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덤프버전 :






개봉까지

D95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2024)
機動戦士ガンダム SEED FREEDOM
Mobile Suit GUNDAM SEED FREEDOM


장르
리얼로봇, 거대로봇, SF, 로맨스
감독
후쿠다 미츠오
각본
모로사와 치아키
고토 리우(後藤リウ)[1]
후쿠다 미츠오
원작
야타테 하지메
토미노 요시유키
기획
선라이즈
제작
캐릭터 디자인
히라이 히사시
메카닉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야마네 키미토시(山根公利)
미야타케 카즈타카(宮武一貴)
아쿠츠 준이치
신타니 마나부(新谷 学)
Zenseava(禅芝)
이오 타쿠야(射尾卓弥)
타이가 히로유키
메카닉 애니메이션 디렉터
시게타 사토시
색채 설계
나가오 아케미(長尾朱美)
미술 감독
이케다 시게미(池田繁美)
마루야마 유키코(丸山由紀子)
CG 디렉터
사토 미츠히로(佐藤光裕)
쿠시다 켄스케(櫛田健介)
후지에 토모히로(藤江智洋)
모니터 워크스
타무라 아즈사(田村あず紗)
카게야마 지로(影山慈郎)
촬영 감독
쿠즈야마 타케시(葛山剛士)
토요오카 시게키(豊岡茂紀)
편집
노지리 유키코(野尻由紀子)
음향 감독
후지노 사다요시(藤野貞義)
음악
사하시 토시히코
주제곡
니시카와 타카노리 - FREEDOM
제작사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
수입사
파일: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 쇼치쿠ODS사업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1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년 월 일
화면비
○○
상영 시간
○○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2]
상영 등급
미정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
3. 포스터
4. 티저 PV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7. 등장기체
7.1. 지구 연합군
7.2. 자프트
7.3. 오브
7.4. 컴퍼스
7.5. 파운데이션
8. 설정
9. 줄거리
10. 사운드트랙
11. 평가
12. 흥행
13. 기타
14. 관련 문서
1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決められた運命か、あらがう自由か—
"결정지어진 운명인가, 발버둥치는 자유인가-"
캐치프레이즈
[1] 시드 시리즈의 소설판을 맡았던 작가이다.[2]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의 극장판 기획.

감독 후쿠다 미츠오. 각본 원안 모로사와 치아키. 캐릭터 디자인 히라이 히사시. 메카닉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극장 개봉 예정일은 2024년 1월 26일이다.

2006년 5월에 제작이 결정되었고, 그 때는 2007년 여름 완성 예정이었다. 하지만 정작 그 뒤로는 포스터로 추정되는 그림 한 장[3]을 제외하곤 아무런 정보도 공개되지 않았다. 제작이 지연된 까닭으로 "모종의 사정으로 제작이 동결 혹은 취소되었다", "모로사와가 투병 생활 중이라서 오래 지연된 것이다"라는 이야기만 떠돌던 와중 2016년 각본가 모로사와 치아키가 사망하면서 극장판 건담 시드는 완전히 미궁 속으로 빠졌었다.

기동전사 건담 00의 TV판이 종결된 2009년 4월부터 12월 사이가 공개의 적기로 손꼽혔지만, 결국 기동전사 건담 00 A wakening of the Trailblazer기동전사 건담 UC OVA만이 공개되었을 뿐, SEED 소식은 버서스 아스트레이 정도에 불과했다.

후쿠다 미츠오 감독은 칼럼에서 오오카와라 쿠니오에게 새로운 프리덤 건담의 디자인을 의뢰하여 제출하였으나 "변형 기믹이 유니콘 건담과 닮았다"는 이유로 제작사 측에게 거절되었다는 등, SEED 관련 추가 기획이 진행 중이라는 등 본 작품에 대한 실마리를 직, 간접적으로 흘린 바가 있었다.

다른 스태프는 몰라도 오오카와라 쿠니오는 다른 건담 작품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SEED 극장판에 대해선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나오면 반드시 참여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는 점은 세월이 흘러도 변함이 없었다.

http://www.xg-seed.net/
http://seed-mori.cocolog-nifty.com

오랫동안 소식이 들려오지 않아 밀리애니마냥 건담 팬덤의 만년 떡밥[4]이 되어가고 있었고 거의 15년이나 지난 상황이어서 그냥 중간에 취소당한게 아닌가 싶었지만, 2021년 5월 28일 상하이 건담 관련 행사에서 SEED 관련 미디어 전개가 소개되면서 극장판 제작이 시작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감독은 후쿠다 미츠오로 유임.

