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성민(군인)

덤프버전 :

||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 초대
최영희 ||<width=20%> 2대
김종오 ||<width=20%> 3대
이성가 ||<width=20%> 4대
오덕준 ||<width=20%> 5대
김용배 ||
|| 6대
박임항 || 7대
김계원 || 8대
임충식 || 9대
김동빈 || 10대
류근창 ||
|| 11대
장춘권 || 12대
이민우 || 13대
이병형 || 14대
류병현 || 15대
이건영 ||
|| 16대
윤흥정 || 17대
최영구 || 18대
권영각 || 19대
오자복 || 20대
정동호 ||
|| 21대
장준익 || 22대
정만길 || 23대
김동진 || 24대
윤용남 || 25대
오영우 ||
|| 26대
김석원 || 27대
정영진 || 28대
김종환 || 29대
이상희 || 30대
권안도 ||
|| 31대
김종천 || 32대
이성출 || 33대
한기호 || 34대
조정환 || 35대
심용식 ||
|| 36대
김현집 || 37대
김영식 || 38대
임호영 || 39대
제갈용준 || 40대
최병혁 ||
|| 41대
안준석 || 42대
김현종 || 43대
이규준 || 44대
김성민 ||
||<-5><bgcolor=#1d2088>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제44대 제5군단장
김성민
金成敃 | Kim Sungmin
출생1969년
서울특별시
학력한영고등학교 (졸업)
미국 해군대학원 (국가안보학 / 석사)
종교천주교 (세례명: 안드레아)
군사 경력
복무대한민국 육군
1992년 ~ 현재
임관육군사관학교 (48기)
현재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현재 보직제5군단
주요 보직국방부 정책기획관
합동참모본부 전작권전환추진단장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차장
제3군단 참모장
국방부 미국정책과장
제73보병사단 제206보병연대
제12보병사단 제37보병연대 1대대장

1. 개요
2. 생애
3. 주요 직위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군인. 현재 계급은 중장이며, 제5군단장이다.

2. 생애[편집]


서울 한영고등학교 졸업 후 1988년 육군사관학교(48기)에 수석 입학하고# 1992년 졸업 당시에도 수석 졸업하여#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육사 선배 중 김성민 장군과 동일하게 수석으로 입학/졸업한 이들로는 김성진(육사 11기) 전 과기처 장관#, 김동진(육사 17기) 전 국방부 장관#, 김병관(육사 28기) 전 연합사 부사령관#, 정승조(육사 32기) 전 합참의장#이 있다. 여타 졸업 순위가 높은 장교들과 비슷하게 전략/정책통의 커리어를 쌓으며 주로 국방부 정책실과 합참 전략기획본부에서 근무했다.

동기생인 정진팔 소장(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장)은 국무총리상(차석졸업), 하범만 준장(국군의무사령관)은 국방부장관상(3등), 손광제 소장(국가위기관리센터장)은 임관 당시 대표화랑[1]에 뽑혔다.


3. 주요 직위[편집]









4. 여담[편집]






파일:김성민중장대통령보고경례.jpg

2023년 화력 격멸훈련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9:20:28에 나무위키 김성민(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체 학과성적이 가장 우수한 생도에게 수여하는 대통령상(수석 졸업)과 다르며 일반학 성적과 훈육‧체육‧동기생 평가 등 제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한다. 2008년 3월 64기 임관 당시 개교 최초로 대통령상과 대표화랑을 모두 수상한 생도(조홍래 생도)가 나왔다.[2]12사단 신병교육대[3] 미국 육군표창훈장 수훈 [4] 국방부의 대미정책과 현안을 담당하는, 한미동맹 유지에 중요한 부서이다. 미국정책과장은 전략 분야의 요직으로 준장 진급률이 최상위권이며 10년간 6명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특히 육사 수석졸업자인 대통령상 수상자들이 자주 맡는 직책인데 이들이 대부분 정책, 전략형으로 분류된 데에서 기인한다. 육사 44기 수석 김현종 중장, 육사 48기 수석 김성민 중장, 육사 51기 수석 곽태신 준장 등이 역임하였다. 이외 육사 37기 전인범 중장, 45기 허태근 준장, 50기 최병옥 소장 등이 미국정책과장 출신이다.[5] 전임자 김규하, 후임자 김수광[6] 1차 진급자임에도 사단장 대신 합참 참모가 되었고 이 보직에서 1년 반 이상 있었으며 결국 사단장을 해보지 못하게 되었다. 참고로 전임 단장이었던 최인수 장군도 육사 46기 수석 졸업자였고 후임 단장인 정진팔 장군은 육사 48기 차석 졸업자이다. 미국정책과장 탭에서 서술했듯 전략통 군인은 대다수가 졸업 석차가 높아 초급 장교 시절부터 정책/전략자원으로 육성된 인원이기 때문이다.[7] 전임자 최인수, 후임자 정진팔[8] 2023년 연초 KTV 국민방송에 출연하여 국방부 업무보고 내용 인터뷰를 진행했다.[9] 전임자 김봉수, 후임자 김수광[10] 사단장 미역임자로서 중장으로 진급한 것과 더불어 받은 보직도 군단장급 중 가장 중요한 자리에 해당하는 5군단장인 등 여러모로 이례적이다. 최근의 사단장 미역임 중장 진급자인 김도균(육사 44기)과 이정웅(육사 45기)은 그나마 받은 보직이 각각 서울을 방어하는 수방사령관과 경기도 후방을 방어하는 수도군단장이라 국군 최일선과는 거리가 있었으나, 5군단은 예나 지금이나 야전의 상징과 같은 부대이며 특히 최근엔 6군단을 흡수합병하여 휘하에 전방사단만 4개(3,5,6,28사단)를 두고 중부전선을 홀로 방어하는 최주요 부대가 된 상태이다. 이런 부대의 장을 전방의 주요지휘관 경력이 없고 사단장도 거치지 않은 전략통을 임명했다는 것은 이진삼 육군참모총장이 정착시킨 전방 보병지휘관 우선의 진급문화가 다소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전임 군단장 이규준 장군도 37사단에서 대대장, 31사단에서 연대장을 했고 인천을 방어하는 17사단장 출신이라 전방 출신이 아닌 건 매한가지다.[11] 전임자 이규준[12] 천주교 본당/공소 내에서 신자들을 대표하는 역할을 하며 각종 행사를 주관 및 진행한다.[13] 특정 직위에 있다고 진급한다는 전례가 깨지고, 일반적 관점에서 진급할 만한 자리에 있지 않는 사람을 진급시키며, 기수 파괴 인사도 여럿 나오고 있다.[14] 군단장급 중장 공석의 확보를 위해서다. 現 작전사령관들과 동기인 고현석 육군참모차장의 후임으로 영전할 가능성이 높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