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노구치 유타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구분시즌대회우승팀선수
파일:600px-2015_LJL_Logo.png2014윈터파일:Rascal_Jester.pngArfoad · Rainbrain · apaMEN · Rkp · Lillebelt
스프링파일:DFM 로고 (2016-2022).svg[[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Yutaproid · Astarore · Ceros · BonziN ·Riosilva
서머BonziN · Astarore · Ceros · Yutaproid · Riosilva
그랜드 파이널
2015시즌1BonziN · Astarore · Ceros · Yutapongo · KazuXD
시즌2파일:Ozone_Rampagelogo_square.pngAMUSE · DOad · tei · Meron · D4ra
그랜드 파이널파일:DFM 로고 (2016-2022).svg[[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Yutapon · Astarore · Ceros · Rokenia · KazuXD
파일:LJL_Logo.png2016스프링Yutapon · Catch · Ceros · Zerost · Eternal
서머파일:Rampagelogo_square.pngPaz · Tussle · Roki · Meron · Dara
2017스프링Evi · Tussle · Ramune · YutoriMoyasi · Dara
서머
2018스프링파일:300px-PENTAGRAMlogo_square.pngPaz · Once · Ramune · YutoriMoyasi · Gaeng
서머파일:DFM 로고 (2016-2022).svg[[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Evi · Steal · Ceros · Yutapon · viviD
2019스프링Evi · Steal · Ceros · Ramune · Yutapon · Gaeng
서머
파일:LJL_2020_logo.png2020스프링Evi · Steal · Ceros · Yutapon · Gaeng
서머파일:300px-V3_esportslogo_square.pngPaz · Bugi · Ace · Archer · Raina
2021스프링파일:DFM 로고 (2016-2022).svg[[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Evi · Steal · Aria · Ceros · Yutapon · Kazu · Gaeng
서머Evi · Steal · Aria · Ceros · Yutapon · Gaeng
2022스프링Evi · Steal · Yaharong · Yutapon · Marimo · Harp
서머
2023스프링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tol2 · Steal · Aria · Yutapon · Milan · Harp
서머Yutapon · Steal · Aria · Milan · Harp




파일:SG_Yutorimoyashi_2020_Split_2.png
SG Academy 코치
Moyashi
[1]
노구치 유타 (野口悠太 | Yuta Noguchi)
생년월일1994년 7월 29일 (29세)
국적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ID95240753del #
마음은 물이 없다 #
포지션바텀[2]
소속RabbitFive
(2014.05. ~ 2015.10.24)
7th heaven
(2015.10.24 ~ 2016.10.01)
PENTAGRAM
(2016.10.27 ~ 2018.11.29)

Burning Core[3]
(2018.11.30 ~ 2019.05.27)
V3 Esports
(2019.05.28 ~ 2019.11.30)
Sengoku Gaming
(2019.12.01 ~ 2020.11.19)
SG Academy 코치
(2021.08.17 ~ 2022.07.13)
SG Academy
(2022.07.13 ~ 2023.06.21)
SG Academy 코치
(2023.06.21 ~ )
국가대표
파일:일본 국기.svg

(2018)

1. 소개
2. 플레이 스타일
3. 수상 경력
4. 상세
5. 여담



1. 소개[편집]


일본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Sengoku Gaming Academy의 코치.


2. 플레이 스타일[편집]


을 보는 느낌이다. 스타일, 마인드가 비슷하다. 원거리 딜러임에도 불구하고 게임 내에서 콜 같은 걸 정확하게 말한다. LJL에서 가장 잘하는 선수라 생각한다.[4]

블랭크##


전임자인 메론과 비교하면 한타에서의 캐리력은 아쉽지만 탐욕이 적고 초중후반을 가리지 않고 맵리딩이 좋은 편이라 어이없는 데스를 별로 기록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라와 호흡을 맞춰 강한 라인전을 자랑하는 것을 보면 메카닉은 한국 팬들의 눈높이에서는 영 좋지 않지만 수준급 원딜이 희귀한 와일드카드에서는 상당히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손이 좋지만 던지는 원딜을 버리고 손이 좋지만 딜을 못넣는 원딜을 데려온 것인데 세계적으로 진에어의 캡틴잭-파일럿, 중국 Snake의 크리스탈-마틴, 터키 DP의 HolyPhoenix-Zeitnot 등 아주 흔히 볼 수 있는 패턴이다.

한타 캐리력이 부족해 RPG의 국제대회 한타에서 별다른 활약이 거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의 한타 포커싱이나 기타 전술이 향상되고 라무네의 국제무대 공포증이 경감되자 라무네와 에비가 누킹을 해주면 마무리하는 능력은 괜찮아서 Rift Rivals 막판을 보면 나름 1인분을 해주기 시작하였다. 다만 탑 탱커메타가 돌아올 기미를 보이면서 진정한 원딜 캐리메타가 도래했다는 평가기에 롤드컵에서는 한타 결정력 부분에서 좀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 팀에 해가 될 가능성이 분명 있다.