발표회에서 후쿠다 미츠오가 말한 바로는 '극장 시리즈' 라고 한다. 단편이 아닐 수도 있다. #

후쿠다의 트위터에 따르면 스토리는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의 속편으로 각본은 모로사와 치아키가 죽기 전에 남긴 원안을 바탕으로 다른 각본가의 도움을 받아서 만든다고 한다. # 각본은 다 끝났고 콘티 마무리 작업 중이라고 한다. 이후 티져에 따르면 본작의 배경은 시데로부터 1년뒤인 C.E. 75년이다.

6월 22일 스페셜 토크에서 후쿠다 말로는 키라 야마토가 주인공인 이야기이며 충격적인 내용이라고 한다. 후쿠다는 스포일러가 되는 게 많아 스토리에 대해서는 더 이야기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한다. 아스란 자라신 아스카의 이야기도 있다고 한다.

건담 에이스 인터뷰에서 후쿠다는 이 작품은 CG와 작화를 섞은 하이브리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것이라고 한다.

후쿠다는 이번에 나오는 새로운 건담은 허리 구조가 특이하며 그 허리를 활용한 액션 연출을 선보인다고 한다.


2. 개봉 전 정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공개 전 정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포스터[편집]




4. 티저 PV[편집]




2023.7.2 1차 티저 PV
2023년 7월 2일, 제작 발표 17년만에 PV가 공개되었다. 신규 작화로 그려진 키라 야마토라크스 클라인이 등장하며 MS인 의 전투씬이 살짝 나오는데 3D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또한 우주고래 화석도 출연되는 것이 확인됐으며, 디스트로이 건담의 출연이 확정됐다.



2023.8.8 2차 티저 PV
1차 PV에서의 우려가 현실화되어 엉성한 작화가 가감없이 노출되고 있다. 시드 극장판 특유의 돌출된 입술은 물론 싼티나는 색감, 선 굵기까지 오히려 2002년작보다 퇴보한 면모를 보여준다. 컬러 팔레트도 성의없고 머리카락을 제외한 의복, 피부, 기타등등 모든 곳의 음영이 1단계로 단순하게 들어가 있다. TV판은 원래도 히라이 호불호가 갈릴지언정 인체 비율, 프로포션 인체골격, 미려한 선을 잘 살려서 그렸고 리마스터판의 작화 역시 마찬가지였는데 극장판은 작화도 TV판보다 좋아졌음에도 촬영에 문제가 있었는지 음영을 잘못 잡아서 작화가 매우 번들거리고 지저분하다. 거기다 배경의 음영은 정상적으로 잡아서 2000년대 캐릭터를 2020년대 배경에 어설프게 합성한 것 같은 모양새가 되었다. 캐릭터 디자이너 히라이 히사시의 잘못이라기엔, 파프너 작화는 이 정도로 개판은 아니었기에 더욱 시드팬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물론 시드팬들 가운데서도 히라이는 시드 이후엔 계속 캐릭터 디자인에 문제가 많았다면서 비난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어쨌거나 팬들의 공통적인 입장은 어차피 팬서비스인데 원작 TV판이나 리마스터 판 작화를 재생할것이지 제작진이 쓸데없이 이상한 시도를 한다는 평가다. 3D를 사용하긴 했으나 PV의 화면이 워낙 어두운지라 어느 정도 퀄리티인지는 잘 확인되지 않는다. 내용적으로는 키라 야마토의 폭주를 예고하고 있으며, 중간에 길버트 듀랜달이 나온다. 일본에서는 14~16초의 알현 장면에서 다른 일행들과 달리 고개 하나 까딱하지 않는 신과, 고개를 숙이는 타이밍이 가장 늦고 속도도 느린 키라의 묘사에 주목하기도 한다.#



2023.10.5 3차 티저 PV

10월 5일에 공개된 3차 PV의 반응은 매우 좋은 편이다. 애매하다고 비판을 받은 오오가와라 쿠니오의 디자인들도 대체적으로는 본편에선 늘씬하게 잘 빠져서 단점이 많이 가려진 편이다. 또한 진보된 3D CG를 통한 액션 연출은 작붕이 난무했던 TV판들보단 확실히 좋아졌다는 평가가 상당수이다. PV 공개전 유출된 디자인에 불호를 표시하던 이들이 이 PV를 보고 다시 마음을 되돌린 경우가 많다.



