가를 딱히 초월적으로 잘해서가 아니라 렝가를 뺀 나머지의 숙련도가 처참해서 저격당하는 것에 더 가까웠는데, 시즌 후반부에 들어 티안젠의 폼이 오르고 다른 챔피언들도 장착해 오면서 7주차에서는 웨이보와 UP은 몇몇 세트에서 렝가 밴을 하지 않기도 했다. 웨이보전에서는 렝가가 픽도 되지 않았으니 딱히 상관이 없었지만, UP은 티안젠의 렝가를 밴하지 않은 죄값을 톡톡히 치러야 했다.

아무튼 그렇게 시즌이 거의 다 끝나갈 때까지 구멍 신세였는데, 후반부에 들어오며 갑자기 각성이라도 한 건지 징동전과 웨이보전에서는 연달아 좋은 모습을 보이며 팀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 UP전에서도 POG 하나를 챙기며 팀이 유종의 미를 장식하는 데 나름 기여했다. 이런 활약을 인정받아서인지 정규시즌 마지막 주차에는 이 주의 신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4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02:23:14에 나무위키 궈치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식 독음으로는 곽기범.[2] 2군 시절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