한국인 용병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전 원딜러인 메론보다 게임 전에나 게임 중에나 소통이 활발하다.


3. 수상 경력[편집]


우승 기록
LJL 2017 Spring 우승
LJL 2017 Summer 우승
LJL 2018 Spring 우승
RampageRampage
Rampage
PENTAGRAM
DetonatioN FocusMe
2017 Rift Rivals Purple Rift 우승
대회 개최LJL[5]OPL[6]


4. 상세[편집]


데토네이션 래빗파이브의 탑솔러 출신으로 파즈와 로키, 다라가 빠졌던 IEM 예선에 땜빵 탑솔러로 참가했다가 이후 정식 원딜러로 입단하였다.

2017 롤드컵에서는 라인전부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했지만 2018 MSI에서 또 기존 에이스들이 다 떠나간 상태에서 라무네도 부진하면서 갱과 유토리가 제 몫을 해주었고 마지막 경기도 유토리의 케이틀린이 소극적이더라도 단단한 메카닉을 앞세워서 차분하게 승리를 지켜냈다.

2018 Rift Rivals 퍼시픽 디비전에서는 봇파괴 메타에 대한 부적응으로 메카닉을 전혀 살리지 못했고 원스와 라무네가 팀을 이끌고 갔다. 멋진 카이팅을 딱 한 번 보여줬으나, 그걸 자신의 2하드쓰로잉으로 다시 날려먹었다.

2018년 11월 PENTAGRAM이 해체하면서 팀을 나왔고 Burning Core와 V3 Esports을 거쳐 2019년 12월 1일 센고쿠 게이밍에 입단했다. #

한국 팬들에게는 RPG-PGM 시절의 쫄보 포지셔닝 때문에 평이 대단히 좋지 않은 편이었지만, 19 서머 V3 시절에는 팀을 끌어올리는 원딜러의 기량을 보여주면서 블랭크 때문에 LJL을 시청한 팬들의 재평가를 이끌어 냈었는데....

그러나 결승에서 1개월의 공백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동안 연습이나 제대로 하긴 한건지 의심스러울만큼 눈이 썩는 기량을 선보이며 안그래도 힘든 상체를 심각하게 괴롭혔다. 4연 미포 쓰레쉬 조합으로 단 한번도 DFM 바텀 상대로 라인전을 이기지 못하고 검은수염? 한타때도 궁각만 이리저리 재면서 쫄보 포지션을 잡고는 정작 궁활용도 잘 하지 못하면서 딜은 딜대로 못넣는데도 생존까지 못하는 최악의 경기력으로 일관했다. 원딜이 딜은 안넣고 날아오는 직스 궁을 정통으로 처맞고 도망치기 바쁘다 보니 천하의 블랭크도 갓구모드로 힘겹게 이니시를 열어봐야 아무짝에도 소용이 없었다. 정규시즌에 보였던 알찬 기량과는 완전히 딴판이라 차라리 경기전날 육회라도 먹었다는 구질구질한 변명이라도 찾고 싶을만큼 어이없는 결과였다. 우리가 알던 램페이지와 펜타그램에서 한타 말아먹던 그 플레이였다.

그리고 서머시즌에도 또 정규시즌엔 어느정도 활약했지만 파트너인 엔티와 다전제만 하면 라인전부터 터지는 모습을 고치지 못하고 V3와 결승진출전과 DFM랑 준결승 모두 시원하게 말아먹었다. 정말이지 이정도면 블랭크의 인터뷰가 부두술이 된게 아닐까 싶을정도.

2020년 11월 19일 계약이 종료되어 팀을 떠났고, 12월에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친정팀인 SG의 아카데미 코치를 맡으면서 코치 커리어를 시작했다.

그런데 2022 아카데미 시즌에 다시 본인이 맡았던 아카데미의 원딜 주전 로스터 자리를 차지하면서 현역으로 복귀했다. 닉은 이전에 쓰던 유토리모야시에서 모야시로 다시 회귀.


5. 여담[편집]


닉네임의 유토리는 유토리 교육을 받은 세대의 학력 부족을 비하하는 말이고, 모야시는 숙주나물이라는 뜻으로 비실비실한 남자를 비하하는 의미가 있다. 즉 이 선수의 닉네임인 '유토리모야시'에는 멍청한 유토리 교육 세대의 비실비실한 약골이라는 자기비하적인 뜻이 있다.
[1] 前 Yutorimoyashi[2] 탑 → 바텀[3] 스트리머 겸임[4]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인터뷰를 하고 나서 유토리모야시는 한타에서의 장점은 잃고 라인전은 검은수염 시절 뱅같이 최약체가 되면서 부두술이 되고 말았다.[5] DetonatioN FocusMe, Rampage, Unsold Stuff Gaming[6] Dire Wolves, Chiefs Esports Club, Legacy Esport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13:55:58에 나무위키 노구치 유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