2023.11.20 4차 티저 PV

11월 20일 4차 PV가 공개되었다. 평가는 다시 애매해졌는데, 기체 디자인 및 액션신은 3차 PV때랑 비슷한 연출이라 호평이지만, 문제의 캐릭터 디자인의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대로 나오는 점은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



2023.12.13 5차 티저 PV(메인 예고편)

5. 시놉시스[편집]


C.E.75, 전투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었다.

독립운동, 블루 코스모스의 침공……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라크스를 초대 총재로 하는 세계평화감시기구 컴퍼스가 창설되고,

키라 일행은 그 일원으로 각지의 전투에 개입한다.

그러던 중, 신흥국 파운데이션으로부터

블루 코스모스 본거지에 대한 합동 작전을 제안받는다.

출처: 공식 홈페이지


6. 등장인물[편집]



  • 오브 연합 수장국 / 터미널
    • 카가리 유라 아스하 (CV: 모리 나나코)
    • 아스란 자라 (CV: 이시다 아키라)
    • 메이린 호크 (CV: 오리카사 후미코)
    • 토야 마시마[6] (CV: 사쿠라 아야네)



7. 등장기체[편집]





[ 펼치기 · 접기 ]

[[라이징 프리덤 건담|

라이징 프리덤 건담

]][[임모탈 저스티스 건담|

임모탈 저스티스 건담

]][[임펄스 건담#s-5.1.1|

포스 임펄스 건담 Spec II

]][[겔구그 메나스|

display:inline-block; width: 100%"
파일:겔구그 메나스 클로즈업.png
겔구그 메나스

]][[걍 슈트롬|

display:inline-block; width: 100%"
파일:걍 스트롬 클로즈업.png
걍 슈트롬

]][[블랙 나이트 스쿼드 시바|

블랙 나이트 스쿼드 시바

]][[블랙 나이트 스쿼드 루드라|

블랙 나이트 스쿼드 루드라(오렌지)

]][[블랙 나이트 스쿼드 루드라|

블랙 나이트 스쿼드 루드라(블루)

]][[블랙 나이트 스쿼드 루드라|

블랙 나이트 스쿼드 루드라(퍼플)

]][[블랙 나이트 스쿼드 루드라|

블랙 나이트 스쿼드 루드라(그린)

]]




7.1. 지구 연합군[편집]



7.2. 자프트[편집]



7.3. 오브[편집]



7.4. 컴퍼스[편집]



7.5. 파운데이션[편집]



8. 설정[편집]


카가리 유라 아스하의 주도로 플랜트, 오브, 대서양 연방이 조직한 세계평화감시기구. 3국으로부터 공출된 독자적인 전력을 가지고 있으며, 본부는 플랜트 아프릴리우스에 두고 있다.

자프트의 지원을 받아 유라시아 연방에서 독립한 왕정국가. 현재의 군주는 아우라 마하 하이발 여왕.

  • 블랙 나이트 스쿼드(ブラックナイトスコード)
오르페 람 타오 이하 7명으로 구성된 아우라 여왕의 친위대.

  • 터미널(ターミナル)
국가 간의 정보 전달 등을 담당하는 은밀 조직.[7]

9. 줄거리[편집]




10. 사운드트랙[편집]




11. 평가[편집]


[ 실제 문서에 표시되는 평점 틀   펼치기 · 접기 ]
주의: 이 접기 틀 부분은 영화 문서에 템플릿 적용시 삭제해야하고 아래 #\#와 함께 주석처리되어있는 부분을 넣어야합니다. 이 부분을 붙여넣으면 '추가 바람'에 해당되는 규정 위반 서술입니다.



































12.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미국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

중국
display: none; display: 중국"
행정구
]]

미정
미개봉
미정
[[|
display: none; display: "
행정구
]]

미정
미개봉
미정


12.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합계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8]


12.2. 북미 (미국·캐나다)[편집]




12.3. 중국[편집]




12.4. 대만[편집]




12.5. 일본[편집]




12.6. 영국[편집]




12.7. 기타 국가[편집]




13. 기타[편집]


  • 극장판 부제의 작명은 전작인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데스티니 건담)나 외전인 기동전사 건담 SEED ASTRAY(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 기동전사 건담 SEED C.E.73 STARGAZER(스타게이저 건담)와 같이 '건담 SEED + 작중의 주역기명'을 합친 이름이다.
  • 주역기는 프리덤 건담 계통의 기체일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 2차 PV 0:23초를 보면 키라의 헬멧에 프리덤 계열 특유의 멀티락온 디스플레이가 비추는 장면이 확인된다. 이후 라이징 프리덤 건담의 정보가 해금되었다. 새로 공개된 메카 디자인 역시 설왕설래가 많은 편인데 건담홀릭의 제룡은 라이징 프리덤의 디자인과 가변을 보고 표정 관리를 하지 못 하고 얼굴을 찡그릴 정도로 불호했으며# 양덕들도 신 프리덤의 디자인에 대해선 별로라는 입장이다.# 대체적으로는 뜬금없는 가변과 잘못된 색 배색이 지적받는 편으로 배색을 원래의 프리덤-저스티스 배색으로 바꾸면 훨씬 괜찮다는 평가가 많다.## 또한 어차피 후속기로 스리덤과 인저의 신 백팩 바리에이션 버젼이 유출된 상황이라 리가지, 내러티브 건담, 플래그 改 같은 징검다리 기체로 보는게 편하다는 의견도 있다.# 이후 10월 5일에 3차 PV와 로봇혼 제품 사진이 정식으로 공개되었는데 이건 꽤 괜찮아서 큰선생 디자인이 언제나 그랬듯이 그냥 설정화의 프로포션과 그걸 그대로 따라간 프라모델 디자인이 별로라는 정도로 진정되었다.

  • 라크스 클라인의 작화가 변경되어 입술이 강조되기 시작했는데 이 부분에 불호를 표하는 팬들이 많다. 일부 팬들은 저 장면만 한정해서 그런 것이 아니냐고도 하지만 극장판 일러스트#에서도 입술이 강조되어 있는 걸 보면 영화 내내 이런 작화로 나올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2차 PV에서도 모두 이런 작화로 나오는 것이 확인됐다. 또한 2차 PV 공개 이후 나온 주요 등장인물 캐릭터 설정화를 보면 라크스 외 다른 여성 캐릭터들도 이렇게 그려졌음이 드러났다. 시드 데스티니가 끝나고 너무나 오랜 세월이 흘렀고 히라이 히사시도 작풍이 어느 정도 변했기에 시드의 골수팬들 입장에선 생소할 수도 있는 그림체긴 하지만 히라이의 동시기 캐디 참여작인 창궁의 파프너 THE BEYOND의 작화를 보면 라크스만큼 도드라지는 작화를 한 적은 없어 문제가 없었기에 기존 시드 작화에서 성인 여성 캐릭터의 입술을 도드라지게 그렸던 것을 라크스에게 적용하다가 표현에서 문제가 생긴 거라고 보는 시선도 있다.# 아니나 다를까, 건담 팬클럽 매거진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해버렸고 # 결국 건담 넥스트 퓨쳐 발표에서 극장판 일러스트를 사용하지 않았다.# 이후 반다이 하비 사이트에서 키라와 라크스의 추가 일러스트가 올라왔는데. 수정을 거쳤는지 발부분이 좀 어색하긴 하지만 이전보다는 낫다는 평이 대다수.#

사실 히라이 히사시는 특유의 그림이 가진 개성이 매우 강해서 캐릭터 디자인을 할 때마다 디자인을 꽤 많이 바꾸려고 시도하는 사람이다. 단적으로 비슷한 시기의 파프너, 마제스틱 프린스, 시드의 그림도 다르고, 시드 내에서도 TV판 본편, 리마스터, 극장판의 캐릭터 디자인이 다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엄연히 같은 시리즈 내 후속작을 그리면서 캐릭터 디자인을 통일하지 않은 것이 문제이다. 또한 사실 히라이의 이상한 설정화는 그의 전성기에도 종종 지적된 문제였고 이런 설정화를 토대로 애니 작화진들도 그림을 그리다보니 히라이가 캐디를 맡은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의 신체비율이나 작화가 이상하다는 지적은 최근작인 파프너 비욘드에서도 나오기도 할 정도로 오래된 문제였다. 다만 시드 극장판에서 이런 이상한 디자인이 극도로 심해져서 사람들이 더 불호하는 면도 없잖아 있다.

  • 여성 캐릭터들의 입술 이외에도 캐릭터 비주얼 및 굿즈 일러스트, 스틸컷에서 공개된 캐릭터들의 인체 비율이 전반적으로 머리가 지나치게 큰 탓에 등신비가 망가졌다는 혹평이 우세하다. 망가진 인체 비율 이외에도 남성 여성 가릴 것 없이 전반적으로 캐릭터들의 인체 비율, 색감, 얼굴 조형 모두 찌그러져 보이는 총체적 난국이라 캐릭터들이 삭았다는 평도 있다.[9] 이 때문에 스틸컷과 캐릭터 비주얼 일러스트에서 캐릭터의 얼굴 조형, 인체 비례를 고치는 시도도 나오는 등 불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이후 새로 공개한 로드쇼 포스터에서도 수정되지않았다.#

  • 프라모델로 주역기 디자인이 유출됐는데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고 있다. # 가변 기믹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불호를 표하고 있는 상황. 특히 라이징 프리덤 건담의 경우 가변 기믹이 가변이라 부르기에도 민망한 편으로 Z 건담이나 건담 에어마스터 등 가변 기믹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기체와 많이 비교됐다.#

  • 적측 기체로 추측되는 블랙 나이트 5대도 평이 갈리고 있는데, 전대물을 찍느냐는 조롱이 나올 정도로 우려먹기 수준이 심하다. 또 뜬금없이 빔 망토가 들어가서 건빌파라도 만드는 거냐는 반응이 다수 나왔다.#

  • 전작의 자쿠 II구프를 이어 본작의 양산기는 겔구그에 기초를 두어 디자인된 기체가 등장한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원안에 가깝지만 실드는 위 아래 부분이 뚫렸고 해당 부분을 빔 실드가 전개되며 채우는 기믹으로 변경됐다. 겔구그의 상징인 빔 나기나타도 건재.

  • 극장판 1차 PV를 보면 중간에 우주고래 화석이 극장판 작화로 새롭게 그려져 있는 컷이 확인된다. 이를 보면 시드 최대의 맥거핀이었던 우주고래 떡밥을 드디어 풀어줄 것으로 보인다.

  • 성우 중 카가리 유라 아스하의 성우만 변경되었다. 내부 회의를 거듭해 나온 결과에 따라 바꾼 것이라고 한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일본 현지에서도 감독 후쿠다 미츠오, 각본을 맡았던 모로사와 치아키와 시드 성우진들간의 오랜 불화를 언급하며 수근거리는 의견들이 많다.#

  • 키라의 파일럿 슈트 헬멧부는 유선형이 다용된 디자인으로 새롭게 변경됐다. 자프트와 오브의 군복 차림도 모두 디자인 변경이 가해졌다.

  • 키라의 흑화 떡밥이라던지, 라크스가 정체불명의 세력에게 고개를 숙이며 복종하는 모습 등 PV에서 보이는 스토리상의 떡밥이 많다. 이에 대해선 델타 아스트레이에 등장한 마샨(화성 콜로니)이 황폐화된 지구권을 습격해 라크스가 굴복하고 키라가 이를 납득하지 못하여 이들에게 저항하는 스토리가 아니느냐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본작에서는 '주어진 운명과 그에 저항하는 자유'라는 데스티니부터의 주제를 제시하면서 데스티니 플랜길버트 듀랜달을 주요 소재로 언급하는데, 시드 세계관의 설정에 따르면 화성 플랜트들은 오래전부터 데스티니 플랜이 모델로 한 사회를 구축하고 있었다.# PV에서 이 신조직의 이름이 '파운데이션'인 것이 암시되고 있는데[10] 일본에서도 새로 등장한 세력에 대해서 키라와 신이 순순히 복종하지 않는 모습을 주목하고 있기에 시드 프리덤은 키라, 신, 아스란이 힘을 합쳐 이들 신세력에게 저항하는 이야기가 될 것으로 여기는 이들이 적지 않다. 물론 그 반대로 키라가 자신의 무력함을 통감하고 이 조직과 협력하여 라크스와 대립하는게 아니냐는 추측도 만만치 않다. 사실 이런 시각에서 감독의 대표작인 사이버포퓰러 엔딩이 무적의 주인공과 그 라이벌간의 관계가 전복된 상황으로 종결된 적이 있는 만큼 키라와 아스란간의 관계도 그렇게 엔딩이 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 이 작품의 주제가인 FREEDOM을 부른 니시카와 타카노리는 이전부터 SEED 시리즈에 큰 애정을 가지고 있어서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UC NexT 0100 PROJECT 시리즈인 신 우주세기 시리즈,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때도 주제가 제의를 여러 번 받았으나 건담 SEED의 극장판이 나올 때까진 다른 건담의 주제가는 부르지 않겠다며 정중히 거절했다고 한다.[11] 또한 니시카와는 이전 SEED 시리즈 TVA 작품에 로 참여하기도 했는데 이번에도 캐릭터를 배정받을지는 불명이다.

  • 머독 코지로와 테드 엘스먼의 경우 담당 성우 나카지마 토시히코가 사망하는 바람에 성우 교체가 불가피해졌다.


  • 2023년 10월 31일 할로윈 기념으로 일러스트가 올라왔는데.# 무려 3년 전인 2020년 할로윈 일러스트를 재탕했다.#

  • 새로운 포스터가 공개됬는데 카가리가 얼굴 붉히는 스탠딩이 포함돼있었다. 그래서 팬들은 카가라가 얼굴을 붉히는 장면이 극장판에 나오는 줄알았으나 각본가 후쿠다 미츠오 왈 그런 장면은 극장판에 없다고 밝혔다.#

  • 후쿠다 미츠오가 이 작품 공개를 앞두고 신경질적인 발언을 하며 팬, 안티들과 계속해서 논쟁을 벌이는 중이라 SEED 팬덤에서는 후쿠다는 정말 변한 게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14. 관련 문서[편집]




15. 둘러보기[편집]



[3] 중앙의 이미지는 시드 데스티니 파이널 플러스 OP에 등장한 스트라이크 프리덤의 이미지 중 하나다.[4] 아이러니하게도 비슷한 오타쿠들의 만년 떡밥이었던 우마무스메 게임, 월희 리메이크, 신 에반게리온 극장판 𝄇 등이 유사한 시기에 전부 이루어져 무슨 일이라도 있는 것 아니냐는 농담이 나오고 있다. 사실 2010년대 후반부터 이런 만년 떡밥을 예토전생해서 우려먹는 게 일종의 유행이 되긴 했다.[5] TVA 시리즈에서 프레이 알스터, 나탈 버지룰, 스텔라 루셰를 맡았다. 작품의 성우들중 유일하게 내추럴, 강화인간, 코디네이터를 모두 맡은 성우로 기록되었다.[6] 오브의 간부이자 신흥씨족 마시마의 당주인 타츠키 마시마의 아들로 보이며 타츠키가 오퍼레이션 퓨리당시 셀터에서 지브릴과 합류하려다가 구프 이그나이트의 습격으로 건물 붕괴에 휘말려 우나토와 함께 사망한데다 담당성우인 니시마츠 카즈히코 역시 2010년대 이후로 사실상 성우업을 은퇴한 상태이기에 대신 아들을 등장시킨 걸로 보인다.[7] 전작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에서는 플랜트의 친 클라인파 공작단체였다.[8] ~ 20XX/XX/XX 기준[9] 특히 메이린 호크의 경우엔 데스티니 때와 같은 캐릭터라는걸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얼굴이 달라졌다.[10] 어린 소녀가 주도적인 지도자처럼 묘사되는 부분에서 엔들리스 왈츠의 마리메이어 크슈리나다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11] 노래가 좋다고 평가받는 SEED 시리즈에만 니시카와의 노래가 4곡이나 들어간데다 삽입곡 하나하나가 엄청난 명장면을 만들어낸 만큼 건담 시리즈가 아닌 SEED 시리즈 자체에 대한 애착이 매우 깊은 걸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